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장롱 속에 갇힌 '먹는샘물' “생수 판매를 금지하는 것은 헌법상 보장된 직업의 자유와 국민의 행복추구권(깨끗한 물을 마실 권리)을 침해한다.” 1994년 3월 헌법재판소는 국내 생수산업 발전에 중대한 전환점이 되는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에 따라 그동안 불법이던 ‘생수’의 제조, 시판이 공식적으로 허용됐다. 이듬해 정부는 ‘먹는물관리법&...

  • 학습 길잡이 기타

    자신과 의견이 같은 자라하여 그가 꼭 옳은 것은 아니다. - 백호집

    ▶『백호집』에 실린 글로, ‘자기와 의견을 달리 하는 자라 하여 그가 꼭 그른 것은 아니고, 자기와 의견을 같이 하는 자라 하여 그가 꼭 옳은 것도 아닙니다. 나를 옳다고 하는 자가 꼭 모두 군자일 수 없고, 나를 그르다 하는 자가 꼭 모두 바르지 못한 사람일 수도 없습니다. 다른 의견이 없다 하여 그것이 꼭 조정의 복인 것도 아니고, 나를 미워하는 자라 하여 그가 꼭 나를 돕지 말라는 법도 없는 것입니다’의 일부예요. 사...

  • 학습 길잡이 기타

    논술로 대학가기…생글논술대회에 길이 있다

    제21회 한국경제신문 생글생글 논술경시대회가 오는 5월29일(일) 열린다. 생글논술대회는 10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국내 최대의 논술대회로 자리매김했다. 지난 10년간 누적 응시자는 9만명에 달한다. 10년을 넘긴 생글논술대회는 그동안의 노하우를 토대로 대입 논술수시 전형에 맞춤한 문제를 출제해 평가, 분석할 예정이다. 요즘 일각에선 논술전형으로 뽑는 신입생 정원이 줄었다는 시각이 있으나 되레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수능 최저등급이...

  • 학습 길잡이 기타

    기부는 본래 이타적인 행위일까?

    돈과 자본이 중시되는 현시대의 삭막함 속에서 기부에 관한 이야기는 훈훈한 미담으로 들려온다. 기업체의 정기적인 기부활동 및 사회적 약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기여활동에 대한 이야기로 마음이 따뜻해지기도 하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재산가가 사회에 환원하는 기부금 금액이 매우 방대해서 깜짝 놀라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기부자의 형편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 보다 나은 쓰임을 위해 선뜻 기부금을 전달하는 사례로 감동을 받기도 한다. 그렇다면 ...

  • 학습 길잡이 기타

    이슈가 된 자연계 논술문제 (3)

    S·논술 자연계 논술강사 immanuel78@gmail.com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독립신문, 띄어쓰기를 말하다 “우리신문이 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 샹하귀쳔이 다보게 홈이라. 또 국문을 이러케 귀졀을 떼여 쓴즉 아모라도 이신문 보기가 쉽고 신문속에 잇난 말을 자세이 알어 보게 함이라.”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사설에 나오는 대목 한 부분이다. 1896년 4월 7일 첫 호를 냈으니 지금으로부터 꼭 120년 전 글이다. 독립신문은 언...

  • 학습 길잡이 기타

    한무제는 신선을 좋아해 황금을 태웠지만 자줏빛 연기만 얻었네. - 전당시

    ▶ 27세에 요절한 이하(李賀)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귀기(鬼氣)어린 시를 지었어요. 사람들은 이하의 시를 사랑했고 그를 귀재(鬼才)라 불렀어요. 이 시구는 이하의 ‘마시이십삼수(馬詩二十三首)’ 중 마지막 수로 ‘한무제는 신선을 좋아해 황금을 태웠지만 자줏빛 연기만 얻었고, 마구간에는 모두 살찐 말뿐이라 푸른 하늘에 오를 방법을 알지 못했네’의 일부예요. 한무제는 오래 산 황제에 속하지만 불로장생에 관심...

  • 학습 길잡이 기타

    완화된 최저학력 기준…생글논술대회로 명문대 가자!

    제21회 한국경제신문 생글생글 논술경시대회가 오는 5월29일(일) 열린다. 생글논술대회는 10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국내 최대의 논술대회로 자리매김했다. 지난 10년간 누적 응시자는 9만명에 달한다. 10년을 넘긴 생글논술대회는 그동안의 노하우를 토대로 대입 논술수시 전형에 맞춤한 문제를 출제해 평가, 분석할 예정이다. 요즘 일각에선 논술전형으로 뽑는 신입생 정원이 줄었다는 시각이 있으나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수능 최저등급이 대학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