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 민족 공공부조의 시작 고구려의 진대법
자유와 경쟁 우리나라 경제를 작동시키는 주요한 원동력 중 하나는 바로 자유다. 각 경제주체들은 시장이라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공간에서 만나 자유롭게 경제활동을 수행해 나간다. 공장 주인이 어떤 물건을 얼마나 생산할지는 본인의 생각에 달려 있고, 이렇게 생산한 물건을 구입할지 여부는 전적으로 소비자의 의사에 따라 결정된다. 이 밖에도 개인은 일을 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직업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자유도 향유한다. 이는 기업에...
-
학습 길잡이 기타
이슈가 된 자연계 논술문제 (5)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세종대왕 태어나신 날 “수레의 두 바퀴를 부모라 치면/ 이끌어 주시는 분 우리 선생님/ 그 수고 무엇으로 덜어드리랴(하략)…오월에도 보름 날로 날을 받아서/ 세종날을 스승의 날 삼았습니다/ 오늘 하루만이라도 걱정 안끼쳐(하략)….” ‘동요의 아버지’로 불리는 윤석중 작사, 김대현 작곡의 ‘스승의 날 노래’다. 지난 ...
-
학습 길잡이 기타
새집이 완전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매달려 있는 장소 때문에 그런 것이다. - 순자
▶『순자』의 ‘권학’편에 있는 글로, ‘남쪽 지방에 새가 있었는데 이름은 몽구(蒙鳩)다. 깃털로 새집을 만들고 머리털로 꾸미고 갈대 이삭까지 매달았는데, 바람이 불어 이삭이 꺾이고 알은 깨지고 새끼는 죽었다. 새집이 완전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매달려 있는 장소 때문에 그런 것이다. 서쪽 지방에 나무가 있었는데 이름은 사간(射干)이다. 줄기 길이는 네 치밖에 안 되지만 높은 산 꼭대기에서 자라며, 팔백 척(尺) 연...
-
학습 길잡이 기타
왜 오래전부터 국가가 소금을 독점했을까?
음식을 맛깔나게 장식하는 소금은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이다. 새하얀 미세한 입자가 뭐 그리 중요할까 싶지만 사람의 혈액은 0.9%의 염분으로 되어있기에 소금섭취는 생명유지를 위해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아무런 간이 배지 않은 음식을 평생 먹는다고 상상만 해보아도 매우 곤욕스러운 느낌이다. 기독교에서는 세상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귀중한 것을 ‘빛과 소금’에 비유하여 표현하곤 하는데, 그만큼 소금이라는 물질...
-
학습 길잡이 기타
수리과학 통합논술 - 동국대 수시논술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서울지하철이 되살린 '학여울' 서울지하철 3호선은 경기 고양시 지축역에서 출발해 서울 강남구를 거쳐 송파구를 잇는 도시지하철도다. 1993년 10월30일 서울 양재~수서역 구간이 연장개통하면서 강남구 대치동에 ‘학여울역’이 생겼다. 지난 호에서 살핀 ‘탄천(숯내 또는 검내)’과 양재천이 만나는 지점인 이곳에 1999년 서울무역전시장(지금은 SETEC...
-
학습 길잡이 기타
세상에 '양주학'이란 말이 어찌하여 생겼겠는가? - 소식, 녹균헌
▶ ‘소동파’의 ‘녹균헌’이라는 시에 있는 구절로, ‘밥 먹는 데 고기야 없어도 되지만 사는 곳에 대나무가 없어서는 안 되네. 고기 없으면 사람이 야윌 뿐이지만 대나무 없으면 사람이 속되게 된다네. 사람이 야위면 살찌면 그만이지만 선비가 속되면 고칠 길이 없다네. (중략) 만약 대나무를 대하면서 고기도 먹을 수 있다면 세상에 양주학이라는 말이 어찌하여 생겼겠는가?’의 일부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