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생글기자
에이지 테크, 고령사회 해결 '만능 열쇠' 아니다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시니어 세대를 위한 기술을 뜻하는 ‘에이지 테크(age tech)’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에이지 테크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기술 등을 활용해 고령층의 건강관리와 사회적 고립 해소, 안전 확보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와 제품을 말한다. 스마트 워치 기반 건강 모니터링, AI 스피커를 통한 응급 호출 서비스 등이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고령층의 기술 소외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에이지 테크 제품과 서비스는 아직 가격이 비싸 소득이 충분하지 않은 고령층에게 큰 부담이 된다. 응급 호출 서비스는 월 5만원 이상의 구독료를 내야 하고, 초기 구입 비용이 수십만 원을 넘는 제품도 많다. 이 때문에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고령층은 일부에 그치고, 저소득 고령층은 소외되는 디지털 불평등이 심각하다. 더구나 고령층은 스마트 기기 활용에 익숙하지 못하다. 작은 화면과 복잡한 기능이 기기 사용을 더 어렵게 해 오히려 고령층에게 불편을 주기도 한다.기술개발에 치우쳐 정작 고령층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AI와 로봇이 식사 시간과 약 복용 시간을 챙기더라도 정서적 교감을 통해 외로움을 해소해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전문가들은 에이지 테크는 고령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만능열쇠가 아니라 도구의 일부로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초고령사회의 그림자를 걷어내려면 지역사회 돌봄과 세대 간 교류 강화 등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김예린 생글기자(대구제일여상 2학년)
-
경제 기타
원가가 가격결정? 시장경제에 대한 오해다
이번 대통령 선거 운동 기간 때아닌 커피 원가 논란이 있었다. “커피 한 잔에 8000~1만원 받을 수 있는데, 알아보니 원가가 120원이더라”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발언이 논란을 불렀다. 커피점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우리가 폭리를 취한다는 거냐”며 반발했고, “인건비와 임차료는 원가에 안 들어가느냐”는 비판이 뒤따랐다. 이 후보나 그를 비판하는 사람들이나 원가, 가격, 이윤에 대해 오해하고 있기는 매한가지다. 그들은 무엇을 착각하고 있을까.커피 원가는 얼마일까커피 원가부터 따져보자. 자영업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커피점에서 사용하는 원두는 저렴한 것도 1㎏짜리 한 팩에 1만7000원이다. 아메리카노 한 잔(더블샷)에는 원두 20g이 들어간다. 사용 과정에서 버려지는 양을 감안하면 원두 1㎏으로 커피 40잔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커피 한 잔당 원두 가격은 최소 425원이다. 고가 커피 프랜차이즈가 가맹점에 납품하는 원두 가격은 ㎏당 3만원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다. 3만원으로만 잡아도 한 잔당 750원이다.라테에는 우유가 추가된다. 라테 한 잔에 보통 우유 200mL를 넣는다. 우유 가격을 L당 2000원으로 잡으면 잔당 400원이다. 생두를 사서 로스팅하면 원두 원가를 낮출 수는 있다. 그러나 로스팅 장비 하나에 수천만원이 들어간다. 인건비까지 감안하면 소규모 카페는 오히려 손해다.또 있다. 원두와 우유는 커피 판매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 즉 가변 비용이다. 이것 말고 고정 비용이 있다. 아무리 작은 카페도 전기요금이 한 달에 수십만원 들고, 임차료도 내야 한다. 카페 인테리어에 1억원은 우습게 깨진다. 이런 것은 커피를 한 잔도 못 팔아도 들어가는 비용이
-
생글기자
양곡법 개정안, 포퓰리즘 될 위험 크다
더불어민주당이 양곡관리법 개정을 재추진하고 있다. 시장에서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농민의 안정적 소득을 보장하고 식량난에 대비한 안전망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이런 취지에도 불구하고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몇 가지 걱정되는 점이 있다.첫째, 보조금 지급은 쌀의 공급과잉을 해결하지 못한 채 세금 낭비를 초래할 위험이 크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3년산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쌀 생산량은 370만2000톤으로, 전년보다 6만2000톤 감소했다.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으로 전년 대비 0.6% 줄었다. 수요는 감소하는데, 보조금 정책으로 생산량이 유지되면 남는 쌀을 세금으로 매입하는 악순환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둘째, 보조금 정책은 경쟁력을 잃은 농가를 시장에 잔류시킨다. 경쟁력이 낮은 생산자가 보조금으로 유지된다면 품질 개선 동기는 약해진다. 농업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 없이 보조금에 의존하는 방식은 예산 낭비를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가장 우려되는 점은 이 정책이 표를 얻기 위한 포퓰리즘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다. 한국경제신문 보도에 따르면 국무조정실이 실시한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에 대한 표본조사 결과 무려 2267건의 부당 집행 사례가 적발됐다. 베네수엘라는 선심성 현금 살포와 무분별한 복지정책을 펼쳤다. 그 결과 국가 재정이 파탄 나 의료·식량 지원 등 필수적인 예산 집행조차 불가능하게 됐다. 포퓰리즘에 치우친 보조금 정책 대신 쌀 가공산업 활성화 등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이동훈 생글기자(Seoul Scholars International 11학년)
-
숫자로 읽는 세상
"6월 모평 국어·수학 지난해 수능과 비슷"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 국어·수학 영역이 지난해 수능과 유사한 난이도로 출제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불수능’이라 불리던 2024학년도 수능보다는 쉬웠으며, 비교적 평이하다고 평가된 2025학년도 수능과는 비슷하거나 약간 쉬웠다는 분석이다.EBS 수학 대표 강사 심주석 인천하늘고 교사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제 경향 브리핑에서 수학 영역과 관련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다양한 난이도의 문항이 골고루 출제됐다”며 “전체적인 난이도는 작년 수능과 비슷한 수준으로 보인다”고 밝혔다.2023학년도 수능에서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으로, 전년(148점) 대비 8점 낮았다. 같은 해 9월 모의평가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136점으로, 수능보다 다소 쉬운 수준이었다. 심 교사는 “작년 9월 모의평가에서는 만점자가 많이 나왔지만, 이번에는 그 정도까지는 아닐 것”이라며 “2023 수능 당시 만점자 수인 1522명보다 조금 적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상위권 수험생들이 접근하기 쉬운 문항들이 출제된 반면, 일부 문항은 다소 까다롭게 느껴졌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EBS 측은 공통과목인 수학Ⅰ의 22번, 수학Ⅱ의 15번, 선택과목인 확률과통계·미적분의 30번 문항 등을 최상위권 변별 문항으로 꼽았다. 이들 문항은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논리적 사고가 필요한 문제였다고 말했다.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합답형·완성형 문항은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메가스터디와 대성학원 역시 이번 수학 영역에 대해 “작년 수능보다 약간 쉽게 출제됐다”는 평가
-
숫자로 읽는 세상
세계 100대 벤처투자자 중 한국인 '제로(0)'
글로벌 100대 벤처투자자 중 한국인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내수 유니콘’ 배출에만 집착해온 국내 벤처캐피털(VC)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초대형 VC가 주도하는 글로벌 혁신 생태계에서 소외돼 있다 보니 기술력을 갖춘 한국의 유망 스타트업조차 해외로 날아가 글로벌 VC 자금을 받는 추세다.2일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가 발표한 ‘미다스 리스트 2025’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톱 벤처캐피털리스트로 선정된 100명 중 74명이 미국에서 활동 중인 것으로 분석됐다. 활동 지역 기준 중국 14명, 영국 6명, 이스라엘 2명 순이다. 독일, 우루과이, UAE에서도 한 명씩 나온 반면, 한국에서 활동하는 투자자는 100명 중 단 한 명도 없다.미다스 리스트는 글로벌 VC업계에서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는 벤처투자자 명단이다. 최근 5년간 회수 실적과 업계 평판, 투자 다양성 등을 기준으로 순위를 정한다. 국적별로 분석해도 한국인 투자자는 없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베네수엘라 국적의 투자자가 50위 안에 이름을 올린 것과 대조적이다. 미국 테크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VC판에 영향을 주는 한국계 빅샷이 없다”며 “실리콘밸리에선 국적별로 서로 끌어주는데 한국 투자자의 입김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했다.명단에 이름을 올린 스타 투자자는 주로 오픈AI(앨프리드 린), 에어비앤비(리드 호프먼), 팰런티어(피터 틸) 등 굵직한 글로벌 기업에 초기 투자로 들어갔다. 중국에서도 바이트댄스·디디추싱 등 대형 기업이 나왔고, 이를 통해 중국 투자자들이 명성을 얻었다. 하지만 한국 유니콘기업은 대부분 내수기업이다. 이들 기업
-
교양 기타
다 이룬 그 순간이 새로운 시작이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
우물 속의 달이규보산중의 스님이 달빛을 탐하여호리병 속에 물과 함께 길었네절에 들어가면 깨닫게 될 것병 기울여도 그 속에 달이 없다는 것을詠井中月山僧貪月色, 幷汲一甁中.到寺方應覺, 甁傾月亦空.고려 명문장가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시입니다. 그의 시풍은 당대 최고로 평가됐는데, 몽골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 격퇴해 더욱 유명해졌죠.청풍명월은 임자가 따로 없습니다. 누구나 마음대로 취해도 탓할 사람이 없지요. 산중의 바람이나 달은 다른 곳보다 더 맑고 밝으니 스님의 차지도 그만큼 풍족할 것입니다. 굳이 탐했다고 할 나위도 없겠네요.그런데 스님이 우물 속에 금빛으로 넘실거리는 달빛을 병 속에 물과 함께 길었다고 했습니다. 부질없는 짓이었죠. 달빛은 절 처마 밑으로만 들어가도 비치지 않고, 병 속의 물을 다 기울여도 나올 리가 없습니다. 그것은 그저 하나의 색(色)일 뿐이지요. 하긴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라고 했습니다.인생은 가만히 보면 ‘색’이고 ‘공’이 시에도 ‘색’과 ‘공’이 함께 나오지요. 1구(山僧貪月色)의 마지막 글자인 ‘색’과 4구(甁傾月亦空)의 마지막 글자인 ‘공’이 색즉시공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인생이란 게 가만히 보면 ‘색’이고 ‘공’입니다. 어떤 모습을 드러내며 살더라도 죽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으니까요.이규보는 평소에 시·술·거문고를 좋아해서 ‘삼혹호 선생’(三酷好先生)으로 불렸습니다. 워낙 술을 좋아하고 풍류를 즐겨 과거시험에는 관심도 없고 시회(詩會)에 드나드는 것에 열중해서 스무 살이 될 때까지 사마시(
-
경제 기타
연기금 영향력 막강…주식시장 왜곡 우려도
국민연금공단이 내년 국내 주식 목표 비중을 기존 14.9%에서 14.4%로 0.5%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국내 주식투자 비중을 줄이고 그만큼 해외 주식과 대체투자를 확대해 수익률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이 같은 포트폴리오 조정이 국내 자산 투자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안이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해 국민연금에 유입되는 자금이 늘어나게 됐기 때문이다. 이 안은 현재 9%인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13%로 높이는 게 핵심이다.-2025년 5월30일자 한국경제신문-국내 300여 개 상장사의 지분 5%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인 국민연금이 국내 주식투자 비중을 줄이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투자 비중을 줄이지만 투자액은 오히려 늘어납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기존 9%에서 13%로 높이는 연금 개혁이 이뤄지면서 당초 1882조원(2041년)이던 기금 규모 ‘정점’이 3659조원(2053년, 기금운용수익률 4.5%→5.5% 가정 시)으로 2배가량 늘어나기 때문입니다.국민연금이 이 중 10%만 국내 주식에 투자해도 366조원으로, 올해 투자액(153조원) 대비 2배가 넘습니다. 연금개혁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국민연금의 영향력을 더 커지게 만드는 셈입니다.보험료 인상은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는 동시에, 적극적 투자로 수익률을 높여 기금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선택이었다는 것이 다수 전문가의 시각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번 연금 개혁이 전에 없던 새로운 문제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이른바 ‘연기금 거대화의 문제’입니다.문제의 시작은 거대해진 연기금이 ‘가격’을 매개로 한 시장 질서를 교란하는 ‘메기&rsq
-
경제 기타
두 나라 화폐 교환비율…통화가치와 반대로 움직여
경제 현상을 개방경제로 확대해 설명하기 시작한 이후에 지금까지 무역의 발생 및 자금의 이동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살펴봤다. 하지만 대외거래에 활용되는 화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국가와 국가 사이에 상품이나 자금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어느 나라 화폐로 대금을 지불할 것인지, 한 나라의 화폐를 어떤 비율로 다른 나라 화폐로 교환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환율(exchange rate)이다. 환율은 두 나라에서 사용하는 각기 다른 화폐를 교환하는 비율로, 국가 간 상품과 자금의 거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이번 주부터는 환율의 결정 과정과 환율의 변동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환율의 표시환율은 두 나라의 화폐가 교환되는 비율이다. 환율 표시는 자국의 화폐를 기준으로 하거나 자국의 화폐와 교환되는 다른 나라의 화폐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 쪽 화폐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방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와 미국 사이에서 우리나라의 돈 1000원이 미국 1달러와 교환되는 경우 우리나라 돈을 기준으로 하면 1원이 0.001달러와 교환되므로 환율을 0.001달러라고 표시한다.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1달러가 1000원과 교환되므로 환율은 1000원이 된다.기축통화와 환율기축통화(vehicle currency)는 세계 각국에서 통용되는 중심 화폐다. 현재는 미국의 화폐인 달러가 전 세계 수많은 상품과 자금거래에 주로 사용되므로 기축통화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환율은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와 각국의 통화 간 교환 비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