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스페인, 유럽 재정 위기 '태풍의 핵' 으로 떠오르나...
아일랜드 이어 국가 신용등급 강등... 유로화 붕괴 경고도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12월20일 스페인 은행 등급 강등을 경고하면서 아일랜드 5개 은행의 신용등급을 낮췄다. 무디스가 스페인 국가신용등급 강등을 밝히고 아일랜드 국가 신용등급을 5단계 낮춘 지 얼마 되지 않아서다. 무디스는 아일랜드의 국가 신용등급을 Aa2에서 Baa1으로 5단계 하향 조정하고 신용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무디스는 스페인은행이 "자본력과 수익성 및 ...
-
과학 기타
선천성 면역 단백질의 비밀 밝힐 'X-레이 결정학'
단백질과 신약후보 물질간의 결합 보여줘... 패혈증 치료 가능성 열어 분자의 구조를 직접 보는 것은 과거 과학자들의 오랜 꿈이었다. 분자의 구조로부터 분자의 화학적인 성질을 이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향상된 성질을 지닌 분자를 디자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분자의 구조를 보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현미경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미경의 해상도는 구조상 사용하는 빛의 파장의 2분의 1보다 좋을 수는 없기 때문에 분자와 같이 작은 입자...
-
이공계 유망학과 <27>- 세라믹공학과
도자기 · 유리에서 車 엔진 · 우주선 재료까지 ··· 물리 · 화학 · 전기 · 전자 · 망라된 첨단공학 세라믹스(ceramics)란 고대 그리스어의 'keramos(흙으로 만들어진,또는 불에 태워서 만든 물건)'란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사람이 인위적으로 열을 가해 만든 비금속 무기재료를 의미한다. 한자로는 흔히 요업(窯業) 또는 요업제품이라고 표현한다. 요(窯)는 구멍(穴) 속에서 양(羊)이 불(火)에 구워지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
-
'나의대학전공' <27> 정호정 행남자기 상무-요업공학
"세상의 모든 물질이 연구 재료가 되는 호기심의 학문" 정호정 행남자기 상무(여주 공장장)는 30년 넘게 도자기 연구 · 개발에만 힘써온 전문가다. 행남자기 여주공장은 '본차이나'(뼛가루를 이용해 만드는 자기) 생산 연 100만개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정 상무는 1975년 전남대 요업공학과를 졸업하고 군복무 후 1978년부터 쭉 행남자기에서 근무하며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정 상무는 "국내 도자기 기술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
제9회 테샛 수강자들 한자리에…다시한번 축하 드립니다!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인 테샛(TESAT) 제9회 시상식이 22일 한국경제신문 본사 17층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고교생 대상 수상자인 박현건군(대원외고 2학년,앞줄 왼쪽 여섯 번째),일반 부문 대상을 차지한 이상엽씨(한양대 경영학과 4학년,앞줄 왼쪽 네 번째) 등 입상자들이 신상민 한국경제신문 사장(앞줄 왼쪽 다섯 번째)과 함께 시상식을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강은구 한국경제신문 기자 egkang@hankyung.com
-
TESAT 공부하기 기타
국내총생산 (GDP)이 후생지표로 가지고 있는 한계점은?
문제1 경제학자들은 국내총생산(GDP)을 경제발전의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한다. 다음 중 국내총생산이 후생 지표로서 가지고 있는 한계점이 아닌 것은? ① 여가의 가치가 포함되지 않는다. ② 자국민이 해외에서 창출한 부가가치는 포함되지 않는다. ③ 국내총생산은 분배 상황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를 주지 못한다. ④ 생산활동이 일으키는 부작용,예컨대 공해의 폐해 등은 반영되지 않는다. ⑤ 범죄의 증가로 인한 경찰인력 확대가 GDP를...
-
경제 기타
(36. 끝) 양극화
거시경제학의 새 화두, '고용없는 성장' '경기 변동'과 '경제 성장'. 어떤 거시경제학의 교과서를 펼쳐보아도 맨 앞에 제시된 소개문에는 거시경제학의 두 화두를 던지고 있다. 우리도 이런 방향에 따라 그동안 여섯 번에 걸쳐 거시경제학의 탄생,경기변동,경제성장에 대한 글을 써왔다. 케인스로부터 시작된 거시경제학의 탄생,이후 이어진 학파 사이의 논쟁,그리고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라는 경기 안정화 정책의 양대 산맥을 다뤘다. 단기적 안정화 정...
-
경제 기타
이순신 장군 동상 다시 만들어야 할까요
찬 " 일본도에 중국 갑옷 걸친 정치적 상징물 " 반 " 충분한 고증 거쳤고 예술적 가치도 있어 " 보수를 위해 40일간 서울 광화문 광장을 떠났던 이순신 장군 동상이 지난 23일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다. 1968년 제작돼 42년간 광화문 광장을 지켜왔던 이 동상은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여러 군데 구멍과 균열이 발생하는 등 보수작업이 불가피해 지난 11월 중순 원래 있던 자리에서 임시 철거돼 경기도 이천의 보수공장인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