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길잡이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크리스마스 영어 읽기
'크리스마스 기간'은 영어로 at Christmas라고 합니다. on Christmas라고 하지 않는 이유는 크리스마스를 하나의 '시점'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크리스마스 당일은 영어로 on Christmas Day라고 한답니다.You better watch outYou better not cryYou better not pout I’m telling you whySanta Claus is coming’ to town조심하는 게 좋을 거야.울지 않는 게 좋을 거야.삐쭉거리지 않는 게 좋을 거야. 이유를 말해줄까?산타할아버지가 우리 마을에 오시거든.He's making a listHe’s checking it twiceHe’s gonna find out Who’s naughty or niceSanta Claus is coming’ to town그(산타)는 리스트를 가지고 있어.두 번이나 체크하지.누가 나쁜 아인지 착한아인지 찾아낼 거야.산타할아버지 우리 마을에 오시네.He sees you when you’re sleepingHe knows when you're awakeHe knows if you've been bad or goodSo be good for goodness sake네가 잘 때도 널 보고 있어.네가 깨어있을 때도 알고 있어.네가 착한 일할 때나, 나쁜 일할 때도 알고 있지.그러니 제발 착해져라.산타할아버지 우리 마을에 오시네.우리나라에서 [울면 안돼]로 널리 알려진 이 노래에서 had better는 조심해서 해석해야 합니다. 흔히 had better를 “~하는 게 더 좋다”라고 번역하는데, 사실 이 표현은 ‘안했을 경우 너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길 수도 있다.’라는 협박(?)의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랍니다.독일의 크리스마스에는 ‘크레시드 루프레히트’라는 우리에게 낯선 캐릭터가 등장한답니다. 산타의 조수로 선물 배달 등의 일을 도우며 나쁜 짓을 한 어린이들은 지팡이로 때려주고, 더 나쁜 짓을 한 어린이들은 들고 다니는 자루 속에 넣어가지고 간다고 합니다. 독일 아이들에게는 크
-
학습 길잡이 기타
호랑이와 표범은 발톱을 드러내지 않는다. - 회남자 -
▶『회남자(淮南子)』 ‘병략훈(兵略訓)’에 아무도 모르는 용병술로 백전백승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온다.새가 (먹이를) 잡아채려고 할 때는 그 머리를 숙이고, 맹수가 (먹이를) 덮치려고 할 때는 그 발톱을 숨긴다. 호랑이와 표범은 그 발톱을 드러내지 않으며 물려고 할 때도 이빨을 드러내지 않는다. 그러므로 용병의 도는 부드러운 면을 보여주고 (실제로는) 굳셈으로 상대하며, 약함을 보여주고 강함으로 압도하며, 군사를 줄일 것처럼 하다가 늘려서 대응하며, 서쪽으로 가려고 하면 동쪽으로 가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하면 처음에는 어긋나는 것 같지만 나중에는 합치되고, 처음에는 어둡지만 나중에는 밝아진다. 이런 병법은 귀신처럼 자취가 없고, 물처럼 비롯된 곳이 없다.회남자는 신의 경지에 올라 백전백승하고 벼락 치는 것과 같이 상대를 무력화시킬 방법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 내용을 확인하면 이내 실망스럽다. 그 비법이라는 것이 상대가 자신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숨기고, 상대를 속여 방심하게 한 후 뒤통수를 후려치라는 말이다. 참 비겁한 수다. 하지만 패배가 바로 죽음으로 연결되는 전쟁터에서 비겁이라는 단어는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는지도 모른다.▶ 한마디 속 한자-虎(호) 범, 호랑이,용맹스럽다▷호구(虎口): 1. 범의 아가리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나 형편. 2. 어수룩하여 이용하기 좋은 사람.▷화호유구(畵虎類狗):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소양이 없는 사람이 호걸인 체하다가 도리어 망신을 당함.
-
학습 길잡이 기타
다르다고, 틀린 것은 아니죠
alien은 다들 아시는 것처럼 '외국인, 이방인'이란 뜻입니다. 또 '문외한', '따돌림을 당하는 사람'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리고 너무나도 유명한 영화 [Alien]에서 알 수 있듯이, '외계인'이란 뜻도 있답니다.I’m an alien, I’m a legal alienI’m an Englishman in New York나는 외부인이죠. 합법적인 외부인,뉴욕에 사는 영국 사람이니까요.Modesty, propriety can lead to notorietyYou could end up as the only oneGentleness, sobriety are rare in this societyAt night a candle’s brighter than the sun겸손, 예의바름이 자칫 악명으로 연결되고결국 그 때문에 외톨이가 될 수도 있죠.이 사회에서는 점잖음과 절제는 거의 볼 수 없어요.밤에는 태양보다 촛불이 더 밝죠.Takes more than combat gear to make a manTakes more than license for a gunConfront your enemies, avoid them when you canA gentleman will walk but never run갑옷과 무기만이 남자의 조건은 아니에요.총이 있다고 해서 남자다운 건 아니에요.적과 당당히 맞서되, 가능하면 그들을 피하세요.신사는 걷지, 절대 뛰지 않아요.If “manners maketh man” as someone saidThen he’s the hero of the dayIt takes a man to suffer ignorance and smileBe yourself no matter what they say누군가 말했듯이, “예절이 사람을 만든다”면그가 바로 오늘의 영웅일 거예요.진정한 남자만이 무시를 당하고도 웃을 수 있지요.남들이 뭐라고 해도, 항상 자신을 잃지 마세요.‘스팅’의 감미로운 목소리가 빛나는 [Englishman in New York]의 가사는 정말 곱씹을수록 철학적인 것 같습니다. 누구나 살면서 남과 다르다고 느끼고, 그래서 한번쯤은 ‘이방인’이 된 기분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방인’과 관련된 영어
-
학습 길잡이 기타
기술을 선택할 때는 신중하 지 않으면 안된다 -맹자-
▶『맹자(孟子)』 ‘공손추상(公孫丑上)’에 직업과 관련해 기술을 익힐 때 신중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맹자가 말했다. “화살 만드는 사람이 어찌 갑옷 만드는 사람보다 어질지 못하겠는가마는 화살 만드는 사람은 오직 (자신이 만든 화살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못할까 걱정하고, 갑옷 만드는 사람은 (자신이 만든 갑옷이 약해서) 사람이 다치지 않을까 걱정한다. 무당과 관을 짜는 사람도 또한 그러하다. 그러므로 (직업과 관련해) 기술을 선택할 때는 신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사람이 다치거나 죽어야 돈을 버는 직업이 있는가 하면, 사람이 살아야 돈을 버는 직업도 있다. 범죄가 아니라면 두 직업 모두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직업일 것이다. 하지만 갈수록 사람들의 불안감과 공포심을 조장해 먹고사는 직업이 늘어만 간다.누군가 기술을 배워 직업을 선택한다고 할 때, 돈만 많이 벌면 된다고 부추기지 말고 사람이 세상을 살아내는 데 필요한 일을 하도록 권해주자. 그 권함이 많을수록 우리 세상도 함께 살만해지지 않겠는가.▶한마디 속 한자-術(술) 꾀, 재주, 방법, 짓다 ▷산술(算術): 일상생활 에 응용할 수 있는, 수와 양의 간단한 성질 및 셈 을 다루는 수학적 계산 방 법.▷권모술수(權謀術數): 목 적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 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 갖 모략이나 술책.
-
학습 길잡이 기타
사람의 아래가 되는 것은 땅과 같은 것이다. - 순자 -
▶ 《순자(荀子)》 ‘요문(堯問)’편에 있는 글이다. 자공(子貢)이 아랫사람의 역할을 잘 수행하려면 어떤 마음가짐이라야 하는지 묻는다. 공자는 땅에 비유하여 대답한다.자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제가 사람의 아래가 되는 방법을 알지 못하겠습니다.” 공자가 말했다. “사람의 아래가 되는 것이여! 그 땅과 같도다. 깊이 파면 단 샘물을 얻고 심으면 오곡이 번성하고, 풀과 나무가 번식하며 짐승들이 길러지며, 살아서는 서 있고 죽어서는 들어가니, 그 공로가 많지만 쉬지 않는다. 사람의 아래가 되는 것은 그 땅과 같은 것이다.”대부분 사람은 정점의 자리에 있을 수 없다. 설사 그 자리에 올랐다고 느끼더라도 금방 내 위에 존재하는 누군가와 마주하게 된다. 그래서인지 선현들은 아랫사람이 되는 법을 종종 이야기한다.어떤 일을 시키더라도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사람. 방향만 제시하면 그 나머지는 알아서 진행하는 사람. 아랫사람들을 잘 챙기고 보살펴 신망이 두터운 사람.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이 모든 일을 쉬지 않고 하는 사람. 이런 아랫사람만 있다면 못할 일이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참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내가 만약 윗사람이라면 이런 아랫사람을 두고 싶다.▶ 한마디 속 한자-猶(유) 오히려, 같다.▷ 유예(猶豫): 1. 일을 결행하는 데 날짜나 시간을 미룸. 2. 『법률』소송 행위를 하거나 소송 행위의 효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을 둠.▷ 과유불급(過猶不及):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
학습 길잡이 기타
올 수능에서 만난 영어단어 이야기
31번에서는 '글자 그대로'의 뜻을 가진 literal이 '(번역/해석 등이) 원문 어구에 충실한'이란 뜻으로 쓰였답니다. 그래서 a literal adaptation of the novel은 '소설을 원문에 충실하게 각색한 것' 정도로 해석하면 됩니다.In the grandest irony of all, the greatest benefit of an everyday, utilitarian AI will not be increased productivity or an economics of abundance or a new way of doing science - although all those will happen.가장 아이러니하게도, 일상적이고 실용적인 AI의 가장 큰 이점은, 비록 그 모든 것이 일어날 것이지만, 향상된 생산성이나 풍요의 경제학, 혹은 과학을 행하는 새로운 방식이 아닐 것이다.The greatest benefit of the arriv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at AIs will help define humanity.인공지능의 도래가 주는 가장 큰 이점은 AI가 인간성을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것이다.위 문장은 많은 학생이 가장 어렵게 느꼈던 문제 중 하나인, 이번 2018학년도 수능 영어 34번 지문의 마지막 부분입니다.1. 생산성 향상 2. 풍요로운 경제 3. 과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은 인공지능이 가져다줄 수 있는 기본적인 혜택들이지만, 놀랍게도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혜택은 이런 것들이 아니라, ‘인간의 정체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계기라는 것이 이 글의 핵심입니다.뭔가 굉장히 철학적인 글처럼 느껴지는데, 사실 요즘은 TED 같은 강연에서도 많이 다루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1년마다 한 번씩 찾아오는 수능 영어. 오늘은 그 수능 영어에서 만난 단어들에 대해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21번에서는 ‘후퇴하다, 물러서다’라고 외웠던 retreat이 ‘휴양지’란 뜻으로 나왔습니다. 그래서 본문의 company retreat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생글 논술경시대회 수상을 축하합니다 ^^
11월4일 치러진 24회 생글논술경시대회는 전국 10여 개 고교가 단체로 참가했고 500여 명의 고교생이 응시했다. 24회 대회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해야 하는 고교 3학년을 제외한 1, 2학년을 대상으로 치러졌다.이번 논술대회에서는 김나영(영신여고 1) 김예진(경명여고 1) 하정민(진명여고 2) 박주영(진명여고 2) 등 네 명의 학생이 고1공통, 고2인문 각 부문 대상과 최우수상을 각각 차지했다. 고2 자연 부문은 대상, 최우수상에 적합한 답안이 없어 수상에서 제외됐다. 24회 논제 및 해제는 홈페이지 수상자 발표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첨삭지, 성적표, 자료집, 상장(수상자에 한함)은 2월 초 일괄 발송되며 상금 지급 대상자는 개별 연락할 예정이다.- 고1공통 유형대상(1명) : 상장, 장학금 30만원△김나영(영신여고)최우수상(1명) : 상장, 장학금 20만원△김예진(경명여고)우수상(8명) : 상장△김나윤(경명여고) △김수경(함현고) △김예은(부일외고) △김지영(경명여고) △동다훈(부일외고) △이도은(경명여고) △이연빈(진명여고) △이영경(부일외고)장려상(26명) : 상장△구민(광양고) △김다연(경명여고) △김도희(인천하늘고) △김서연(부일외고) △김수민(부일외고) △김수호(이화금란고) △류지원(부일외고) △박경령(부일외고) △박민규(세화고) △박서영(경명여고) △변규리(부일외고) △변지산(부일외고) △손송현(부일외고) △손현우(안산동산고) △신형목(부일외고) △안소희(경명여고) △염수민(부일외고) △이승택(세화고) △이원석(세화고) △이준수(부일외고) △정민수(부일외고) △조기범(세화고) △조해정(경명여고) △주효빈(부일외고) △허호민(세화고) △황보효윤(부일외고)- 고2인문 유형대상(1
-
학습 길잡이 기타
"출제의도 파악해 제시문 분석하는 게 논술의 포인트죠"
1. 출제 의도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말이 ‘빨리빨리!’라고 한다. 빠른 속도를 중시하는 한국인 품성의 기원이 언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 변화의 속도가 빠른 사회인 것만은 틀림없다. 물론 이런 빠른 속도가 한국의 경제성장에 일조한 바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빠른 속도보다 중요한 게 분명 존재한다. 빠르게 가는 게 능사는 아닌 것이다. 경제성장, 물질적 풍요를 위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추구하며 ‘빠름’을 지향해 온 현대인의 삶이 행복과는 거리가 멀었음을 인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최근 한국 사회에서도 ‘슬로 라이프(slow life)’를 추구하며 자신의 삶에 집중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의 바쁜 생활에서 벗어나 한적한 농촌의 삶을 선택하는 사람들도 증가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의 기저에는 빠른 사회 변화가 무엇을, 누구를 위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한다.2. 제시문 분석(가)현대 사회는 속도가 숭배되는 사회이다. 무한경쟁 시대에는 속도가 경쟁력이다. 속도의 시대이고 속도가 모든 것을 결정하고 변화시키고 있다. 실제 컴퓨터와 인터넷은 인간의 사고와 생활양식을 급속도로 바꾸고 있다. 앞으로 디지털 기술은 더욱 놀라운 속도혁명을 일으킬 것이다. 속도의 물결에 앞장서면 승리자이지만 이탈하면 낙오자가 되기 일쑤이다.제이 그리피스(Jay Griffiths)는 ‘시계 밖의 시간’에서 ‘비록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현대에 이르러 시간의 묘사방식마저 철저하게 이데올로기적’이라고 지적했다. 시간이라는 개념에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관이나 사상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우리는 인간의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