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자유분량일 경우 몇 개의 키워드에 집착 말고 글의 의미와 논리 더 깊이 생각 후 답안 구상해야
지난 시간에 제공했던 이화여대 최근 기출 논제(2021학년도 수시 1교시) 중 부분 문제의 해설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답은 자유 분량이므로, 시간 안에 쓸 수 있다는 전제하에 풍부하게 풀어낼 수 있으면 더 좋겠죠. 따라서 제시문에서 몇 개의 핵심어만 찾아 기계적으로 답안을 쓰려 하지 말고, 글감을 바탕으로 글의 의미나 논리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고 답안을 구상해야 합니다. 1. 제시문 [가]의 ‘복종’의 의미를 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다시 소환된 'OOO 씨' 논란
1997년 말 치러진 제15대 대선은 ‘김대중 대통령-김종필 국무총리’ 체제의 공동정부를 탄생시켰다. 대선을 앞두고 성사된 이른바 ‘DJP연합’에 따른 것이었다. 이듬해 8월 국회 본회의장. 대정부질문에 김종필 국무총리가 답변에 나섰다. 총리로서 23년 만이었다. “공작정치의 장본인인 김종필 씨는 용퇴해야 한다.”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 S의원이 김 총리를 ‘씨&rsqu...
-
영어 이야기
특정분야 사람들끼리 쓰는 유행어는 buzzword
Hankyung Geeks received fundraising data on 418 early stage startups between April 2021 and this March from venture capital information platform TheVC. The startups received a total 3.5 trillion won ($2.8 billion) from 581 investors. Venture capitali...
-
대학 생글이 통신
학습역량 차이는 공부 습관 쌓는 데서 시작된다
공부를 잘하는 친구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선행학습을 하는 것, 독해력이 좋은 것 등 여러 종류의 역량이 있겠지만, 가장 뚜렷한 공통점은 일찍 준비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학업평가 결과와 별개로 일찍부터 공부 습관을 들여놓는 것, 즉 공부 ‘모멘텀’을 만든 친구들이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우수한 학업 완성도를 누린다는 것이죠. 저는 중학교 때 자율형 사립고 입시를 준비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 ...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등가 비교 연산, 대소 비교 연산을 하며 읽어야 하는 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은 촬영 렌즈를 통해 들어와, 주 반사 거울에서 반사되거나 주 반사 거울을 통과하게 된다. 주 반사 거울에서 반사된 빛은 뷰파인더로 보내져 촬영자가 피사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주 반사 거울을 통과한 빛은 보조 반사 거울에서 반사되어 한 쌍의 마이크로 렌즈를 통과하면서 분리되고 각각의 AF 센서에 도달하게 된다. <그림>과 같이 한 쌍의 마이크로 렌즈를 지난 빛들이 각각의 AF 센서 표면의 ...
-
대학 생글이 통신
대입에서 중요하지 않은 과목은 없다
“나 이 과목 버렸어. 국영수만 잘하면 되지.” “이 과목 어차피 안 중요해. 적당히만 하면 돼.” 이런 말을 한 번쯤은 듣거나 해봤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대입에서 정말 ‘안’ 중요한 과목이 있을까요?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안’ 중요한 과목은 없습니다. 대입에서는 모든 과목이 중요합니다. 제2외국어, 탐구는 단위 수도 적고 소위 말하는 &lsquo...
-
대입 전략
주요 15개 대학, 학생부교과로 5106명 선발…진로선택 과목 반영 방법 대학별로 차이 커
2023학년도 주요 15개 대학에서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선발 인원은 총 5106명에 이른다. 서울대를 제외하고 14개 대학에서 학생부교과전형을 운영한다. 내신 최상위권 학생들이 몰리다 보니 경쟁률과 내신 합격선이 높게 형성된다. 대학별로 내신 반영 방법이 달라 작은 차이가 당락에 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상당수 대학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해 수능 최저 충족 여부도 큰 변수다. 올해 주요 15개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 내신 반영 방법을 분석해...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문제 해결 위해 이용 가능한 '최적의 전략' 세워보자
출제자가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최적의 전략을 세우는 것이 수학 문제 풀이의 핵심이다. 특히 수리논술에서는 제시문이 주어지므로 이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제시문에는 출제자가 해당 문제를 만든 배경에 대한 정보 및 출제자의 의도가 담겨 있으므로 수험생은 제시문에 주어진 내용을 종합해 출제자가 원하는 답안을 쓰기 위한 맞춤 전략을 세워야 한다. 포인트 A=B 라는 사실을 증명하려면 A-B=0 또는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