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형식뿐인 소방 훈련… 진짜 불나면 어쩔려고…
"때르르르르르르~" "구관 3층 특별실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모두들 신속하게 대피해주시기 바랍니다." 방송 스피커가 요란스럽게 울렸다. 교실에서 수업 중이던 학생들은 운동화로 갈아 신었다. 그리고 삼삼오오 모여 얘기를 나누며 느긋하게 운동장으로 걸어나갔다. '불이 났는데 이게 무슨 상황이람?'하고 의문이 드는 이 장면은 대한민국 어느 학교의 소방 훈련 상황이다. 실제와 비슷한 상황 속에서 진지하고 신속하게 이뤄져야 할 소방 훈련이...
-
경제 기타
카드 쓰면 돈 더내야 한다고?… 소비자는 '봉'인가
한나라당이 지난 18일 소액 결제에 관해 새로운 개정 법안을 상정했다. 여신금융전문업법(與信金融專門業法)에 관련된 것이며,현금 지불 소액 결제에 대한 가격 할인을 허용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즉 슈퍼마켓에서 2000원어치 과자를 구입할 경우 지금은 현금,카드에 상관없이 액면가 그대로 결제하지만 개정안 시행 후에는 현금가 2000원,카드가 2100원과 같은 식으로 차별을 둘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법안 개정은 아직 발의 단계로 시행 여...
-
경제 기타
대학간 교류통해 입학사정관제 객관적 선발기준 세워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남표 총장이 별도의 절차 없이 입학사정관제를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학생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 총장은 MIT와 Cal-tech(캘리포니아 공과대학)와 같은 세계 유수 대학들과의 경쟁을 위해 모든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고 해외 유명한 석학들을 교수진으로 삼고초려 끝에 채용하는 등 과감한 개혁을 추진한 바 있다. 하지만 서 총장의 기존의 틀을 깨는 파격적인 입시 요강이 주목받는 이유는 다른 데에 있다. ...
-
커버스토리
문학 속엔 '경제가 녹아있다'
예술은 그 시대의 경제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다. 시인과 소설가 화가 음악가들은 번뜩이는 영감으로 시대 상황을 자신의 작품에 녹여 넣는다. 역사학자들은 그래서 과거는 자신들이 설명하지만 현재와 미래를 설명하는 이는 예술가들이라고 극찬하기도 한다. 역사에서 위기의 시대이거나 역사 의식을 필요로 할 때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하다. 경제는 언제나 문학의 좋은 소재였고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은 그 자체로 문학의 주제이기도 했다. 한국의 ...
-
경제 기타
금융분야 인재, 서강대·고려대 출신 '두각'
교과부·대교협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결과 국내 주요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를 가장 잘 배출하는 대학으로 자동차 분야에서는 성균관대, 건설에서는 한양대와 연세대가 꼽혔다. 금융 분야에서는 서강대와 고려대가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가장 부합하는 졸업자를 배출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19일 발표한 '2008년도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결과'는 국내 대학들의 교육과정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과 얼...
-
경제 기타
주민등록상 인구 내년 5000만명 넘어 등
⊙ 주민등록상 인구 내년 5000만명 넘어 우리나라의 주민등록상 인구가 매년 20만~30만명씩 증가해 이르면 내년 말 50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1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 1월1일 현재 주민등록상 인구는 남자 2482만2897명,여자 2471만7470명으로 총 4954만367명이다. 이는 1년 전의 주민등록 인구인 4926만8928명(남자 2469만1249명,여자 2457만7679명)보다 27만1439명 늘어난 것이다. 주민등록...
-
경제 기타
환율이 오르면 나라 경제가 어려워지나요?
원자재 수입가격 비싸져 기업의 수익 줄고 물가도 올라 유학생 학비 부담 커져…가격경쟁력 높아져 수출엔 유리 미국을 비롯해 세계 각지에 나가 있는 유학생 중 상당수가 공부를 중단하고 한국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소식이다. 유학 생활을 시작할 때보다 환율이 많이 올라 학비 부담이 커졌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환율이 오르면 왜 유학생들은 학비 부담이 커지고 심지어 공부를 중단하기까지 하는 것일까. 환율이 오르고 내리는 것은 경제 전반과 어떤 관...
-
커버스토리
문학작품은 훌륭한 경제 교과서
프랑스의 작가 생텍쥐페리가 쓴 '어린왕자'는 경제에 관한 반면 교사 역할을 톡톡히 한다. 어른들이 아름다운 집보다 비싼 가격의 집에 감동을 받는다는 내용은 가격이 상품의 가치를 나타내는 전도적 현상을 지적하는 것이다. 합리적 행동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안데르센의 동화 '인어공주'는 왕자를 사랑한 인어공주의 슬픈 사랑 이야기로 읽히지만,이야기 속에 기본적인 경제원리가 숨어 있다. 인어공주는 자신의 '욕구'(사람이 되는 것)를 충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