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청소년과 해외유명 저자 연결시킨 '인디고 북페어 행사'

    인디고 서원은 2004년 8월 부산에서 문을 연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서점이다. 일반 대형 서점에서 볼 수 있는 자습서나 참고서 베스트셀러 대신 '문학,역사·사회,철학,생태·환경' 등의 분야 서적들을 주로 다룬다. 이 서점이 지난 8월 20~24일 '생명의 장을 꿈꾸며'를 주제로 '유스 북 페어 (Youth Book Fair)'를 열었다. 고교생 대학생 회원들이 2년 동안 전 세계를 돌며 해외 유명인사 45명을 초청,'문학-꿈','예술-인...

  • 경제 기타

    전통내세운 형식적인 학교 행사 이제 그만

    2학기 들어 많은 중·고등학교가 체육대회 축제 등 학교행사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행사의 목표는 학생들의 실천성과 공동체 의식을 기르고,학교생활을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취지와 달리 많은 행사가 타율적이고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 A고는 학생들의 체력 신장을 목적으로 매년 가을 마라톤 행사를 개최한다. 하지만 학생들의 불만이 적지 않다. A고 나모 학생은 "단순히 행사의 숫자를 ...

  • 경제 기타

    사이버 100만 시민 꿈꾸는 공주시

    한때 찬란한 백제문화를 꽃피웠던 백제의 고도 공주시가 21세기 정보화시대를 맞아 사이버문화 선도에 나섰다. 전국 최초로 도입한 '사이버 시민제도'를 통해서이다. 공주시는 지난 6월2일 '사이버 공주' 홈페이지(http;//cyber.gongju.go.kr)를 개설하고 '사이버 시민' 모집을 시작했다. 성별·연령·지역에 상관없이 홈페이지에 가입만 하면 누구나 사이버 공주시민이 될 수 있다. 지역관광 활성화 및 침체된 농촌 지역에 활력을 불...

  • 경제 기타

    '한은 청소년 경제 캠프'서 유익한 토론 문화체험

    지난 8월 13일 '2008년 하계 한국은행 청소년 경제 캠프'에서 42명 청소년들이 조별 경제토론을 펼쳤다. 소수만 참여하는 학교 행사와 달리 이번 캠프는 토론자들이 토론 준비부터 발표 평가까지 직접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입소 전 조별 토론 주제와 분량을 이메일로 공고받았다. 토론 주제는 두 가지.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위치에서 한국경제를 위하여 추진하고 싶은 정책을 제안하는 것과 한국경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 경제 기타

    성폭력 범죄자에 전자팔찌 채워야하나

    찬 "범죄자 인권보다는 성폭력 예방이 우선" 반 "프라이버시 침해하고 이중 처벌은 부당" 9월1일부터 성폭력 범죄자에 대한 24시간 위치추적 제도가 시행되면서 성폭행범의 전자발찌 착용문제가 논란을 빚고 있다. 이 법안을 발의한 한나라당 진수희 의원은 "2년 전 서울 용산의 어린이 성추행 살해사건 등 흉악범죄는 주로 성폭력 전과자들에 의해 일어난다"며 "복역 이후 똑같은 범죄를 저지르는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감시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

  • 커버스토리

    '몸과 마음' 누가 누구를 지배하나?

    영국의 레딩대 과학자들은 쥐의 뇌 세포로 만든 인공 두뇌에 의해 조종되는 '고든'이라는 작은 로봇을 최근 개발했다. 이 로봇은 뇌가 갖고 있는 뉴런(뇌신경 세포)의 전기 신호에 따라 몸체를 움직인다. 로봇에 달린 센서가 장애물과 충돌한다는 위험 정보를 뇌에 전달하면 뉴런들이 이에 반응해 다른 쪽으로 가도록 방향 전환을 지시한다. 다른 로봇들이 직접 부딪치고 나서 방향전환을 하는 것과 천양지차다. 인간의 두뇌를 사용하는 로봇도 등장할 것이...

  • 경제 기타

    과학고 1~2곳 영재학교로 추가 지정

    ⊙ 과학고 1~2곳 영재학교로 추가 지정 올해 말까지 과학고 1∼2곳을 영재학교로 추가 지정하고 초·중등 단계의 영재교육기관도 확대된다. 또 과학고 신입생 선발방식이 성적 우수자보다는 창의성 탐구력 등을 평가하도록 개선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의 '영재교육 활성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교과부는 10월 전국의 과학고를 대상으로 영재학교 전환 신청을 받아 12월께 1∼2곳을 영재학교로 선정,2010년 이후 운영토록...

  • 경제 기타

    대입 '3불'정책 2010년에도 그대로 유지

    대교협 발표 자율화는 그후에 검토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치르게 될 2010학년도 대입에서도 기여입학제, 고교등급제, 본고사를 금지하는 '대입 3불(不) 정책'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2010학년도 대입도 2009학년도와 거의 동일하게 치러질 전망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손병두 서강대 총장)는 28일 발표한 '2010학년도 대입전형 기본사항'에서 "대입제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수험생과 학부모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