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관점도 주장, 주장은 다양한 문장 구조로 표현된다

    8. <보기>는 동양 역사가들의 견해이다. <보기>를 바탕으로 (가), (나)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ㄱ. 대부분 옛일의 성패를 논하기 좋아하고 그 일의 진위를 자세히 살피지 않는다. 하지만 진위를 분명히 한 후에야 성패가 어긋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역사 서술의 근원인 자료를 바로잡고 깨끗이 한다는 뜻이다.ㄴ. 고금의 흥망은 현실의 객관적 형세인 시세의 흐름에 따르는 것이며, 사림(士林)의 재주와 덕행으로 말미암은 것은 아니었다. 그러므로 천하의 일은 시세가 제일 중요하고, 행복과 불행이 다음이며, 옳고 그름의 구분은 마지막이라고 하는 것이다.ㄷ. 도(道)의 본체는 경서에 있지만 그것의 큰 쓰임은 역사서에 담겨 있다. 역사란 선을 높이고 악을 낮추며 선을 권면하고 악을 징계하는 것이다.① ㄱ의 관점에 따르면, 『신어』에 제시된 진의 멸망 원인에 대한 지적은 관련 내용의 진위에 대한 명확한 판별 이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겠군.② ㄱ의 관점에 따르면, 『고려사』 편찬 과정에서 고려의 용어를 고쳐 쓰자고 한 의견은 역사 서술의 근원인 자료를 바로잡고 깨끗이 하자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군.③ ㄴ의 관점에 따르면, 『치평요람』에 서술된 국가의 흥망은 그 원인이 인물들의 능력보다는 객관적 형세인 시세의 흐름에 있다고 보아야겠군.④ ㄷ의 관점에 따르면, 『신어』에 제시된 진에 대한 비판은 악을 낮추고 징계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군.⑤ ㄷ의 관점에 따르면, 『치평요람』 편찬과 관련한 세종의 생각에서 학문의 근본은 도의 본체에, 현실에서 학문의 구현은 도의 큰 쓰임에 대응하겠군.-2022학년도 6월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

  • 대학 생글이 통신

    비약적인 실력 상승을 위한 여름방학 공부 팁

    방학은 학교의 정규 진도와 내신의 압박에서 잠시 벗어나 자신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저도 고등학교 2~3학년 시절 두 번의 방학 기간에 실력이 가장 크게 늘었습니다. 그러나 자유도가 높은 만큼 충분히 준비하지 않고 방학을 맞으면 시간을 낭비하게 될 위험도 큽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 여름방학을 잘 보내는 몇 가지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1. 목표를 세우는 것은 필수다방학 기간에 길을 잃고 헤매지 않으려면 목표가 필요합니다. 방학이 오기 전에 목표를 세우십시오. 방학이 시작되고 나서 목표를 세우면 중요한 시간을 계획을 수립하는 데 낭비하게 되고, 조급한 마음에 과도한 목표를 잡기도 합니다. 달성할 수 있을 것 같은 최대 목표의 80% 정도를 추천합니다. 목표를 성취하는 경험을 쌓아나가는 것이 장기적으로도 관성이 붙어 좋은 습관이 될 수 있고, 다양한 변수에 대비할 수도 있습니다. 적당한 목표를 준비한 상태에서 방학을 맞는 것이 훨씬 안정적입니다. #2. 체력과 컨디션을 관리하자한여름 날씨에는 체력 소모가 많고 습도가 높아 짜증이 나기도 합니다. 저는 20분 안팎의 낮잠을 추천합니다. 저는 지금도 일찍 일어나 오전에 열심히 공부하고 점심식사 후 졸음이 몰려오는 시간대에 잠깐 눈을 붙입니다. 잠을 참으며 힘겹게 공부하는 것보다 졸음을 확실히 쫓아내고 개운한 상태에서 다시 공부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유의할 점은 잠에서 깰 때 비몽사몽한 상태가 아니라 개운한 상태여야 합니다. 나른함을 이겨내지 못해 다시 잠에 들거나 졸며 공부하다 오후 시간을 날릴 수도 있습니다. #3. 쉬어가는 시간도 필요하다방학이라고 내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反哺報恩 (반포보은)

    ▶한자풀이 反 : 돌이킬 반哺 : 머금을 포報 : 갚을 보恩 : 은혜 은먹이를 돌려드려 은혜에 보답함자식의 깊은 효심을 비유하는 말  - 조선시대 가객 박효관(朴孝寬)의 시조까마귀 새끼는 자라서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줌으로써 키워준 은혜에 보답한다고 한다. 조선시대 가객(歌客) 박효관(朴孝寬)은 이런 얘기를 빗대 시조를 지었다.뉘라서 까마귀를 검고 불길한 새라 하였는고반포보은(反哺報恩)이 그 아니 아름다운가사람이 저 새만 못함을 못내 슬퍼하노라반포보은(反哺報恩)은 먹이를 돌려드림으로써 은혜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깊은 효심을 이르는 말이다. 이 시는 박효관이 그의 제자 안민영과 함께 편찬한 《가곡원류》에 실려 있다. 《가곡원류》는 김천택의 《청구영언》, 김수장의 《해동가요》와 함께 조선시대 3대 가집(歌集)으로 뽑힌다. 박효관은 조선 말기 악공으로 시와 노래, 술과 거문고 그리고 바둑으로 일생을 보낸 풍류객이다.반포지효(反哺之孝)도 자식이 자라서 부모를 봉양함을 이르며, 반포보은과 뜻이 같다. 백유의 효심을 일컫는 백유지효(伯兪之孝),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한다는 동온하청(冬溫夏), 저녁에는 잠자리를 돌봐드리고 아침에는 문안을 드린다는 혼정신성(昏定晨省)은 모두 자식의 지극한 효(孝)를 이르는 말이다.효자애일(孝子愛日). 효자는 날을 아낀다고 했다. 자식이 공양하고자 해도 부모는 마냥 기다려주지 않는다. 풍수지탄(風樹之歎)은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부모에게 효를 하고자 해도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풍목지비(風木之悲)로도 쓴다.공자의 제자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고기·우유 대체할 미래 먹거리 만들죠"

    김하욱 더플랜잇 식물성 대체 식품 연구원“대체 식품을 만드는 것은 인류의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하고, 환경을 이롭게 하는 일이죠. 미래에 꼭 필요한 직업 아닐까요.”기후위기, 동물복지, 환경보호 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건(채식주의)이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비건 문화의 확산과 함께 식물성 단백질을 활용한 대체식품 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세계 식물성 대체식품 시장 규모는 2016년 42억1860만 달러에서 2020년 60억710만 달러로 42.4% 커졌다. 2025년엔 110억33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주목받는 직업군도 나타났다. 바로 식물성 대체 식품 연구원이다. 식물성 원료를 활용·배합해 동물성 단백질을 대체하고 맛과 영양을 보존해 주는 식물성 식품을 개발하는 직업이다. 인간의 건강, 그리고 환경 보호를 위해 세상에 없던 식물성 대체 식품을 개발하는 김하욱 더플랜잇 제품개발팀장(37)을 만나 봤다.▶최근 대체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어요. 식물성 대체 식품이 무엇인지부터 설명해 주세요.“대체 식품은 식물이나 곤충, 배양육, 미생물 단백질 등을 이용해 동물성 단백질을 대체하는 식품을 말합니다. 더플랜잇에서는 귀리, 쌀, 콩 등 식물성 원료로 동물성 제품의 형태와 맛을 구현한 우유, 닭가슴살, 쿠키, 조미료 등을 개발, 유통하고 있습니다.”▶대체 식품이 왜 필요한 건가요.“선진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에서 과잉 영양으로 비만과 당뇨,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아직도 영양 부족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근본적인 원인으로 육류 위주의 식습관과 육류 과잉 생산

  • 대학 생글이 통신

    고3, 여름방학엔 수능 예행연습 해보세요

    이번 대학 생글이 통신에서는 여름방학 때 어떻게 공부하는 게 좋을지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방학 동안 쉬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가오는 2학기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방학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중1~고2, 기말고사 직후 보완점 생각해내기당장 기말고사가 끝났다는 해방감에 쉬고 싶다는 생각이 들겠지만, 시험지를 다시 펼쳐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생각해봐야 합니다.시험 볼 때마다 문제를 잘못 읽거나 실수하는 생글이들은 시험지를 꼭 다시 보길 바랍니다. 시험 직후에 확인해야 왜 실수했는지 생각나기 때문입니다. 시험을 치르면서 유념해야 하는 점을 기록해두면 앞으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것입니다.저는 쉬운 문제보다는 어려웠던 문제 위주로 다시 봤습니다. 특히 틀린 문제의 풀이 과정을 되짚으며 왜 틀렸는지 생각해보기도 했습니다. 수학 서술형 문제에서 감점이 생기곤 했는데, 선생님께 양해를 구하고 어느 포인트에서 감점됐는지 여쭤본 뒤 여름방학과 시험 기간에 꼼꼼하게 식을 전개하는 연습을 했습니다.내신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아쉬웠던 점을 생각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암기 과목을 준비하는 데 시간이 부족했거나, 국·영·수 개념을 이해하기 힘들었다면 방학 동안 선행을 해두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저는 내신 공부를 하면서 사회탐구 같은 암기 과목에 시간을 너무 많이 할애했습니다. 그래서 방학 기간에 동아시아사, 생활과 윤리 같은 내신 탐구 과목을 인터넷 강의로 공부했습니다. ○고3, 수능 연습 및 자소서 작성수시 전형을 준비하는 생글이들은 기말고사가 끝나고 자기소개서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다만, 공부를 놓고 온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6월 모의고사 결과 기준 삼아 내게 맞는 대학 준비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여름방학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6월 모의고사 결과를 분석하며 올해 논술전형 지원 여부와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을 여러분의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지네요. 이번 호부터 다음 호까지는 올해 인문논술전형에 지원하려는 고3 학생을 대상으로 2023학년도 인문논술 주요 대학의 전형을 소개하고 전략적 방향 등을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 생글생글과 함께하는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유익한 정보가 되기를 바라며 대치동 현장 강의와 멘토링 경험에 기반해 청사진을 그려드리겠습니다. ■ 수능 최저등급논술전형에 지원하려면 우선 수능 최저등급 달성 가능성을 판단하고 있어야 합니다. 최저 자격은 국어·수학·영어·탐구(1과목)를 개별 과목으로 간주하고, 네 과목 중 정해진 충족 수를 합산해 계산합니다.1) 올해는 탐구 2과목을 평균내 반영하는 학교가 없습니다. (최저 자격 완화)2) 탐구의 두 과목을 각 과목으로 합산할 수 없습니다.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아래는 갑 학생과 을 학생의 수능 성적입니다.중앙대는 올해의 수능 최저등급을 ‘국수영탐(1) 중 3과목 합 6 이내’로 발표했습니다. 갑 학생은 국어(2)+영어(2)+탐구 1과목(생윤·2)으로 중앙대 최저 자격을 충족했습니다. 반면 을 학생은 탐구 1과목(세지·1)+국어(4)+영어(4)로 최선의 조합을 하더라도 중앙대 최저는 충족하지 못합니다. 을 학생은 탐구 두 과목을 갑 학생보다 평균적으로 더 잘했지만 수능 최저를 계산할 때는 자동으로 두 탐구 과목 중 더 잘한 과목 하나만 반영되기 때문에 아쉽게도 최저 자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한편 숙명여대는 ‘국수영탐(1) 중 2과목 합 5 이

  • 대학 생글이 통신

    기말고사 대비, 어떻게 하면 좋을까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은 수행평가, 기말고사 대비, 그 후 학생부종합전형에 쓰일 생활기록부 정리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학기 말을 어떻게 보내면 좋을지 조언하려고 합니다.기말고사는 대체로 중간고사와 같은 비중이거나 더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신경 써서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인터넷 강의 같은 학습 보조 자료를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수업시간에 집중하며 듣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결국 내신 시험 문제를 출제하는 건 학교 선생님이니까요.저는 시험 열흘 전까지 인터넷 강의 진도를 따라잡고 그 후 학교 수업 시간에 선생님께서 짚어주신 내용을 보는 데 집중하면서 복습했습니다.암기 과목은 배운 내용을 복습하면서 시험용 복습 노트를 만들었는데요. 장문으로 서술된 교과서를 구조화하면서 그림으로, 표로 정리하면 한눈에 보기도 쉽고 시험 범위를 머릿속에서 반복적으로 체계화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죠. 또 단권화 노트를 만들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빈칸을 뚫어놓고, 읽어보면서 빈칸을 채우고, 시험장에 그 노트를 들고 가면 시험 범위를 빠르게 훑어볼 수 있습니다.두 번째로, 내신 시험 대비에는 평가 문제집이나 자습서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특히 국어 과목과 탐구 과목에 자습서와 평가 문제집의 역할은 정말 큰데요. 평가 문제집이나 자습서에는 학교 선생님들이 쓰는 교사용 교과서에 있는 학습 도움 자료나 설명이 거의 비슷하게 적혀 있습니다. 평가 문제집이나 자습서에 있는 부가 설명을 꼼꼼히 읽어보며 시험을 대비할 것을 추천합니다.저는 교과서, 자습서 순서로 정독했습니다. 자습서에는 학습과 관련된 부

  • 대입 전략

    수학에서 강세 이과생, 교차지원 가능성 감안…문과생은 합격 가능한 대학 보수적인 접근 필요

    지난 6월 모의평가에서도 수학에서 이과생의 강세 현상은 뚜렷했다. 미적분 또는 기하 선택 학생은 전 점수대에서 확률과통계 학생을 앞섰다. 이 같은 문이과 격차가 고착화되면서 올해에도 이과생들이 인문계 학과로 대거 교차지원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대입전략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변수다. 6월 모평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올해 교차지원 전략을 짚어본다. 수학 1등급 내 이과생 비중 94.6% 추정 ‘강세’6월 모평에서도 수학에서 이과생(미적분 또는 기하 응시)은 전 점수대에서 문과생(확률과통계 응시)을 앞서는 모습을 보였다. 종로학원 분석결과 6월 모평 가채점 기준 수학 1등급 내 이과생 비중은 94.6%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적분 응시 학생 비중이 88.2%, 기하 응시 비중이 6.4% 수준이다. 1등급 중 확률과통계 선택 학생 비중은 5.3%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2등급 내 이과생 비중도 비슷한 추세다. 2등급 내 이과생 비중은 73.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이 같은 상황은 통합수능 첫해인 지난해와 비슷하다. 지난해 6월 모평에서 수학 1등급 내 이과생 비중은 96.2%에 달했고, 본수능에서는 85.3%를 기록했다. 이 같은 추세를 감안하면 올해 본수능에서도 수학에서 이과생 독주는 여전할 것으로 예상된다.표준점수 격차도 여전하다. 올해 6월 모평 가채점 기준 미적분 표준점수 최고점은 149점, 기하는 147점, 확률과통계는 143점으로 분석된다. 미적분과 확률과통계 사이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는 6점까지 벌어졌다. 원점수 기준으로 동일하게 100점을 받았다고 해도 표준점수로는 6점 차가 벌어진다. 이런 격차가 전 점수대에서 관찰되고 있다. 주요 대학 대부분이 정시에서 평가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