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공약은 무담보, 찍은 표는 환불 없다 등
[다산 칼럼] 공약은 무담보, 찍은 표는 환불 없다 - 한국경제신문 12월3일자 A38면 대책없는 반값등록금·원전폐기 등…사탕발림 공약 유권자가 가려내야 박빙 대선의 소용돌이 속에서 공약좌판은 넘쳐나고 호객행위도 요란하다. 무상복지, 반값 등록금, 두 배 기초노령연금을 띄운 플래카드가 사방에 걸렸지만 돈 나올 구석은 깜깜하다. 공약이 약속대로 이행되는 비극이 닥치면 국가재정 파탄에 앞서 대학부터 거덜나게 됐다. 대학재정 대부분을 국가가...
-
경제 기타
만기가 영구적인데 확정이자 받는다고?
신종자본증권 논란 한국남동발전은 신종자본증권 4000억원어치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10년 만기이며 조달 자금은 재무구조 개선과 설비 투자 등에 사용한다. 신종자본증권은 지난 10월 두산인프라코어가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 발행한 것을 계기로 자본인지 부채인지를 두고 논란이 일었다. - 12월4일 한국경제신문 ☞ 기업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주식을 발행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은...
-
커버스토리
저성장의 늪…기업가정신 일깨워라!
“기업가정신을 실천하는 국가는 단연 한국이 1등이었다.”(피터 드러커) “한국은 내가 방문한 국가 중 모험가적 성향이 가장 큰 나라였다.”(홀로몬 MIT 교수) “한국의 눈부신 경제성장은 한국인 특유의 기업가정신이 발현됐기 때문이다.”(김동선 중소기업연구원장) 유명 인사들의 발언을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자원빈국 대한민국이 불과 반세기 만에 세계의 경제 강대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근인(根因)은 누가 뭐래도 '기업가정신'(entrepre...
-
경제 기타
'우향우' 하는 일본…긴장감 높아지는 동북아
“일본을 되찾자.” 최근 일본의 보수정당인 자민당이 내건 슬로건이다. 다른 국가들의 위협에 대항할 수 있는 '강한' 일본을 되찾자는 의미다. 자민당은 동시에 군대 보유와 군비 확대 등 극우적 정책을 총선 공약으로 내놓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와 관련, “민족주의와 국가주의가 부각되면서 일본이 눈에 띄게 우경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때문에 아시아 지역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일부의 망언(妄言)이란 식으로 취급돼왔...
-
경제 기타
(상) 준법경영이 반기업정서 해법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다. 밖으로는 세계경제가 불안하고, 안으로는 정치권의 대기업 때리기와 포퓰리즘으로 반기업정서가 팽배하다. 하지만 대기업들은 이 같은 정치권 공세에 답답해하면서도 소모적인 다툼에 말려드는 대신 법과 원칙을 지키는 '윤리경영'과 '사회적 책임완수'에서 위기 타개책을 찾고 있다. 삼성은 담합을 '해사(害社) 행위'로 간주해 무관용으로 대처하고 있다. 담합하다가 적발되면 해당 계열사의 최고경영자(CEO)에게 책임을 ...
-
경제 기타
한경 경제체험대회 大賞 받은 민사高 팀
K팝에 의료·쇼핑까지… '韓流 앱' 굿 아이디어 “전 세계 팬들이 좋아하는 한류를 보다 정확하고 다양하게 알릴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다가 다국어로 된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만들자고 의견이 모아졌습니다” 민족사관고 2학년생 김현지 이하정 양, 신성국 신윤재 군(17)은 자신들도 좋아하는 K팝과 한류 문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방법으로 스마트폰 앱을 꼽고 '2012 한경 청소년 경제체험대회'에 참가했다. 대회 과제 중 하나인 창업계획...
-
경제 기타
카톡의 진화…애니팡 거쳐 드래곤플라이트로
카카오톡의 진화는 어디까지 이어질까. 5년9개월 전 카카오가 설립되고 2년7개월 전 카카오톡이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카카오톡은 국민 모바일 서비스로 자리잡았다. 단순 무료 메신저에서 이젠 게임, 전자책, 음원 등을 판매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 변신하고 있다. 지난 7월 시작한 게임 서비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카카오페이지가 뭐지? 카카오는 지난 20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모바일...
-
커버스토리
1%의 가능성에 도전한 1세대 기업가들
기업가는 99%의 위험이 있더라도 1%의 가능성에 도전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다. 주어진 조건과 환경에 얹혀 남들과 비슷한 물건을 파는 사람은 평범한 장사꾼일 뿐이다. 누가 뭐래도 기업가들은 세계 최빈국이던 대한민국을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키워낸 일등공신이다. 우리나라엔 외국에서도 높이 평가하는 존경할 만한 기업가들이 많다. 위대한 기업가들이 남긴 어록을 통해 잊혀져 가는 기업가 정신을 되새겨 보자. #"어이, 해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