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조삼모사 (朝三暮四)

    ▶ 한자풀이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녁 모 四:넉 사 중국 전국시대 송나라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원숭이를 너무 좋아해 집에서 수십 마리를 기르고 있었다. 그는 가족의 양식까지 퍼다 먹일 정도로 원숭이를 아꼈다. 원숭이들 역시 저공을 따랐고 사람과 원숭이 사이에는 의사소통까지 가능해졌다. 가정 형편이 넉넉지 않은 상황에서 이처럼 많은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먹이는 게 여간 부담이 아니었다. 고민 끝에 저공은 원숭...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바뀌었다'를 '바꼈다'로 줄여 쓰는 건 잘못

    “전화번호가 OOO-××××로 바꼈어요.” “그는 그녀와 중학교 때부터 사겼다고 한다.” “그 여자는 내 말에 콧방귀만 꼈다.” 이런 말에는 공통적인 오류가 들어 있다. ‘바꼈어요, 사겼다고, 꼈다’가 그것이다. 각각 ‘바뀌었어요, 사귀었다고, 뀌었다’를 잘못 썼다. 한글 모음자에 ‘...

  • 학습 길잡이 기타

    '걷다'와 관련된 영어 표현들

    ‘뉴베리상’(해마다 미국 아동문학 발전에 가장 크게 이바지한 작가에게 주는 아동문학상)을 수상한 라는 작품에는 다음과 같은 멋진 표현이 나옵니다. Don’t judge a man until you have walked two moons in his mocassins.(그의 모카신을 신고 두 개의 달을 걸을 때까지 그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 옛 인디언들의 속담에서 나온 멋진 표현인데, 여기서 ‘모...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청출어람 (靑 出 於 藍)

    ▶ 한자풀이 靑: 푸를 청 出: 날 출 於: 어조사 어 藍: 쪽 람 중국 전국시대 사상가 순자(荀子)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창했다. 인간은 태어남과 동시에 순수함에서 멀어지니 예(禮)로 선함을 바로세워야 한다는 게 핵심이다. 인간이 선(善)의 씨앗을 품고 태어났다는 맹자의 ‘사단지심(四端之心)’과 대비되는 주장이다. 순자의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순자>...

  • 학습 길잡이 기타

    동화에 나오는 영어 어휘들

    애니메이션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의 OST 중 주인공 ‘에리얼’이 부르는 [Part of Your World]에는 다음과 같은 가사가 나옵니다. I’ve got gadgets and gizmos aplenty 나에겐 이것저것이 많아 I’ve got whozits and whatzits galore 나는 별의별 게 다 있지. You want thingamabobs? I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말 비튼 '야민정음', 파괴냐 진화냐

    ‘야민정음’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지난 2월 식품기업 팔도에서 한정판으로 선보인 ‘괄도네넴띤’이 논란을 증폭시켰다. ‘팔도비빔면’을 비슷한 형태의 다른 글자로 바꿔 내놨다. 이 작명이 마케팅에 성공하면서 화제가 되자 한글 파괴 비판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사물 모양 통해 한글 익혀…야민정음의 원조 격 야민정음은 기존의 말을 비슷한 형태의 다른 표기로 바꾸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호연지기 (浩然之氣)

    ▶ 한자풀이 浩: 넓을 호 然: 그럴 연/불탈 연 之: 갈 지 氣: 기운 기 맹자가 제나라에 머물던 어느 날, 제자 공손추가 물었다. “선생님이 제나라 대신이 되어 도(道)를 행하시면 제를 천하의 패자로 만드실 것입니다. 그런 생각을 하시면 선생님도 마음이 움직이시겠지요.” 맹자가 답했다. “나는 마흔이 넘어서부터는 마음이 움직인 적이 없다.” 공손추가 다시 물었다. “마음을 움직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때문이다'를 남발하면 글이 허술해져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한다. 글쓰기는 사고력과 논리력을 키워주는 훌륭한 도구다. 바꿔 말하면 모든 글은 논리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사고의 깊이가 더해지는 것은 물론이다. 글쓰기에서 이런 과정은 어휘 선택에서부터 문장 구성, 문장들의 전개 과정 등 하위요소들을 통해 드러난다. 인과관계 따져 엄격히 써야 효과적 그중에서도 대놓고 이 논리성을 요구하는 게 있다. 인과관계 표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