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갚다'와 관련된 영어 표현들
Amazing grace, how sweet the sound 놀라우신 은혜, 그 소리가 얼마나 감미로운지 That saved a wretch like me. 그 은혜가 저 같은 가엾은 사람을 구원했습니다. I once was lost, but now I’m found. 저는 한때는 방황했지만, 지금은 제 자신을 찾았습니다. Was blind, but now I see. 전 눈이 먼 존재였지만, 지금은 보게 되었습니다.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자포자기 (自 暴 自 棄)
▶ 한자풀이 自: 스스로 자 暴: 사나울 포 自: 스스로 자 棄: 버릴 기 모든 건 안에서 먼저 비롯된다. 스스로를 업신여기면 남도 나를 깔본다. 가족 간 화해가 깨지면 이웃도 내 집을 무시한다. 군신 간 질서가 무너지면 주변도 내 나라를 얕본다. 모든 건 스스로에게서 말미암는다. 맹자가 말했다. “스스로를 학대하는(自暴) 자와는 더불어 이야기를 나눌 수 없고, 스스로를 버리는(自棄) 자와는 더불어 행할 수 없다. 입만 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면서'는 문맥에 따라 의미가 전혀 달라 져요
“그는 1961년부터 명성여고 야간부 교사로 재직했다. 이때부터 그는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는 시를 쓰면서 대표적인 저항시인의 면모를 보였다. 군(軍) 시절 앓았던 간디스토마가 재발하면서 1969년 39세의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껍데기는 가라>로 잘 알려진 시인 신동엽이 세상을 떠난 지 올해 50주년이다. 그를 소개한 이 대목은 얼핏 보면 딱히 꼬집을 데 없는, 완성된 글이다. 하지만 곰곰 뜯어보면 거슬...
-
학습 길잡이 기타
'꼭두각시(puppet)'와 관련된 표현들
Master of Puppets 꼭두각시의 주인 I’m pulling your strings 난 너를 맘대로 조종하고 twisting your mind 너의 마음을 비틀어 and smashing your dreams 너의 꿈을 산산이 부숴버려. Blinded by me, 나로 인해 눈이 먼 너는 you can’t see a thing 아무것도 볼 수 없지. Just call my name, 내 이름을 불러봐.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일장춘몽 (一 場 春 夢)
▶ 한자풀이 一:한 일 場:마당 장 春:봄 춘 夢:꿈 몽 소동파(蘇東坡)는 송나라 최고의 문장가다. “독서가 만 권에 달해도 율(律·왕안석의 신법을 지칭)은 읽지 않는다”고 해 초유의 필화사건을 일으킨 타고난 자유인이다. 그의 《적벽부(赤壁賦)》는 중국 문학 불후의 명작이다. 자신은 문장의 최고봉이면서 “인생은 글자를 알 때부터 우환이 시작된다(人生識字憂患始)”는 그의 말 또한 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머지않다'는 시간, '멀지 않다'는 거리에 써야죠
‘아가 아가 우지마라, 비야 비야 오지 마라, 저기 가서 노자….’ 1930년대 암울하던 일제치하에서 우리 국민을 일깨운 것은 브나로드운동이었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주도한 이 계몽운동으로 비로소 한글의 대량 보급이 가능해졌다. 당시 문자보급 교재로 쓰인 <한글공부>(1933년 동아일보사)를 보면 우리말의 변천 과정에서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 많다. 위의 구절도 그런 사례 중 하나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문과 영어 vs 이과 영어
Math, science, history, unravelling the mysteries, 수학, 과학, 역사,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일, That all started with the big bang. 이 모든 것은 빅뱅에서 시작되었죠. 신나는 음악과 재치 있는 가사로 듣는 이의 귀를 사로잡은 이 노래는 미국 시트콤 ‘Big Bang Theory’의 주제곡입니다. nerd(세상 물정 모르는 공붓벌레)들의 유쾌한 이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一以貫之 (일이관지)
▶ 한자풀이 一:한 일 以:써 이 貫:꿸 관 之:갈 지 유가는 인(仁)이 뿌리다. 인 위에 서지 않으면 모든 것이 틀어진다는 게 유가적 생각이다. 공자는 인이라는 바탕에 의(義)·예(禮)·지(智)를 쌓았다. 공자는 늘 배우고 익혔다. 《논어》 첫 장 첫 구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는 공자의 삶을 한마디로 응축한다. 그는 타고난 성인이 아니라 평생을 갈고닦은 성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