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소설 내용을 대화·행동지문으로 구현하는 시나리오

    S#14. 축항시멘트로 만든 축항. 윤 노인과 박 노인이 꼬니를 두고 있다. …박 노인 아무래도 심상치 않아 … 저 물빛도 좀 보라니까 ….바람이 점점 세어진다.S#15. 노목성황당 뒤에 서 있는 노목이 불어오는 바람을 가누지 못하고 몹시 흔들린다.S#16. 바위점점 커 가는 파도가 바위에 부딪쳐 부서진다.S#17. 축항밀려온 파도는 축항을 뒤엎을 듯이 노한다.S#18. 몽타주문을 열고, 하늘을 보는 가족들. 뛰어나와 바다를 보는 사람들. 분주하게 움직이는 아낙들.(중략)S#22. 성황당(밤-비)비틀거리는 해순이, 올라와서 당목 앞에 꿇어앉으며 원망스러운 눈초리로해순 서낭님예… 서낭님예….몇 번 부르더니 쏟아지는 빗속에서 몇 번이고 절을 한다. 잠시 후 순임이가 올라와서 해순이와 같이 절을 한다.(중략)S#24. 노한 밤바다노도 속에서 비바람과 싸우는 선원들. 처절한 성구의 얼굴. 무엇인가 소리치지만 들리지 않는다. 선미의 키를 잡으며 이를 악무는 성칠. 분주한 선원들의 모습. 더욱더 거센 파도. 흔들리는 뱃사람들…. 파도에 쓰러지고 흔들림에 넘어지고…. 이윽고 배는 나뭇잎처럼 덜렁 들렸다가 넘어간다.S#25. 성황당(밤-비)해순이와 순임이 외에도 몇몇 아낙이 모였다. 제정신이 아닌 모습으로 절을 하는 아낙들.(중략)S#28. 성황당(밤-비)더욱더 거센 비바람. 아우성치듯 흔들거리는 당목. 가지가 꺾어진다. O.L.S#29. 아침 바다어젯밤의 폭풍우는 어디로 갔는지 자취도 없고 바다는 잔잔하다. 모래밭을 적시는 잔잔한 파도.- 오영수 원작, 신봉승 각색, 갯마을- S#14. … S#15. … S#16. … S#17. … S#22 … S#25 … S#28 … S#29각색이란 서사시나 소설 따위의 문학 작품을

  • 영어 이야기

    돼지는 pig 돼지고기는 pork인 이유

    The vast majority of insects have a life cycle that begins with an egg, from which hatches a wormlike stage(called a larva), which seals itself into a chamber (a pupa) in which it changes into a final adult form. This is called ‘complete metamorphosis’. The wormlike larva can be called many things depending on the species. In butterflies, the larvae are called caterpillars. In beetles, they are casheep meatlled grubs. Maggots are the larvae of flies. Some beetles and lacewings have very active larvae with large mouthparts used for hunting. These are called ‘campodeiform’ larvae.- 《Encyclopedoa of Insects》에서 -대다수의 곤충은 알에서 시작하는 생활주기가 있는데, 알로부터 (유충이라고 불리는) 벌레와 같은 단계로 부화한다. 그리고 유충은 그 자신을 (번데기라는) 공간에 봉인하는데, 여기에서 유충은 성충의 형태로 변한다. 이것을 완전변태라고 한다. 벌레와 비슷한 유충은 종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나비는 그 유충을 caterpillar(애벌레)라고 부르고, 딱정벌레는 그 유충을 grub(유충)라고 부른다. maggot(구더기)은 파리의 유충을 말한다. 몇몇 딱정벌레와 풀잠자리의 유충은 매우 활동적인데, 사냥에 사용되는 큰 입 부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을 모두 ‘좀 모양’ 유충이라고 불린다. 해설한국어의 어휘와 영어의 어휘가 일대일 대응되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합니다. 본문의 내용에서와 같이 ‘유충’ 또는 ‘애벌레’에 해당되는 어휘는 그 종에 따라 다른 어휘로 존재합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대회’라는 것도 어떤 대회냐에 따라 영어에서는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음악, 사진과 관련된 대회는 competition이나 contest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리고 농구, 축구와 같은 스포츠 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육순과 환갑은 달라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 10월 16일 창립 60주년을 맞아 조촐한 행사를 치렀다. 1961년 순수 민간 종합경제단체로 출범했으니 사람으로 치면 올해 환갑을 맞은 셈이다. ‘환갑(還甲)’ 또는 ‘회갑(回甲)’은 육십갑자의 갑(甲)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만 60세를 이르는 말이다. 세는나이로는 예순한 살이다. 육십갑자란 ‘갑, 을, 병, 정…’으로 나가는 10간과 ‘자, 축, 인, 묘…’로 꼽는 12지를 순차적으로 배합해 늘어놓은 것을 말한다. 세는나이 육순은 예순 살, 환갑 예순한 살태어난 해에 맞춰 갑자년, 을축년 식으로 꼽다 보면 60가지가 나오고, 61번째에 다시 갑자로 돌아온다고 해서 ‘환갑’이라고 한다. ‘번째’라는 것은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가령 2021년(신축년) 소띠로 태어난 사람은 2081년에 만 60세가 되면서 다시 신축년을 맞는다. 태어난 해에 한 살을 부여받는 세는나이(한국식 나이)로는 61세, 즉 햇수로는 예순한 번째 해가 된다.우리말에 나이를 나타내는 말이 많은데, 대부분 세는나이로 따진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만 나이가 아니라는 얘기다. 가령 나이를 뜻하는 별칭인 불혹(마흔), 지천명(쉰) 등을 굳이 만으로 따지자면 39세, 49세가 된다. 육순, 칠순도 마찬가지다. 세는나이로 60세, 70세를 가리키는데, 만으로는 59세, 69세다. 만 60세가 되면 비로소 환갑인데, 세는나이로는 61세에 해당한다. 진갑은 세는나이 62세다.우리 나이 예순을 ‘육순’이라고 하니까 이를 ‘환갑’과 같은 말인 줄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1961년생이면 올해 만으로 예순, 즉 환갑이다. 만 나이를 쓰는 신문에선 이를 ‘OOO 씨(60)’로 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백면서생 (白面書生)

    ▶ 한자풀이白 : 흰 백面 : 얼굴 면書 : 글 서生 : 날 생글만 읽어 얼굴이 창백한 사람이라는 뜻으로세상 물정에 어둡고 경험이 없는 자를 이르는 말 -《송서(宋書)》중국 남북조시대(420~589)는 진(晉)나라와 수(隨)나라 중간 시대에 해당한다. 이 시대 중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어 각각의 왕조가 교체해서 흥망을 거듭했다. 특히 남조(南朝)의 송(宋)나라와 북조의 북위(北魏)는 강남(江南)의 요지를 둘러싸고 때로는 대립하고, 때로는 화의하는 외교적 관계를 유지했다.북위의 태무제(太武帝)는 북쪽을 무력으로 통일한 다음 유연(柔然)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서역(西域) 여러 나라와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다. 그러자 송나라 제3대 문제(文帝)는 남쪽의 임읍(林邑)을 평정해 북위와의 일대 결전에 대비했다. 북위의 태무제가 449년에 유연을 선제 공격하자 문제는 이때가 숙적 북위를 공격할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했다.문제는 문신들과 북위를 공격할 구체적인 방법을 논의했다. 이때 무관인 심경지는 이전에 결행한 북벌 출병의 예를 들어 북위 공격을 반대하고 문제의 귀에 거슬리는 말을 했다. “폐하, 밭갈이는 종에게 물어보고, 베를 짜는 일은 하녀에게 물어보아야 합니다. 지금 폐하는 적국을 공격하려고 하면서 백면서생(白面書生)과 일을 도모하면 어찌 적을 이길 수 있겠사옵니까.”문제는 심경지의 말을 듣지 않고 문인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출병을 강행했고, 결과는 대패였다. 《송서(宋書)》 심경지전(沈慶之傳)에 나오는 이야기이다.백면서생(白面書生)이란 얼굴이 검은 무관과 대비해 집 안에서 책만 읽어 창백한 얼굴의 문신을 가리키며, 말로만 떠들고 전혀 경험이 없는 사람 또는 초년생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백아절현 (伯牙絶絃)

    ▶ 한자풀이伯 : 맏 백牙 : 어금니 아絶 : 끊을 절絃 : 줄 현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슬퍼함을 일컬음 -《여씨춘추(呂氏春秋)》백아(伯牙)는 중국 춘추시대 초나라 사람이다. 성련(成連)에게 거문고를 배워 대가가 됐다. 처음 3년 동안 배움에 진전이 없자 성련이 그를 봉래산에 보내 바닷물이 출렁이는 소리와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를 듣게 했는데, 감정이 마음을 움직이는 이치를 깨달으면서 실력이 일취월장(日就月將)했다.그의 친구 종자기는 백아가 타는 거문고 소리를 좋아했다. 이뿐만 아니라 그는 백아의 음악을 온전히 이해했다. 별빛이 사라진 캄캄한 그믐날, 백아가 어둠 속에서 거문고를 뜯는데 종자기가 나타나 말했다. “아, 달빛이 참으로 곱구나.” 백아가 깜짝 놀랐다. 그는 그믐밤이지만 은은히 비치는 달빛을 거문고로 연주했기 때문이다.종자기는 백아가 어떤 곡을 연주하든, 소리에 숨은 마음을 알아챘다. 백아가 우뚝 솟은 산을 생각하며 거문고를 타면 종자기가 곁에서 말했다. “훌륭하도다. 우뚝 솟은 산이 태산과 같구나.” 잠시 후, 그 뜻을 흐르는 물에 두고 연주하니, “멋지도다. 넘칠 듯 흘러가는 것이 강물과 같구나”라고 감탄했다.슬픔과 기쁨, 마음의 모든 움직임을 소리로 알아채니 백아도 감탄했다. “그대가 참으로 훌륭하도다. 거문고 소리로 내 마음을 훤히 들여다보니, 내 음악 소리가 결코 자네를 피해 갈 수가 없구나.”그런 종자기가 병으로 죽었다. 백아는 그의 무덤을 찾아, 눈물이 흐를 듯한 슬픈 곡을 연주한 뒤 거문고 줄을 끊어 버렸다. 그리고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 이 세상에 거문고 연주를 알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첫돌, 세는나이로는 두 살이죠

    이종환 삼영화학그룹 명예회장(99)이 지난 10월 관정교육재단 이사장으로 선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새삼 세간의 화제가 됐다. 관정교육재단은 그가 사재 1조5000억원을 기부해 세운 아시아 최대 장학재단이다. 그의 노익장이야 이미 잘 알려진 터인데, 재단 측은 “사실상 세계 최고령 CEO(최고경영자)”라며 기네스북 등록 절차를 문의 중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일상에선 ‘세는나이’ , 공문서 등에선 ‘만 나이’이 명예회장을 소개할 때 따라붙는 말 중 ‘백수’를 빼놓을 수 없다. 1923년생이니 올해 아흔아홉이다. 백수(白壽)는 ‘百(백)’에서 ‘一(하나)’를 빼면 99가 되고 한자로는 ‘白(흰 백)’ 자가 되는 데서 유래했다. 올해 그의 나이를 99세라고 하는 것은 물론 한국식 나이 셈법에 따른 것이다. 만으로 하면 98세다.우리는 태어나자마자 나이 한 살을 먹는다. 어머니 배에서부터 생명체로 자라온 기간을 나이 한 살로 치는 것이다. 그래서 첫돌, 즉 태어난 지 만 1년이 되는 날 두 살이 된다. 그것을 ‘세는나이’라고 한다. 일상에서는 세는나이를 쓰지만, 신문 방송을 비롯해 이력서나 공문서 등 공적 영역에서는 만 나이를 쓴다. 만으로 나이를 나타내는 말은 따로 없다. 그저 ‘만 나이’ 식으로 띄어 쓰면 된다.‘만(滿)’은 시기나 햇수를 꽉 차게 헤아리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가령 2020년 11월 8일 태어난 아이는 2021년인 올해 11월 8일이 만 한 살이 된다. 그것을 ‘돌’이라 해도 되고, ‘주년(週年)’이라 해도 된다. 주년은 1년을 단위로 돌아오는 돌을 세는 단위다. ‘돌’이란 태어난 날로부터 한 해가 되는 날

  • 영어 이야기

    어휘가 접두·접미사와 결합하면 새롭게 태어나죠

    Older organisms, having had many prior experiences with separation, can cognitively buffer the immediate absence of social companions with the confidence that reunion will occur at some fairly predictable future time. As our brains develop into maturity and beyond, cognitive abilities can come to outweigh simple emotional ones. Conversely, changes in higher brain functions in old age may again release subcortical functions, leading once more to the prevalence of certain emotional energies-feelings of frustration, anger, and loss.- 《Handbook of Emotion, Adult Development, and Aging》에서 -예전에 헤어짐을 많이 경험한 노인은 사회적 동료의 즉각적인 부재를 재회가 꽤나 예측 가능한 미래에 일어날 것이라는 확신을 통해 완충한다. 우리의 뇌가 성숙 단계 또는 그 이후의 단계에 들어서면, 인지 능력은 간단한 감정적 능력보다 더 커진다. 반대로 노년의 고위 뇌기능의 변화는 피질하 기능을 다시 발산시키는데, 이는 좌절, 분노, 그리고 상실의 감정과 같은 특정한 감정적 에너지들이 다시 한번 더 지배적이 되게끔 한다. 해설영어 어휘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됩니다. 그중 하나는 개별 어휘와 접사(affix)를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개별 어휘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접사는 접두사(prefix)와 접미사(suffix)로 구분됩니다. 접두사는 개별 어휘의 앞에 위치해 결합하고, 접미사는 개별 어휘의 뒤에 위치해 결합하는 접사를 말합니다.여러 접사 중 out-이라는 접두사는 영어에서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접두사 out-이 동사와 결합할 때에는 ‘-보다 많다/크다/길다’의 의미를 전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본문에 있는 어휘 outweigh가 그 예입니다. weigh는 동사로 ‘저울질하다’ 또는 ‘무게가 나가다’의 의미를 갖습니다. 여기에 out-이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수능 국어 출제자들이 좋아하는 '남다른 생각'을 담은 수필

    이러한 만화를 구태여 인용하지 않더라도 진작부터 이 두레에도 첨구거사들이 다방인종을 신랄하게 풍자한 썩 재미있는 어휘가 많이 있다.벽화(壁)! / 반만 마신 찻잔에서는 김도 오르지 않고 재떨이에는 꽁초만 그득하니 벌써 두 시간이 되었는지 세 시간이 되었는지, 그 두 시간 혹은 세 시간을 벽 밑의 세트에 가서 그린 듯 붙박이로 앉아 있는 포즈가 왜 아니 그림 같을꼬! 벽화란 참으로 천금 값이 나가는 한마디다.또 특히 온종일 다방으로 돌아다니면서 물만 먹는대서 금붕어라고도 한다. 역시 재치꾼이 아니고는 지어내기 어려운 명담(名談)이다.이렇듯 다방인종이 일부 사람에게 (가령 독한 가시는 없으나마) 조롱을 받는 것이 사실은 사실이나 그러한 조롱을 때우고도 넉넉 남음이 있을 만큼 다방은 전당국과 아울러 현대인에게 다시없이 고마운 물건이 아닐 수 없다.머리와 몸이 피로하기 쉬운 우리 도시이다.(중략) / 아무튼지 피로를 느낄 때 길옆 거기 어디 다방을 찾아 들어서면 … 자리가 편안하겠다, 마시는 것이 흥분제였다, 음악이 아름답겠다, 차를 마신 다음에는 담배라도 붙여 물고 유유히 20, 30분이고 앉아 있노라면 피로는 자연 걷혀진다.(중략)도시에 살자니 펀둥펀둥 놀고먹는 사람이 아니고는 제각기 제 깜냥에 자작소롬한 용무가 많고, 자주 사람을 만나야 한다. / 그것을 일일이 찾아다니고 제집에서 기다려서 만나 보고 하자면 여간만 불편한 게 아니다. / 한데 다방이면 으레 중심 지대에 있겠다, 항용 다른 볼일과 겸서서 나올 수도 있고 지날 길에 잠시 들를 수도 있다. 더구나 전화가 있으니 편리하다. 웬만한 회담이면 그러므로 안성맞춤인 것이 다방이다.가령 의식적으로 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