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길잡이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63)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업신여긴 뒤에 남이 그를 업신여긴다 - 맹자
『맹자』‘이루’에 실려 있는 글로,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업신여긴 뒤에 남이 그를 업신여기며, 집안은 반드시 스스로 훼손한 후에 남이 그 집안을 훼손하며, 나라는 반드시 스스로 공격한 뒤에 남이 그 나라를 공격하는 것이다”의 일부예요.우리는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았는데도, 스스로 주눅이 들어 눈치를 보다 결국 숨어버리는 자신을 만나곤 해요.숨지 마세요. 나는 나예요. 그냥 나예요. 누가 뭐라고 해도 나는 그냥 나예요. 그 모습을 인정하고 사랑해주세요.그러면 어깨가 펴지고 상대를 똑바로 쳐다볼 수 있어요. 이제 상대도 여러분을 업신여기지 못할 거예요.▶ 한마디 속 한자 - 然 : (연) 그러하다. 불타다. 그러하면. 그러고 나서▷ 개연성(蓋然性) : 절대적으로 확실하지 않으나 아마 그럴 것이라고 생각되는 성질.▷ 망연자실(茫然自失) : 멍하니 정신을 잃거나 어리둥절해 하는 모습을 이르는 말.허시봉 < 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
-
학습 길잡이 기타
최준원의 자연계 논술 노트 (242) Rh- 형과 적아세포증
-
학습 길잡이 기타
경인교대 심층면접
Ⅰ. 들어가며“가끔은 두려움과 떨림이 온몸을 휩싸고 돕니다. 하지만, 끝까지 해볼 겁니다.” 현민의 스토리면접을 본 한 학생은 이런 메일을 보내 왔다. 수능(11월13일)일이 다가오면서 이 학생처럼 긴장하는 학생들이 많다. 영화 ‘명량’에 나온 이순신 장군의 대사로 용기를 주고 싶다. “만일 그 두려움을 용기로 바꿀 수만 있다면, 그 용기는 백배 천배 큰 용기로 나타날 것이다.” 최근 경인교대에 대해 심층분석을 해달라는 문의가 많았다. 자세히 살펴보자.Ⅱ. 경인교대 면접 특이사항1. 경인교대는 2015학년도 수시모집 전형에서 1단계 서류평가로 선발인원의 2배수를 선발한다. 학교생활기록부(교과부분, 비교과부분), 자기소개서를 종합평가한 것이다. 이렇게 선발된 학생에 대하여 2단계 심층면접을 한다. 이때 심층면접 50%와 1단계 성적 50%를 합산하여 합격하게 된다. 개인면접과 집단면접 등 다양한 방식의 심층면접을 통해 종합평가한 것이다.2. 심층면접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개인면접의 경우 학생이 제출한 서류를 바탕으로 질의하고 응답하는 데 10분 정도 소요된다. 교직인성부문과 교직적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집단면접은 다수의 수험생이 공동으로 문제해결 및 발표를 하는 것으로 30여분 소요된다. 보통 6명(결시하면 더 적은 경우도 있음)으로 조가 구분된다.이때 중요한 것은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협동심, 리더십이다. 즉, 주어진 문제가 무엇인지 그 의미의 파악능력, 이에 대한 장점과 단점으로 비교분석하는 분석력, 이를 바탕으로 원인을 파악하였다면 각각에 대한 해결방식을 제시하는 창의성 및 현실적합성, 그리고 상대방이 말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예금의 단·복리 차이와 '자연상수 е'연이율 1%의 이율로 이자를 쳐주는 은행상품에 100만원을 10년 동안 맡겨 두면 이자가 붙어 얼마를 찾게 될까?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에는 단리법과 복리법 두 가지가 있다. 단리법은 이자가 매년 원금 100만원에만 한 번씩 붙는 방식이고 복리법은 원금과 이자를 합한 총 금액에 이자가 붙는다. 표1은 1년에 한 번씩 1%의 이율로 이자를 계산했을 때 원리합계를 나타낸 것이다. 돈을 맡긴 후 1년 차에는 단리법과 복리법의 차이가 없지만 해가 거듭될수록 두 원리합계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단리법에 비해 복리법의 이자가 기간이 길수록 훨씬 많아지기 때문에 ‘복리의 마술’이라고도 한다. 수열의 관점에서 해석할 때, 단리법으로 계산하면 매년 같은 금액의 이자가 붙는 방식이므로 원리합계가 등차수열을 이루는 것에 반해 복리법으로 계산하면 매년 같은 비율로 증가하는 등비수열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그런데 연이율 1%의 복리로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은 위의 표1과 같이 1%의 이율로 1년에 이자를 한 번 계산해 줄 수도 있지만 반으로 쪼갠 1/2%의 이율로 두 번에 걸쳐 이자를 계산해 줄 수도 있고 1/n%의 이율로 n번에 나누어 계산해 줄 수도 있다. 아무래도 쪼갠 횟수 n이 커질수록 원리합계는 더 커질 것 같은데 과연 얼마나 더 커질까? 또 n을 무한히 크게 하면 원리합계도 따라서 무한히 커지게 될까? 아니면 적당한 값에 수렴하게 될까? 각자 엑셀을 이용하여 n의 값이 늘어남에 따라 원리합계가 어떻게 변하는지 직접 확인해보길 권한다.원금 A원에 대해 연이율 r의 이자를 1년에
-
학습 길잡이 기타
(62) 사람을 다스려도 다스려지지 않거든 자신의 지혜를 돌아보라 - 맹자
『맹자』‘이루’에 실려 있는 글로, “사람을 사랑해도 친해지지 않거든 그 인(仁)을 돌이켜보고, 사람을 다스려도 다스려지지 않거든 그 지(智)를 돌이켜보고, 사람에게 예(禮)를 다해도 답례하지 않거든 그 경(敬)을 돌이켜보아야 한다”의 일부예요.지도자가 되어 흔히 하는 실수가 있어요. 아랫사람이 자신을 따르지 않는다고 우는 소리를 하는 거예요. 만약 여러분이 이와 같은 상황이라면 먼저 생각할 것이 있어요.나는 이 일에 충분한 고민을 했는지, 나는 최선을 다해 아무런 후회가 없는지 말이죠. 이렇게 자신을 돌아봤는데도 잘못이 없거든, 그때 아랫사람들을 탓하세요.▶ 한마디 속 한자 - 智 : (지) 슬기, 지혜, 지혜롭다▷ 중지(衆智): 여러 사람의 지혜.▷ 지자일실(智者一失) : 슬기로운 사람도 많은 생각 중에는 간혹 실수가 있음.허시봉 < 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
-
학습 길잡이 기타
홍상수의 맛있는 과학논술 (17) 생물·화학 서울대 기출문제
홍상수 < S·논술 자연계 논술강사 immanuel78@gmail.com >
-
학습 길잡이 기타
춘천교대·세종대 심층면접
Ⅰ. 들어가며최근 현대자동차 입사시험에 이런 문제가 나왔다. ‘본인의 관점에서 역사상 저평가되었다고 생각되는 인물에 대해 쓰시오.’ 이 문제는 과거의 사실을 분석해서 장단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티브를 찾고자 하는 데 맞춰져 있다.대학면접도 미래 자신의 꿈을 향해 질주해갈 학생을 뽑기 위해 지원 학생의 과거 장단점을 분석하고 자기 대학에 맞는 학생인지, 미래 사회변화에 맞는 학생인지를 파악하려 한다. 과거에 대한 비판적 분석력과 미래에 향한 질주 가능성을 면접장에 10분 안에 보여줘야 하는 이유다.Ⅱ. 실전면접 질문·답변·평가 - 춘천교대 / 세종대1. 춘천교대 실전면접=초등교육과에 합격한 은소양(가칭)학생 (글로벌인재전형)2015학년도 춘천교대는 수시모집인원 121명을 100%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뽑는다. 또한 ‘초등교육학과’ 하나로 선발하고, 입학시 윤리교육과, 국어교육과, 사회교육과, 교육학과,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실과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체육교육과, 영어교육과, 컴퓨터교육과로 배정한다.면접평가(100점)는 집단면접(60점)과 개별면접(40점)으로 이루어진다. 집단면접은 6명 내외로 구성된 조로 나누고 30분 정도 토론한다. 개별면접은 지원자 1명이 10분 정도 평가위원 3명 앞에서 이뤄진다. 학생부, 자기소개서, 교과추천서를 기본으로 질의 응답 순서로 진행된다. 성장 가능성이 있는 학생, 학업능력·실천능력·창의성 등이 있는 학생, 리더십·봉사정신·소통공감력 등을 갖춘 미래 초등교사를 뽑는다.[집단토론면접]=문제: 대학 캠퍼스 내 음주 규제하는 법안에 대한 찬반토론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인문 수리논술 핵심은 '주어진 조건의 정확한 분석'인문 수리 논술에는 자연 수리논술과 달리 학생이 가지고 있는 수학적 지식의 깊이나 문제 풀이 능력보다는 ‘주어지는 상황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생각을 풀어가는 능력’의 측정에 더 큰 비중을 둔다. 다음 소개된 인문 수리 논술 문제도 수학적 지식이 전혀 없어도 주어진 조건을 잘 분석하면 답을 얻을 수 있다. 게임 형식의 상황이 조건으로 주어져 문제를 접하는 데 거부감이 없을 뿐 아니라 대학 입학 논술문제라는 부담감을 느끼지 않아도 좋다. 주어진 조건을 잘 분석하여 답을 찾아 보자.<문제>9 이하의 서로 다른 자연수로 구성된 미지의 네 자리 수를 알아내기 위하여 무작위로 네 자리 수를 다음과 같이 불러보았다. 이때 수의 자리와 숫자가 동시에 맞으면 스트라이크(strike)를, 자리는 틀렸지만 숫자가 맞으면 볼(ball)을 선언해 주도록 하였다.A:9412를 불렀다. 결과는 스트라이크 1개B:3197을 불렀다. 결과는 스트라이크 1개, 볼 1개C:5678을 불렀다. 결과는 스트라이크 1개, 볼 1개D:8956을 불렀다. 결과는 볼 2개E:1234를 불렀다. 결과는 볼 2개F:6713을 불렀다. 결과는 스트라이크 1개, 볼 1개위의 정보만으로 답을 얻기 위해서는 정보들의 활용 순서가 중요하다. 정보를 활용한 순서와 함께(예:B-C-F-D-A-E) 미지의 네 자리 수를 답하시오.<해설>먼저 미지수에 포함되는 수와 포함되지 않는 수를 구한다. C와 E에서 12345678 안에 구하는 숫자 4개가 모두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9는 절대 구하는 숫자가 될 수 없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D와 E를 통해 7은 구하는 숫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