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43) A. N. 화이트헤드 '관념의 모험' (Adventures of Ideas)

    정신의 모험이 없는 문명은 쇠퇴한다문명의 진보란 어떻게 가능한가?형이상학이 철학의 공공연한 적으로 간주되던 20세기 초,묵묵히 자신만의 독자적인 형이상학적 사변체계를 웅장하게 건설한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1861~1947). 그의 역작 『관념의 모험』(1933)은 인류로 하여금 문명을 향해 서서히 나아가도록 한 관념의 영향을 기술한 인류 역사에서의 '관념의 모험'이자,동시에 이런 역사상의 모험을 설명해줄 관념의 사변적 구도를 구축하려는 필자 자신의 '관념의 모험'이기도 하다.이 책은 『과학과 근대세계』(1925),『과정과 실재』(1929)와 더불어 '형이상학 3부작'을 이룬다.『과학과 근대세계』가 과학철학의 바탕 위에서 형이상학적 체계를 구성하려 한 과도기적 시도였고,『과정과 실재』는 과정 철학으로서의 그의 형이상학적 체계의 전모를 밝힌 것이었다면,『관념의 모험』은 그의 형이상학을 구체적인 인간 경험의 전 영역에 적용하려는 것이었다.따라서 『관념의 모험』에는 문명론,사회철학,역사철학,과학철학,미학,형이상학 등 화이트헤드의 인간에 대한 모든 관심이 유기적으로 녹아들어 있다.화이트헤드가 말하는 문명이란 '진리','아름다움','모험','예술','평화' 등의 일반 관념들이 유기적인 조화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이런 일반 관념들은 사물의 본성에 관한 개념,인간 사회의 가능성에 관한 개념,개인으로서의 인간행위를 이끌어갈 최종적인 목표에 관한 개념을 표현하는 고도의 일반성을 띤 관념으로,모든 시대의 모든 세계에 있어 문명을 야만 상태로부터 그 절정으로 이끌어가는 작인(作因)으로 기능한다.하지만 이러한 일반 관념은 우리가 호

  • 교양 기타

    (42)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니체, 폐허 위에서 예술을 논하다"진리는 추악하다.우리는 진리로 말미암아 멸망하지 않도록 예술을 가지고 있다." -니체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는 늘 변화한다.철학자들은 이렇게 변화하는 현상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데아, 원상, 실체, 물(物) 자체 등의 개념으로 튼튼한 집을 지었다.그러던 어느 날 니체(F.W.Nietzsche 1844~1900년)가 망치를 들고 나타나 튼튼하게 보였던 집을 마구 부수기 시작한다.현상의 배후에 있으리라고 기대한 원상으로서의 플라톤의 이데아가 무너지는 순간이었다.진리의 척도로 작용하던 '본질'의 자리가 사라졌으므로 그동안 진리로 간주해 왔던 것은 더 이상 진리라 말할 수 없게 된다.따라서 절대적인 하나의 관점은 존재하지 않으며 그때그때마다 해석된 다양한 관점들이 있을 뿐이다.니체는 부서진 원상의 파편들 속에서 '신은 죽었다'고 외친다.진리를 추구하던 이성적 인간은 삶의 생생함을 망각한다.개념으로 만들어진 딱딱한 세계를 벗어버리는 것이 바로 '예술'의 세계다.예술은 가상의 아름다움과 도취를 즐기며 삶의 다양하고 풍부한 의미를 되살린다.니체는 『비극의 탄생』에서 예술이 삶에서 지니는 의미를 그리스 비극을 통해 펼쳐 보인다.1.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니체는 음악의 정신으로부터 그리스 비극이 탄생되는 과정을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이라는 두 가지 충동으로 설명한다.◆원문읽기"예술의 발전은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이중성과 관련이 있다.(…) 그리스에서는 아폴론적 인간인 조각가의 예술과 디오니소스의 예술인 비조형적 음악예술이 그 기원과 목적에서 크게 대립하고 있다는 우리 인식은 그들의 두 예

  • 교양 기타

    (41) 닐 포스트먼 '테크노폴리'(Technopoly)

    과학기술이 정말 인류를 행복하게 할까?현대인의 생활에서 과학기술이 끼친 영향을 제외한다면 아마 우리는 한순간도 제대로 살아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이젠 필수품이 된 휴대폰과 컴퓨터는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며, 버스 지하철 등 교통수단과 함께 현대인의 공간적 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00년 전 우리 선조의 삶과 현재 우리 삶을 비교해 보면, 분명히 우리는 발달한 현대 과학기술 덕분에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누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삶에 크나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새로운 과학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그에 관한 거의 무한에 가까운 정보들이 생산·소비되고 있다.그래서 과학기술이 인류의 장밋빛 미래와 행복을 보장하는 유일한 수단이라는 생각을 많은 사람들이 아무런 거부감 없이 쉽게 받아들이곤 한다.닐 포스트먼(Neil Postman)은 『테크노폴리』에서 이런 낙관적이고 희망적인 믿음에 아무런 문제는 없을까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류의 전반적인 삶이 풍족하게 된 한편에는 아직도 굶주림에 고통받고 첨단 의료기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지구촌 곳곳에서 과학기술이 집약된 각종 첨단무기들이 인간다운 삶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포스트먼은 과학기술의 발전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른다고 비판한다.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성 파괴는 물론, 우리의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정신적인 과정들과 사회적인 관계들을 파괴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포스트먼은 『테크노폴리』에서 과학기술이 모든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사 역할을 하는 현대 미국사회를 '

  • 교양 기타

    (40) 조식의 '남명집(南冥集)'

    정승 열명 낸 집보다 처사 한명 낸 집이 더 낫다 '처사(處士)'란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지. 요즘 일상생활에서는 '처사'란 말을 거의 쓰지 않지만 아직도 절에서는 남자 신도를 부를 때 사용하는 말이다.옛날 우리 조상들은 '정승 열을 낸 집보다 처사(處士) 한 명을 낸 집이 더 낫다'고 말하기도 했다.'처사'가 무엇이기에 막강한 권력을 상징했던 '정승' 열 명보다도 낫다고 한 것일까? 조선시대 퇴계 이황과 더불어 영남학파의 양대 산맥인 대표적 산림처사(山林處士), 남명 조식(南冥 曺植:1501~1572). 조식 선생은 살아서도, 그리고 죽어서도 자신을 다만 '처사'라고 불러달라고 했다고 한다.천왕봉이 보이는 지리산 자락에서 평생을 은거하며 늘 자신을 성찰하기 위해 성성자(惺惺子)라는 방울을 옷에 달고 때로는 과격하고 직선적인 언어로 중앙 조정을 발칵 뒤집어 놓기도 했던 남명 조식의 글을 따라가며 진정한 '처사'란 무엇인지 알아보자.1.몸과 마음에 새기다◆ 원문 읽기좌우명(座右銘):언행(言行)을 신의(信義)있게 하고 삼가며, 사악(邪惡)함을 막고 정성(精誠)을 보존하라. 산처럼 우뚝하고 못처럼 깊으면, 움 돋는 봄날처럼 빛나고 빛나리라.패검명(佩劍銘):안으로 마음을 밝히는 것은 '경'(敬)이요, 밖으로 행동을 결단하는 것은 '의'(義)다.혁대명(革帶銘):혀는 새는 것이요, 가죽은 묶는 것이니 살아 있는 용을 묶어서 깊은 곳에 감추어두라.▶해설=남명 조식 선생이 살았던 16세기 조선의 정치현실은 매우 암담했다.1519년의 기묘사화와 1545년의 을사사화를 겪으며 자신의 숙부 조언경과 많은 동료 선비들의 참혹한 희생을 지켜본 남명의 마음은 어땠을까? 만일 우리들이 그 시대를 살았다면 어떤 선택을

  • 교양 기타

    (39) 메리 W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혹은 근대의 프로메테우스'

    1818년 메리 W 셸리(Mary Wollstonecraft Shelley)가 쓴 『프랑켄슈타인, 혹은 근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는 인간에게 불을 전해준 프로메테우스를 끌어들인 데서 알 수 있듯이 인류의 미래를 바꾸고 싶은 과학자 프랑켄슈타인에 대한 이야기다.물론 프랑켄슈타인 박사는 진정한 프로메테우스가 되지 못했다.밀턴의 『실낙원』과 성서의 '창세기'를 패러디해 실패한 과학문명을 경고한 원작의 메시지는 오늘날까지도 유효하다.프랑켄슈타인은 물질문명에 기댄 인간의 오만함을 상징하는 고유명사처럼 여겨지고 있다.이 책은 여류작가의 소설이다.그녀는 이 작품을 통해 오늘날 과학소설의 새로운 기원을 열기도 했다.작가 메리 셸리의 부모는 영국의 급진적인 사상가였다.특히 어머니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여권의 옹호』를 쓴 여권 운동가이자 자유 사상가였다.메리 셸리가 활동한 18세기 말과 19세기 초는 낭만주의의 열정과 산업혁명을 등에 업고 새로운 사상을 요구하던 시기였다.빅토리아 왕조의 기운이 무너지면서 바이런, 워즈워스, 그리고 메리 셸리의 남편인 퍼시 셸리 등의 시인이 활약했으며, 제인 오스틴의 소설이 유행했을 때였다.사람들은 프랑켄슈타인을 잘 알고 있다.그 모습을 묘사하라고 한다면 엄청나게 큰 거구, 여기저기 꿰맨 자국들, 일그러진 눈 등으로 그릴 것이다.그런데 프랑켄슈타인은 이 괴물을 만든 사람의 이름이다.청년 과학도 빅토르 프랑켄슈타인은 시체의 각 부위를 접합해 8피트(244cm)의 거구로 만든 다음 에너지 발생장치로 충격을 가해 인간을 닮은 생명체를 창조한다.그러나 이 순진한 창조자는 자신의 피조물이 워낙 추하고 무서워 실험실에서 도

  • 교양 기타

    (38)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러시아 혁명 풍자…20세기 최고 정치 우화소설 조지 오웰(본명 에릭 아서 블레어, 1903~1950)의 『동물농장』은 러시아 혁명을 풍자한 소설이다. 실제 사건 및 인물들을 우화의 형식을 통해 신랄하게 풍자한 20세기 최고의 정치 우화소설이다.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우화소설의 무대는 농장이고, 여기에 나오는 일단의 농장 동물들은 러시아 혁명가들이나 정치 사상가들을 상징하고 있다.이 책 전반에 걸쳐 오웰의 문장 스타일은 단순, 명료, 분명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그는 극도로 절제된 말과 짧고 간단한 문장 구조를 통해 동물농장의 우화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원문 읽기"동무들, 동무들은 어젯밤 내가 꾼 꿈에 대해서 이미 들으셨을 것입니다.그러나 그 꿈 이야기는 나중에 하겠소. 우선 다른 얘기부터 할까 하오. 동무들, 나는 아무래도 여러분과 더 이상 같이 살 수 없을 것 같습니다.그래서 죽기 전에 내가 경험에서 얻은 지혜를 여러분들에게 전해주고 가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습니다.나는 지금 살고 있는 어떤 동물 못지않게 우리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오. 내가 오늘 동무들에게 말하려고 하는 것은 바로 이에 관한 것입니다.자, 동무들 우리의 삶을 한번 돌아봅시다.우리의 삶은 비참하고 고달프며 또한 짧습니다.우리는 태어나서 평생을 겨우 목숨 유지할 만큼의 먹이만 얻어먹고 일할 수 있는 자들은 마지막 힘이 다할 때까지 일을 강요당합니다.그러다 더 이상 쓸모가 없어지면 우리는 아주 지독하고 잔인하게 도살당합니다.영국에서는 어떤 동물이든지 태어난 지 한 해가 지난 후에 행복이나 여가라는 뜻을 아는 동물은 하나도 없습니다.영국의 모든 동물들은 자유가 없습

  • 교양 기타

    (37) 미셸 투르니에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방드르디,태평양의 끝』은 현대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미셸 투르니에(1924~ )의 데뷔작이자 대표작이다.제목의 방드르디는 프랑스어로 금요일이란 의미인데,『로빈슨 크루소』의 프라이데이를 대신하는 인물이다.작가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내가 볼 때 1719년에 나온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에는 극도로 충격적인 두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우선 그 소설에는 방드르디(프라이데이)가 있으나마나 한 존재로 취급되어 있어요.그는 단순히 빈 그릇일 뿐이지요.진리는 오로지 로빈슨의 입에서만 나옵니다.그가 백인이고,서양인이고,영국인이고,기독교인이기 때문입니다.나의 의도는 방드르디가 중요한 역할을,아니 심지어 끝에 가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맡는 소설을 써보자는 데 있었어요."『로빈슨 크루소』를 처음으로 읽기 직전에 작가는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강의를 듣고 있었다.당시까지도 서구인은 서구 사회와 (열대 원주민 사회 등의) 비서구 사회 간의 구분이 곧 문명과 야만,합리성과 비합리의 우열 구분과 일치한다는 편견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하지만 그러한 구분이 서구인들의 지배욕을 합리화하는 편견에 불과하다는 것이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이 투르니에에게 전하는 메시지였다.서구인들의 편견은 주체가 타자(자신과 다른 존재)와 맺는 관계의 근대적 양상을 기초로 한 것이었다.근대적 주체의 시선을 통해 볼 때,'다름'은 비합리적이고 야만적인 '열등함'이 된다.하지만 『방드르디,태평양의 끝』에서 '다름'은 '열등함'을 넘어 '새로움'을 표상하는 주인공으로 재탄생한다.『로빈슨 크루소』의 주인으로 다시 태어난 프라이데이,바로 방드르디

  • 교양 기타

    (36) 제임스 러브룩 '가이아: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지구는 살아있는가? ◆제임스 러브록(James Lovelock,1919~) 영국의 과학자이자 발명가, 저술가로서 1994년 이후 옥스퍼드대 그린칼리지의 명예 객원교수를 맡고 있다.가이아 이론은 1979년 『Gaia: A New Look at Life on Earth』 이란 책을 통해 주장한 새로운 가설이다.국내에선 『가이아: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로 번역되어 나왔다.가이아(Gaia)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대지의 여신’으로, 지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말이다.러브록이 말하는 가이아란 지구와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대기권, 토양, 대양까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범지구적 실체이다.가이아 이론은 지구를 생물과 무생물이 상호 작용하는 생물체로 바라보면서 지구가 생물에 의해 조절되는 하나의 유기체임을 강조한다.이 이론은 하나의 가설에 지나지 않지만, 지구 온난화 현상 등 오늘날 지구 환경 문제와 관련되어 새롭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 봄비가 그치고 쏟아지는 햇살이 눈부시다. 가볍게 부딪히는 산들바람이 상쾌하다. 일 년 내내 이런 날씨가 계속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굳이 이런 이상적인 날씨가 아니라도 지구는 생물이 존재하기에 적합한 곳임은 분명하다. 수많은 별들 중에 유독 지구에서만 파랑과 녹색이 공존하는 복잡한 생명체의 장이 펼쳐진 신비한 현상에 대해 근대과학의 주류적 시각은 태양복사열 증가, 화산 폭발, 운석의 충돌, 대륙 이동 등 여러 지질학적 원인들에 의해 세월의 흐름과 함께 대기와 해양의 조성이 변화하고 또 기후가 바뀌었으며, 생물들은 그러한 주위 환경의 변화에 수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점진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을 밟아 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