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고교생도 알아야 할 경제 지식 테스트 테샛, '국가공인' 괜히 받은게 아니네!

    ⊙소득 분배의 공평성을 나타내는 '로렌츠 곡선' 사회양극화가 해소되지 않는 상황이라서 소득 분배의 공평성을 나타내는 로렌츠 곡선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로렌츠 곡선은 X축을 전체 인구에서 특정 소득 분포에 속하는 사람의 비율이라 하고,Y축을 전체 소득 중에서 그 사람들의 소득 비율(소득점유율)이라 할 때 나타나는 곡선이다. 소득을 평등하게 분배한 경우는 원점에서 45도로 우상향하는 직선인 소득 균등분배선이 그려진다. 지니계수는 로렌츠...

  • 경제 기타

    아일랜드, 유럽금융위기에 다시 불붙이나

    IMF · 유럽연합과 구제 금융 지원 협상···'제2의 그리스' 우려 유럽발 금융불안이 다시 글로벌 금융시장을 엄습하고 있다.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아일랜드가 국제통화기금(IMF) 및 유럽연합(EU)과 구제금융 지원협상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면서 '제2의 그리스'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아일랜드뿐 아니라 최근 포르투갈 재무장관이 "포르투갈도 국제사회에 구제금융을 요청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히면서 유로화를 사용하는 ...

  • 과학 기타

    장(腸)의 건강 살펴보면 면역력이 좋은지 나쁜지 알 수 있대요!

    초파리를 모델로 '생체공생시스템' 연구 … 감마델타 T세포 규명도 최근 모 연예인이 신종플루에 감염돼 사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감기나 아토피 등 흔한 질병부터 신종플루까지 모든 질환에 이기고 지는 관건은 바로 면역력이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잘 유지될 때는 건강을 지켜주지만 반대로 교란되면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면역력이 좋은지 나쁜지는 장(腸)의 건강이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장 속에는 ...

  • 커버스토리

    <22>-로봇공학과

    “지능형 로봇분야 세계3大강국 이끌 전문 인력 키운다” '센토(Centaur),롭헤즈(ROBHAZ),휴보(HUBO)….' 한국의 로봇공학자들이 개발한 대표적인 로봇이다. 센토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94년부터 5년간 80억원의 연구비를 들여 개발했다. 국내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 humanoid)의 시초로 꼽힌다. 센토는 사람의 상반신과 말의 하반신을 결합한 모습으로 키 160㎝,무게 150㎏이다. 음성인식이 가능하고 ...

  • <22> 김문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능로봇 기술개발사업단장-로봇공학

    "인간 닮은 로봇을 만드는 흥미롭고 미래 지향적인 종합 학문" 김문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간기능 생활지원 지능로봇 기술개발사업단장은 25년 동안 로봇 연구를 해온 '로봇 전문가'다. 서울대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베를린 공대에서 로봇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 단장은 "인간을 닮은 로봇을 만드는 로봇공학은 무척 흥미로운 학문이고,로봇 기술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많아지고 있어 향후 전망도 밝다"며 "고교생들이 자신의 전공으로 선택하기 매우...

  • TESAT 공부하기 기타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는 어떻게 구분할까?

    문제 1 아래 글에 관한 보기의 설명 중 성격이 같은 것끼리 묶은 것은? 어느 기업이 신입사원을 고용할 때 신입사원의 임금은 노동의 한계생산가치(value of marginal product of labor)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하자.그런데,신입사원은 두 유형이 존재한다. H 유형의 신입사원은 높은 업무 능력의 소유자로서 한계생산가치가 월 300만원인데 이 유형의 신입사원은 약 40%이다. 그리고 L 유형의 신입사원은 낮은 업무 능력의 소...

  • 경제 기타

    (31) 총수요와 총공급

    임금은 단기적으로 경직적이다! 거시경제학은 경제를 멀리서 바라본다. 멀리서 바라본다는 것은 많은 것을 한 번에 고려한다는 것이며,한 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이 아니라 모든 시장을 더한 총수요와 총공급의 균형을 연구한다는 것이다. 모든 시장이란 한 나라 전체를 고려했다는 뜻이며,총수요와 총공급이 만나서 결정된 '가격'과 '수량'은 한 나라 전체의 가격을 평균한 '물가수준'과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GDP'로 볼 수 있다. 생산,즉 공급은 ...

  • 경제 기타

    개헌 꼭 필요한가요.

    찬 “제왕적 대통령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필요” 반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개헌 논의해선 안돼” 한동안 수면 아래로 내려갔던 개헌 이야기가 다시 여권을 중심으로 흘러나오면서 현 시점에서 개헌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는 최근 개헌 문제를 여당 내부 논의를 거쳐 여야 간 논의를 이끌고 다시 국회 차원에서 개헌특위를 구성하자는 소위 개헌논의 3단계 방법론을 제시했다. 국회 예산안 심의가 끝나면 의원총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