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연세대 2011학년도 논술 입학시험(인문계) 문제풀이<上>

    죽음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가 인간은 생명체로서의 본능이 약화된 존재이므로 동물계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다른 모든 종과 대조해볼 때 부인할 수 없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동물 집단과 그 집단 내 의사소통,연대성,공격성에 대해 아무리 연구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 특수성이 덜해지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이러한 특수성이란 이 세상에서 자신의 고유한 삶을 넘어서서 생각하거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인간의 타고난 능력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죽...

  • 학습 길잡이 기타

    (43) "모든 제시문은 문제 조건에 맞게 해석할 것"

    지난 시간에 이어 제시문의 형태에 따른 독해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소개했던 'not A but B' 형태의 제시문은 B라는 핵심을 꺼내기 위한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제시문 형태였습니다. ⊙ 동일한 내용이 확장되는 형태의 제시문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는 아무래도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의견만을 강조하는 형태겠지요. 그것이 설명이든 주장이든, 내용의 동일성을 가지고 진행이 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독해가 상당히 쉬...

  • 학습 길잡이 기타

    '제야의 종소리'와 해맞이

    '송구영신(送舊迎新).'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다는 뜻이다. 많은 사람이 새해를 맞으면서 가장 먼저 듣는 것은 서울 보신각에서 울리는 '제야의 종소리'이다. 12월31일 밤 12시 정각 '땡' 소리와 함께 종소리가 울려 퍼진다. 새해를 여는 첫 울림인 '제야의 종소리'는 누구에게나 기대와 소망, 설렘으로 다가온다. 그런데 '새해'와 '제야의 종소리' 사이에는 찬찬히 따져보면 논리적인 모순이 자리 잡고 있다. 우선 우리가 무심코 말...

  • 학습 길잡이 기타

    159. 명령꼴의 두 형태

    '~해라'는 직접명령, '~하라'는 간접명령형 #기업구조 글로벌화 "나를 따르라." #금융사 구조조정 서둘러라. 신문 제목으로 쓰인 두 예는 우리말에서 명령꼴로 쓰이는 형태 두 가지를 보여준다. 가령 누구나 알고 있듯이 '(무엇무엇을) 하다'를 명령형으로 만들면 '~해라'가 된다. 이는 일반적인 명령형이다. 직접명령형이라고도 한다. 이에 비해 형태를 좀 달리 하는 '~하라'형도 있는데 이를 특수 명령형이라 한다. 또는 간접명령형이라...

  • 경제 기타

    돈이 아닌 재능을 나누는 즐거움 '프로보노 운동'

    나눔문화 확산의 일등공신으로 프로보노 운동이 떠오르고 있다. '공익을 위하여'라는 뜻의 프로보노 퍼블리코(Pro bono publico)에서 유래한 이 운동은 미국에서 변호사를 선임할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회적 약자에게 변호사들이 무료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던 데서 시작돼,현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자신의 재능을 기부하는 활동을 말한다. 지난 10월30일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는 프로보노 운동의 일환으로 강연 기부 행사를 열었다. 그는 강...

  • 경제 기타

    한해를 미소로 마무리 짓는 '연말 경제학'

    거리마다 캐럴이 흘러넘치고 밤새도록 불빛을 밝히며 가족과,때론 연인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연말이 다가왔다. 한 해를 잘 마무리하고,주변 사람들에게 감사함을 표현하기 위해 선물을 주고받는 횟수도 상승곡선을 그리는 바로 그때이다. 무엇보다도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시키고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인들은 이때를 손꼽아 기다리는데,실제로 우리 경제에 좋게 작용하는 요인은 무엇이 있을까? 냉철하게 경제학적 관점으로만 본다면 선물을 주고받는 ...

  • 경제 기타

    블루오션 전략으로 눈부신 성장 이룬 스타벅스

    모든 경제활동에는 경쟁이 존재하듯 커피숍에도 마찬가지로 손님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 가격 경쟁이 펼쳐진다. 그래서 때로는 과도한 경쟁이 동종 커피업체뿐만 아니라 자기업도 망하게 하는 유혈사태가 벌어지곤 한다. 하지만 경쟁을 되도록 피하면서 차별화된 커피를 판매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이와 같이 과거의 상식에서 탈피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미개척의 시장을 형성하는 전략을 블루오션(blue ocean)전략이라고 한다. 이런 블루오션...

  • 경제 기타

    우주를 향한 나로호의 꿈, 아직 끝나지 않았어요!

    나로호 1,2차 발사가 모두 실패에 끝나면서 나로호에 대한 정부 예산 투자가 낭비라는 의견이 분분하다. 우리가 나로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나로호가 2차 발사마저 실패한 원인은 무엇일까? 나로호는 100㎏급 인공위성인 과학기술위성 2호를 지구저궤도(1500×300㎞)에 진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로켓추진체이다. 나로호가 발사에 성공하고,우리나라가 자체 제작한 과학기술 인공위성 2호가 궤도에 올라 지상 관제탑과 무선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