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98) 육도삼략(六韜三略)

    강태공이 전하는 천하를 낚는 법 세계 역사상 가장 유명한 낚시꾼을 꼽아보자. 동양 고전에 등장하는 어떤 인물에게 영예의 1위가 돌아갈 것이다. 요즘 인터넷의 바다에서도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이 분의 이름은 공자,맹자도 아니요,노자나 장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석가모니는 더더욱 아니다. 그 이름마저도 친숙하기 그지없는 이 유명인은 3000년 동안 낚싯대를 손에서 놓지 않고 지내는 전설의 낚시꾼 강태공이다. 노련한 낚시꾼이었던 강태공은 ...

  • 커버스토리

    독도 넘보지마!

    "독도는 일본의 한국 침략에 대한 최초의 희생지였다. 해방과 함께 독도는 다시 우리의 품 안에 안겼다. 독도는 한국 독립의 상징이다. 이 섬에 손을 대는 자는 모든 한국민의 저항을 각오하라! 독도는 단 몇 개의 바위 덩어리가 아니라 우리 겨레의 영예의 닻이다. 이것을 잃고서야 어찌 독립을 지킬 수 있겠는가! 일본이 독도 탈취를 꾀하는 것은 한국 재침략을 의미하는 것이다. " 변영태 대한민국 초대 외무장관이 1953년 휴전 직후 발표한 ...

  • 경제 기타

    영, 자녀 불법 다운로드 땐 인터넷 제한 등

    ⊙ 영, 자녀 불법 다운로드 땐 인터넷 제한 일간 더 타임스는 영국 오브콤(Ofcom, 정보통신부)이 BT 버진미디어 등 6개 인터넷서비스 제공업체(ISP)들과 자녀가 인터넷에서 지속적으로 음악파일 등을 불법으로 내려받게 되면 부모의 인터넷 접속을 제한하는데 합의했다고 24일 보도했다. 영국음반산업협회(BPI)가 운영하는 조사팀이 불법 내려받기가 감지된 인터넷 주소(IP address)를 찾아 ISP에 통보하면 ISP는 해당 가정의 부모 앞...

  • 경제 기타

    복수학위·공동학위 쉽게 받는다

    대학 자율화 2단계 발표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르면 내년부터 인천 경제자유구역이나 제주국제자유도시에 입주하는 외국 대학들이 학교 운영을 하면서 남는 수익금을 본국에 송금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교원인사나 학생정원 학사 운영 등 대학자율권을 대폭 확대키로 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학 자율화 2단계 조치를 24일 발표했다. 교과부는 45개 자율화 과제에 대해 다음 달 8일까지 대학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8월 말 자율...

  • 경제 기타

    축제 빠진 베이징 올림픽…中國의 한계?

    개막 앞두고 '올림픽 계엄'…특수는 커녕 불황 우려 베이징올림픽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로 14회째를 맞는 올림픽은 1964년 도쿄,1988년 서울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열리는 올림픽이다. 이번 올림픽은 중국이 스포츠 최강 미국을 제치고 종합 1위를 노릴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중화민족의 화려한 부활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야심차게 준비했다. 올림픽은 지구촌 축제의 장이다. 베이징올림픽의 슬로건 '하나의 세계,하나의 꿈(...

  • 커버스토리

    韓·日합방 직전,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으로 일방 편입

    독도는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땅이었으며 16~19세기에도 조선 땅이었음을 국내외 문헌들은 기록하고 있다. 조선 땅인 독도를 일본이 자기 땅으로 일방적으로 편입한 것은 한일합방 직전인 1905년이다. 당시 조선은 외교권이 없는 상황이어서 일본의 독도 편입을 알고도 어떻게 할 도리가 없었다. 말하자면 독도는 일본의 식민지배 과정에서 첫 희생이었던 것이다. 일본은 1905년 독도 편입 기록을 들어 2차 세계대전 후 연합국과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

  • 커버스토리

    이승만 대통령이 독도 지켰다…日 엉터리 주장에 '쐐기'

    독도가 역사적 및 국제법적으로 한국의 고유영토라는 점과는 별개로 한 가지 간과해서는 안 될 사실이 있다. 그것은 독도문제의 전개 양상도 중·일 간 센카쿠문제나 러·일 간의 북방도서 문제처럼 한·일 간 관계 및 주변국의 전략적 이해가 얽혀 있다는 점이다. 일본이 사회교과서에 독도를 명기한 것도 독도를 국제적인 영토분쟁 지역으로 만들어 해결해보겠다는 의도가 숨어있다. 독도 문제를 국제적으로 이슈화해 국제사법재판소에서 영유권 다툼을 벌이겠다는 ...

  • 경제 기타

    언어소통 갈등겪는 EU…흔들리는 지역통합

    벨기에·佛 등 지역간 언어달라 분열 위기 유럽연합(EU)은 1993년 공식 출범 후 세계 지역통합기구의 선두주자이자 대표 상징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최근 정치와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울러 거대 지역통합을 꿈꾸는 EU에 커다란 장애물이 등장하고 있다. 바로 '언어'다. 유럽 대륙 내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수십개에 이르다 보니 각각의 언어권에 속한 사람들 간에 갈등이 생기기 때문이다. 유럽 언어권 갈등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바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