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달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한글에서도 '달'이라는 우리말과 '월(月)'이라는 한자어가 있듯이 영어에서도 달을 의미할 때 lunar 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를 쓰는 경우가 많이 있답니다. 대표적으로 lunar calendar 는 '(태)음력'을 뜻하는 말이지요. 'Moon River' Moon river, wider than a mile 달빛이 흐르는 강, 그 강은 아주 넓지요. I’m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석다른 사람의 사소한 언행도 나를 돌보는 데 도움이 된다 - 시경 -

    ▶ 한자풀이 他 다를 타 山 메 산 之 갈 지 石 돌 석 공자는 중국 춘추시대 시 수천 편 중 300여 편을 골라 《시경》을 편찬했다. 소아편 학명(鶴鳴)에는 이런 시 구절이 있다. ‘즐거운 저 동산에는 박달나무 심겨 있고 그 밑에는 닥나무 있네. 다른 산의 돌이라도 이로써 옥을 갈 수 있네(他山之石 可以攻玉).’ 타산지석(他山之石)은 문자 뜻 그대로 ‘다른 산의 돌’이다. 다른 산에서 나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학식이나 재주가 몰라볼 정도로 나아짐 -삼국지-

    ▶ 한자풀이 刮 : 비빌 괄 目 : 눈 목 相 : 서로 상 對 : 대할 대 삼국시대 오왕 손권은 부하 장수 여몽이 무술만 연마하고 학식이 부족한 것을 염려했다. “국가의 큰 일을 맡으려는 자는 글을 읽어 지식을 쌓아야 하오.” 왕의 당부에 여몽은 그후 학문을 갈고닦았다. 어느 날, 평소 여몽을 무식하다고 경시한 재상 노숙이 그의 학식이 놀랄 만큼 깊어진 것을 보고 연유를 묻자 여몽이 답했다. “선비라면 ...

  • 학습 길잡이 기타

    눈과 얼음에 관한 영어 표현들… Let it snow

    ice 가 얼음이란 뜻인 것은 다 아시죠? 그런데 break the ice 라고 하면 '(회의나 파티를 시작할 때) 서먹서먹한 분위기를 깨다'라는 뜻이 된답니다. 우리도 뭔가 어색할 때 '썰렁하다'라는 표현을 쓰잖아요. 그러니 이제는 Ice Breaking 이란 표현을 들어도 꼭 얼음을 격파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Oh the weather outside is frightful But the fire is...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켕긴다'는 마음을 다잡을 때도 쓰죠

    화살을 쏠 때 시위에 화살을 걸어 힘껏 당기는데, 이걸 '켕긴다'고 한다. '켕기다' 는 본래 '단단하고 팽팽하게 되는 것' 을 말한다. 연줄을 힘껏 당겨 단단히 켕기는 것이다. 한 해를 시작하는 즈음엔 누구나 마음가짐을 새롭게 다진다. 그럴 때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화두로 즐겨 올리는 말이 ‘해현경장(解弦更張)’이다. 낡은 줄을 걷어내고 새 줄을 팽팽하게 맨다는 뜻이다....

  • 학습 길잡이 기타

    크리스마스 영어 읽기

    '크리스마스 기간'은 영어로 at Christmas 라고 합니다. on Christmas 라고 하지 않는 이유는 크리스마스를 하나의 '시점'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크리스마스 당일은 영어로 on Christmas Day 라고 한답니다. You better watch out You better not cry You better not pout I’m telling you why San...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잘생기다'는 형용사 같지만 동사예요

    ' 잘생기다 '가 동사라고 해서 ' 잘생겨지는 중이다 ' ' 잘생겨라 ' 같은 표현이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 잘생기다 '는 형태상 동사에 해당하지만 전형적인 동사의 특징을 갖추지는 않았다. 지난 4일 국립국어원이 올해 3분기 표준국어대사전 정보수정 사항을 공개했다. 그중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것은 단연 ‘잘생기다’였다. 품사를 형용사에서 동사로 바...

  • 학습 길잡이 기타

    호랑이와 표범은 발톱을 드러내지 않는다. - 회남자 -

    ▶『회남자(淮南子)』 ‘병략훈(兵略訓)’에 아무도 모르는 용병술로 백전백승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온다. 새가 (먹이를) 잡아채려고 할 때는 그 머리를 숙이고, 맹수가 (먹이를) 덮치려고 할 때는 그 발톱을 숨긴다. 호랑이와 표범은 그 발톱을 드러내지 않으며 물려고 할 때도 이빨을 드러내지 않는다. 그러므로 용병의 도는 부드러운 면을 보여주고 (실제로는) 굳셈으로 상대하며, 약함을 보여주고 강함으로 압도하며, 군사를 줄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