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기자
-
생글기자
잇따르는 산업재해…철저한 안전 관리 필요
지난 15일 경기 평택에 있는 SPC 계열사 제빵공장에서 20대 근로자가 소스 배합기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공장은 산업안전 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인 1조 근무 원칙도 준수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소비자들은 ‘피묻은 빵을 먹을 수 없다’며 SPC 계열 브랜드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지만, 불붙은 여론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사고 8일 만에 또 다른 SPC 계열사인 샤니에서 40대 근로자가 기계에 손가락이 끼여 절단되는 사고가 일어나 여론이 오히려 더 악화됐다.산업 현장에는 늘 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식품 혼합기 등 식품 가공용 기계를 사용하는 사업장을 조사한 결과 2017~2021년 사망자 6명, 부상자 299명 등 305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상자 중 63.5%인 190명은 90일 이상 일을 하지 못할 정도의 중상을 입었다. 근로복지공단 자료에 따르면 SPC 계열사에서도 지난 5년간 산업재해가 급증했다.SPC가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했다면 불매운동이 확산하면서 가맹점주들의 손해가 커지는 상황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SPC는 비슷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 정부도 산업 현장에서 안전 기준이 지켜지도록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
-
생글기자
The Only Ability to Beat Fake News, Media Literacy
Recently, 8 out of 10 Koreans use YouTube, and their average monthly viewing time was about 33 hours. It means watching for more than an hour a day. We're spending quite a bit of time on YouTube.The watching reason of YouTube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group, gender, and interests.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everyone has the same chance of being fooled by fake news that is indiscriminately posted on YouTube.Recently, YouTube has seen a surge in fake news channels that deceive people with highly provocative titles and thumbnails. It makes fake news like a factory on a variety of issues, such "Trot singer Jung Dong Won and Jang Min Ho are real family.", "Passing the Special Act on Woo Young-woo in the United States."You can think who would be fooled by this channel's video. But the people they want to trick are not elders, children. It is the people that are weak in 'media literacy'.The term "media literacy" means the ability to gain knowledge and underst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dia. Thus, It refers to the ability to correctly understand and distinguish information pouring from numerous media. The reason for being deceived by fake news is that it did not correctly understand and distinguish the information given by fake news.Media literacy is not learned, so it is useless to be deceived by the video and report the video. It's because they changed my profile and nickname soon and they are working again. Media literacy is therefore extremely important.The things we can do to raise our media literacy skills, we first need the power to think for ourselves. At first rather than developing abilities through the media, it is important to consistently organize my thoughts using book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various opinions such as whether the source of the video can be trusted and whether the basis of the claim has been confirmed to be true.It is also good to experience
-
생글기자
가짜뉴스에 속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얻는 방법
최근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 81%가 유튜브를 사용하고 있으며, 월평균 시청 시간은 33시간이다. 하루 1시간 이상 유튜브를 본다는 얘기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유튜브를 시청하면서 그 부작용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유튜브에 무분별하게 올라와 있는 가짜 뉴스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유튜브에는 자극적인 제목과 섬네일로 시청자를 유혹하는 가짜뉴스 채널이 많다. ‘트로트 가수 정동원·장민호 진짜 삼촌·조카 사이’ ‘미국에서 우영우 특별법 통과’ 등이 최근 문제가 됐던 가짜뉴스의 사례다. 가짜뉴스라는 것을 깨달은 사람들이 영상을 신고해도 별 소용이 없다. 이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필과 닉네임을 바꿔 다시 활동한다.가짜뉴스의 해악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 ‘미디어 리터러시’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수많은 미디어에서 쏟아지는 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판별하는 능력을 말한다. 정확한 정보를 걸러내는 능력이 부족하면 가짜뉴스에 속기 십상이다.미디어 리터러시를 가지려면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유튜브 등에서 쏟아지는 자극적인 영상보다는 독서를 하면서 지식을 쌓고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새로운 정보를 접할 땐 정보의 출처가 신뢰할 만한지, 주장의 근거가 사실로 확인됐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보는 경험도 도움이 된다. 콘텐츠가 어떻게 제작되는지를 체험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정보와 가짜뉴스를 구별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조예준 생글기자(대전관저중 3년)
-
생글기자
고령화시대 역할 커지는 호스피스 완화 의료
죽음이 임박해 더 이상 회복할 희망이 없는 사람에게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 그런 상황에서 고통을 최소화하고 평화롭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해 선택하는 것이 ‘호스피스 완화의료’다.호스피스 완화의료는 말기 암 환자처럼 회생 가능성이 없는 환자들이 죽음에 이르기까지 고통을 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체계다. 한국에서 완화의료의 대상은 임종까지 최대 6개월가량 남은 환자들이다. 책 <호스피스로 삶을 마무리하는 사람들>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로 삶을 마감하는 사람들과 가족의 얘기가 나온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는 환자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쓴다고 한다.첫 번째는 마약성 진통제다. 치료 과정 초기에는 비마약성 진통제를 쓰지만, 통증이 점점 심해지면 마약성 진통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마약성 진통제는 구토, 변비, 졸림, 어지럼증, 피부 발작 등의 부작용도 일으키지만 부작용을 무릅쓰고라도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쓰는 경우가 있다.두 번째로 진통제를 쓰는 것이 아니라 통증의 원인을 없애는 특별한 치료를 하기도 한다. 마취통증의학과에서 하는 신경 차단술이나 방사선 치료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신경 차단술은 통증을 느끼는 감각 신경에 주사를 놓아 고통을 완화하는 것을 말한다. 방사선 치료는 병이 뼈에 전이됐을 때 하는 치료인데 암 환자에게 주로 쓰는 방식이다.웰빙과 마찬가지로 웰다잉(well-dying)이 중요해지는 시대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역할도 더 커질 것이다.이수아 생글기자(용인외대부고 1년)
-
생글기자
학생과 교사가 참여하는 실질적 학생자치 방안
학생 자치란 무엇인가. 교육청은 ‘학생이 주체가 돼 교내외 관련 조직을 통해 학생과 관련한 학교 생활을 스스로의 의사와 책임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학생 관점에서 본 학생 자치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정작 현실에서 학생 자치가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느낄 때가 많다.인천교육청 조사에 따르면 학생 자치기구의 의견이 학교 운영에 반영된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은 46%에 그쳤다. 반면 교사는 70% 이상이 그렇다고 답해 학생과 교사 사이에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학생들은 ‘학교와 선생님이 학생 의사를 무시한다’고 생각하고, 선생님들은 ‘불만 많은 학생들이 요구만 한다’고 할 때가 많다.학생 자치의 열쇠는 학생과 교사에게 있다. 학생은 선생님을 존경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히 ‘해 달라’고 해선 안 된다. 교사는 학생에게 학교생활에서 지켜야 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그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이 과정에서 학생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학생과 교사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면서 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학생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도 필요하다. 불만을 토로하며 누군가 해결해 주기를 기다려서는 아무것도 나아지지 않는다. 여러 사람이 의견을 모으고 토론한다면 더 나은 대안을 찾을 수 있다.윤민준 생글기자(서일고 2년)
-
생글기자
예측 불가능한 자연재해, 미리 대비해야 한다
올여름엔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큰 피해가 발생했다. 곳곳이 침수됐고, 인명 피해도 많았다. 지난 9월 태풍 힌남노가 지나간 경북 포항은 아직도 많은 시설물이 복구되지 못하고 있다. 비슷한 피해가 반복되는 것을 막으려면 미리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서울시는 2010년 광화문 일대 침수 피해를 겪은 뒤 시간당 80~90㎜ 강수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심 치수 기준을 높였다. 서울 도심에 대규모 하수 터널을 만들어야 한다는 논의가 10여 년 전부터 있었지만 200년 만에 한 번 발생하는 수준의 큰비에 대비해 하수 터널을 설치하기엔 비용이 너무 크다는 반대에 부딪혔다. 그러나 갈수록 예상을 뛰어넘는 기록적인 폭우가 잦아지면서 치수 시설의 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대규모 빗물 처리 시설의 필요성은 지난여름 폭우 때도 증명됐다. 서울시가 2017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은 국내 최초 빗물 터널 형식의 방재 시설이다.최대 32만t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 시설 덕분에 서울 양천구 신월동 일대는 시간당 60㎜의 집중호우에도 침수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서울시가 강남역 광화문 등 도심 지역에 대심도 빗물 터널을 설치하고 시간당 처리 용량 기준을 높이기로 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자연재해는 더욱 예측 불가능해지고 있다. 미리 대비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정교빈 생글기자(대전관저중 2년)
-
생글기자
초연결 시대 더욱 중요해진 '미디어 리터러시'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들여다본다. TV와 신문을 통해 뉴스를 접하고 스마트폰으로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난 일까지 알 수 있다. 만약 미디어가 없다면 지구 반대편은커녕 옆 동네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도 알 수 없을 것이다.그러나 미디어는 특정한 시선으로 세상을 보여준다. 뉴스를 만들고, 정보를 전달하는 사람의 의견과 성향이 미디어를 통해 나타난다. 같은 사건도 전하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성격이 완전히 달라지기도 한다. 독자와 시청자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받는 입장에 놓이기 쉽다. 따라서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쏟아지는 정보를 이해하는 능력, 즉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갖춰야 한다.미디어 리터러시란 미디어에 접근해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며, 나아가 이를 창조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현재 우리 사회엔 가짜 뉴스를 비롯해 신뢰하기 어려운 정보가 넘쳐난다. 이런 환경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를 골라내려면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하다.많은 나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있다. 핀란드에선 자기 생각을 말하고 글로 쓰는 교육에서 시작해 뉴스를 직접 제작하고, 다양한 관점의 뉴스를 비교·분석하는 교육을 한다. 미디어는 우리 일상에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뤄지지 않으면 거짓 정보에 휘둘릴 위험이 있다. 이는 개인적인 피해를 넘어 사회 갈등을 키우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를 갖춰 모두가 현명한 미디어 이용자가 돼야 한다.황혜진 생글기자(일신여고 1년)
-
생글기자
전래동화 K콘텐츠 가능성 보여준 '심청 Dive'
“All of the fish in the sea can’t stop me. All of the waves in the world can’t rock me. (바닷속 물고기도 나를 막진 못해. 세상의 어떤 파도도 나를 흔들 수 없어)”전래동화 <심청전>을 모티브로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상 ‘심청전 Dive’가 주목받고 있다. 이 영상은 심청이 영어 노래를 부르며 인당수에 뛰어드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배경 음악인 ‘다이브(Dive)’는 미국 하버드대에서 공연 예술을 전공한 한인 3세 줄리아 류가 작사·작곡했다. 줄리아 류는 올해 초 이 노래를 만들어 SNS에 공개했다. 이에 관심을 가진 LG전자가 애니메이션 형식의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볼 것을 제안해 영상이 제작됐다. 지난 9월 유튜브에 공개된 뒤 한 달 만에 조회수 1500만 회를 넘었다.줄리아 류는 심청전을 모티브로 한 음악을 만든 이유에 대해 “심청이 먼 길을 떠나 시련을 겪고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여정이 타국에서 이방인으로 살아가며 고향을 그리워하는 한국인들의 열망과 닿아 있다고 느꼈다”고 설명했다.영상을 본 시청자들은 ‘한국 전래동화가 디즈니 작품 못지않은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해 감동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논란도 있다. 영상 초반부가 디즈니 애니메이션 ‘모아나’ ‘겨울왕국’의 OST와 비슷해 표절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심청이 물에 뛰어드는 장면을 너무 밝게 묘사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이 영상은 한국 전래동화를 소재로 한 문화상품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더 많은 전래동화를 배경으로 한 K콘텐츠의 탄생을 기대한다.소현정 생글기자 (등촌고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