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버블에 취해 흥청망청 대다가 국가부도 위기 몰린 '켈틱 타이거'
한때 금융과 제약,정보기술(IT) 산업의 고도성장을 바탕으로 '켈틱 타이거(Celtic tiger)'로 칭송됐던 아일랜드가 한없이 추락하고 있다. 오랜 고난의 역사 탓에 자신들을 "세상에서 가장 슬픈 민족"으로 여긴다는 아일랜드는 1990년대 이후 반짝 활황으로 지구촌 신흥 경제의 모범으로 높게 평가받았지만,글로벌 경제위기의 직격탄을 맞아 수난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자존심 강한 민족답게 "외부 지원은 필요없고,경제주권을 포기하지 않겠다...
-
커버스토리
과잉복지 · 정부실패가 경제위기 초래
'공짜는 없다' 는 명제 잊지 말아야 17세기 유명한 네덜란드의 튤립 투기 사건에서부터 1930년대의 대공황,최근의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르기까지 세계경제엔 수많은 위기가 발생했다. 왜 이처럼 위기가 반복되는 것일까. 대형 경제위기는 시대별 국가별로 형태가 다양하지만 본질은 같다고 할 수 있다. 그건 '인간의 탐욕,정부의 실패,법 · 제도의 미비'라는 3박자가 어울려 빚어낸,거품(버블)의 형성과 붕괴 과정이라는 점이다. ⊙ 위기의 ...
-
경제 기타
엉뚱한 反韓시위로 불똥 튄 대만 태권도 선수 실격사태
"한국, 중국의 사주받아" 음모론 주장 ··· 피해의식에서 비롯된 왜곡된 민족주의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만 여자 태권도 선수가 실격패한 사건이 엉뚱하게도 반한 시위로 이어지고 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마잉주 대만 총통까지 나서 자제를 촉구했지만 반한 감정은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사태의 원인을 두고 앞서가던 대만이 2000년대 들어 한국에 경제 문화 분야에서 급격히 뒤처지고,중국의 부상으로 국제사회에서의 입지가 약화되면서 생긴 ...
-
과학 기타
햇빛을 곧 바로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태양전지
안병태 KAIST 교수 "태양전지로 만든 블라인드·커튼 멀지 않아" 사람이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동식물을 포함한 음식에서 나온다. 식물은 태양을 통해 광합성을 하고 성장하며 인간과 동물은 이들 식물을 먹거나 다른 동물을 먹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음식을 요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열은 장작이나 석유 석탄 등 연료가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해 타면서 내는 불 혹은 전기에너지에서 공급된다. 이 열을 제공하는 나무나 석탄,석유는 모두 햇빛을 ...
-
<23> - 수학과
과학기술의 기초이자 수학 자체도 첨단 지식 ·정보산업으로 각광 미국의 부시 전 대통령은 1990년 이라크를 상대로 한 걸프전을 승리로 이끈 뒤 '이번 전쟁은 수학의 승리'라는 얘기를 꺼냈다. 걸프전은 첨단 전자 무기를 바탕으로 한 전자 전쟁이며 이 전자 전쟁의 핵심 기술이 모두 수학적 이론을 통해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 교육에서 수학은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과목이며 수학 진흥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고 있다. 서구에서 수학이 국가 경쟁력의 ...
-
<23> 권숙교 우리금융정보시스템 사장 - 수학
"수학은 생명과학 · 정보통신 · 금융경제 분야 연구의 핵심도구" 권숙교 우리금융정보시스템 사장은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자로 시작해 사장 자리까지 오른 정보기술(IT) 전문가다. 그는 이대 수학과를 졸업한 수학도이기도 하다. 권 사장이 밝히는 수학과에 대한 얘기를 들어본다. ▼수학과를 선택한 배경은 무엇입니까. "학과 선택 시 전문성을 가지고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하다가 컴퓨터 프로그램 분야라면 가능하겠다 싶었습니다. 컴퓨터 ...
-
TESAT 공부하기 기타
휴대폰 통화료가 하락하면 집 전화 사용량은?
문제 1 홍길동은 매월 8만원의 통신비를 고정적으로 지출한다고 가정하자. 길동은 통신수단으로 이동전화와 집 전화 두 가지만을 사용하며,두 가지 통신수단은 모두 정상재이다. 만약 이동전화의 통화요금이 하락하였다면 어떤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가? ①집 전화의 사용량이 감소할 것이다. ②이동전화의 사용량이 감소할 것이다. ③집 전화 사용량의 증감 여부는 알 수 없다. ④이동전화 사용량의 증감 여부는 알 수 없다. ⑤이동전...
-
경제 기타
(31) 총수요 곡선과 총공급곡선의 이동요인
물가와 금리 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 있을까? 통계청은 지난 1일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통해 소비자물가가 1년 전에 비해 4.1%,지난달에 비해서는 0.2% 상승했다고 밝혔다. 각종 신문과 방송은 앞다퉈 소비자물가가 20개월 만에 4%대를 돌파했다는 사실을 주요 뉴스로 전하면서,이는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 범위를 벗어난 수치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인지에 관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물가상승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