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인플레에도 지갑 연 미국인들…소매판매 7개월 만에 최고치

    31년 만에 최대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와중에도 미국인들이 소비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최대 쇼핑기간인 블랙프라이데이와 크리스마스까지 ‘소비 특수’가 이어질 전망이다.16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10월 소매 판매가 전월(9월)보다 1.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7개월 만에 최고치로 시장 추정치를 웃돌았다. 미국 소매 판매는 지난 8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오르며 31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는 등 인플레이션이 고공행진하고 있지만 미국인들의 소비심리를 꺾지는 못했다.미국 가계 주머니 사정이 넉넉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기업들은 유례없는 구인난에 대처하기 위해 근로자의 임금을 올려주고 있다. 코로나19 경기부양책, 뉴욕증시 상승에 따른 주식 투자수익 증가에 힘입어 가계 저축도 늘어났다. 초저금리로 대출 부담도 크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잦아든 점도 소비 증가를 거들었다. 시장에서는 이달 추수감사절과 블랙프라이데이, 다음달 크리스마스 등 유통업계의 ‘대목’에 소비자의 주머니가 계속 열릴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이날 미국 유통기업 월마트는 올해 연간 실적 예상치를 상향 조정하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월마트는 올해 미국 매출이 지난해보다 6%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발표했다. 기존 예상치는 5%였다.이고운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① 인플레이션의 정의를 정확하게 알아보고 인플레이션과 반대인 개념이 무엇인지를 찾아보자.

  • 숫자로 읽는 세상

    무주택 가구 900만 넘었다…지난해 전체 가구의 43.9%

    지난해 무주택 가구가 사상 처음으로 900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에 살고 있는 가구 가운데 절반 이상은 무주택 가구였다. 1~2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가격 급등에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내 집 마련의 어려움이 커진 결과로 풀이된다.통계청이 지난 16일 발표한 ‘2020년 주택 소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을 기준으로 국내 무주택 가구는 총 919만7000가구로 집계됐다. 무주택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3.9%로, 2019년(43.7%)에 비해 0.2%포인트 상승했다.저출산으로 인구는 거의 증가하지 않고 있지만 1~2인 가구가 크게 늘어나면서 전체 가구와 무주택 가구가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가구는 2017년 1867만4000가구에서 지난해 2092만7000가구로 225만 가구 증가했다. 같은 기간 1~2인 가구는 162만9000가구 늘었다.주택을 한 채 이상 보유한 유주택 가구는 3년 새 1100만 가구에서 1173만 가구로 증가했다. 다주택 보유와 관련된 각종 규제에도 주택을 두 채 이상 보유한 가구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늘었다. 2017년 301만1000만 가구이던 2주택 이상 보유 가구는 2018년 308만1000가구, 2019년 316만8000가구를 거쳐 지난해 319만1000가구로 불어났다.유주택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주택 소유율)은 지난해 56.1%로, 2019년(56.3%)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시·도 단위 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울산과 전남 두 곳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역의 주택 소유율이 일제히 내림세를 나타냈다.지난해 11월 1일 서울에 거주한 398만2000가구 가운데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92만8000가구였다. 이 기간 서울의 주택

  • 숫자로 읽는 세상

    삼성전자 '직급 폐지' 파격…30대도 성과내면 임원

    삼성전자가 일반 직원의 직급 구분을 없애기로 했다. 연공서열을 따지지 않고 성과로 직원을 평가하겠다는 의미다. 능력 있는 인재에게 많은 보상과 빠른 임원 승진 기회가 돌아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사원협의회와 성과관리 개편 방안을 논의했다. 공식 발표에 앞서 제도의 변화 방향을 설명하고 협의회의 의견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의견 수렴을 거친 뒤 이달 말께 인사개편안을 확정할 계획이다.가장 큰 변화는 커리어레벨(CL)로 불리는 직급체계의 폐지다. 삼성전자는 2017년부터 4단계 직급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연차에 따라 CL1(고졸사원)부터 CL4(부장급)까지 네 단계로 직급이 나뉜다. 삼성전자는 4단계 직급을 2~3단계로 줄이는 1안과 아예 직급 제도를 없애는 2안을 놓고 고민하다가 ‘완전 폐지’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앞으로는 CL 체제가 없어지고 임원 밑으로 모두 같은 직원이 된다. 자연스레 직급별 기본 연봉 테이블도 사라진다. 호칭 역시 바뀐다. 지금도 직급을 부르지 않는 게 원칙이지만 ‘차장’ ‘부장’ 등으로 호칭을 붙이는 관행이 남아 있었다. 이제 이 같은 호칭도 사라지고 모두 이름 뒤에 ‘님’자를 붙이거나 ‘프로’로 부르게 된다.연봉 기본 인상률의 개념은 사라진다. 지금까지는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해 매년 일정액의 연봉을 올려줬다. 내년부터는 기본 인상률을 배제하고 성과평가만으로 임금 인상률을 결정한다. 일을 잘하는 직원의 임금은 파격적으로 올릴 계획이다. 연공서열에 관계없이 업무 능력만 보겠다는 취지다.삼성전자는 이번 인사제도 개편으로 직원들의 생산성이

  • 숫자로 읽는 세상

    쪽파·마늘도 잇따라 올라…김장배추發 애그플레이션 올까

    김장용 배추 가격이 많이 오르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요즘 가정들은 옛날만큼 김장을 많이 하지 않지만, 배추 가격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건 그때나 지금이나 같답니다.가격이 정말 많이 올랐군요. 배추 10㎏ 도매 가격이 1만1880원이라고 합니다. 별일 없을 때 거래되는 가격이 대충 6887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많이 오른 셈입니다. 거의 73% 상승했으니까요. 김장 김치를 많이 담그는 가정이라면 부담을 느끼겠습니다. 차라리 사서 먹는 게 쌀지도 모르죠.가격이 오른 이유는 세 가지입니다. 첫째 이유는 작황이 좋지 않다는 겁니다. 배추 전체가 썩는 질병이 번졌다는군요. ‘배추무름병’이라는 배추병입니다. 배추가 이 병에 걸리면 겉잎만 상하는 게 아니라 배추 전체가 뭉그러진다고 합니다. 농산물은 기후, 기온에 민감한데요. 지난 여름 늦장마가 온 뒤 이 병이 도졌다고 합니다. 이 병의 피해를 보지 않은 배추들도 몇 주 전 갑자기 불어닥친 추위 때문에 상했다고 합니다. 수요량에 큰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공급량이 줄어들면 가격이 오르는 것은 경제 상식이죠. 김장 배추 가격의 급상승은 다른 물가를 자극할지도 모릅니다. 이것을 우리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라고 부르죠. 농산물을 뜻하는 애그리걸처(agricultur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죠.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뜻합니다.일손 부족으로 인한 수확 물량 감소도 원인으로 꼽힙니다. 코로나19가 번지면서 임금이 상대적으로 싼 외국인 일손을 구하기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노동 역시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 즉, 임금이 오르게 되죠. 오른 임금은 배추가격을 밀어올리는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경제

  • 숫자로 읽는 세상

    "여보, 올핸 김장 못할 거 같아"…배춧값 1주일새 50% ↑

    김장철을 앞두고 가을배추 가격이 무섭게 오르고 있다. 최근 1주일 새 가격이 무려 50% 뛰었다. 코로나19로 외국인 일꾼이 부족해 인건비가 껑충 뛴 상황에서 요소수 품귀로 산지 운반비가 20~30% 오르는 등 겹악재가 배추 가격을 끝없이 밀어올리고 있어서다. 이대로 가다간 가을배추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찍은 2010년의 ‘금배추 파동’이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이날 가을배추 10㎏의 평균 도매가격은 1만1880원을 기록했다. 평년 가격(6887원)보다 72.5% 높다. 6일 전인 지난 2일 8030원이던 배추 가격은 이틀 만인 4일 9000원을 넘어섰고, 다음날인 5일 1만920원을 기록하며 1만원 선을 돌파했다.쪽파와 마늘 등 김장에 들어가는 농산물 가격도 오름세다. 쪽파 가격은 9일 기준 7332원으로 전년 동기(5879원) 대비 24.7% 올랐다. 4624원인 평년 가격보다 58.6% 높다. 깐마늘 가격은 1㎏ 기준 8008원으로 6883원이던 전년 동기 대비 16.3% 상승했다. 김장 김치로는 사용하지 않지만 겉절이용이나 국거리로 쓰는 얼갈이배추는 같은 기간 142.9% 급등했다.김장 재료 가격이 오른 원인 중 하나는 작황 부진이다. 늦장마로 농산물의 성장이 고르지 못했고, 배추는 포기 전체가 썩는 배추무름병이 돌았다. 지난달 이례적으로 빠른 한파로 강원도 등 일부 산지가 피해를 봤다. 코로나19 사태로 급격히 줄어든 외국인 노동자 수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영향도 크다.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농가에 투입된 외국인 근로자는 2019년 8835명에서 8월 기준 1590명으로 82% 급감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수확철에 농가가 크게 오른 인건비를 지급하면서 농산물 가격도 동

  • 숫자로 읽는 세상

    "8년 뒤 나랏빚 2000조…이자로만 한해 36조 지출할 판"

    문재인 정부의 확장재정 기조가 다음 정부로 이어질 경우 8년 뒤 국가채무가 2000조원까지 치솟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빚 증가 속도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복지정책 지출이 고스란히 미래 세대의 부담으로 쌓일 것이란 분석이다. 가파른 나랏빚 증가세를 멈추고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출 감축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국회 예산정책처는 2일 ‘2021~2030 중기재정전망’을 통해 2029년 국가채무가 2029조5000억원을 기록해 200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지난 9월 예산안을 발표하며 내놓은 정책 등 현 정부의 정책 기조가 계속 이어진다는 것을 가정한 ‘현상 유지’ 시나리오 분석 결과다.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국가채무는 내년 1072조600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한 뒤 매년 수백조원씩 증가한다. 5년 후인 2026년 1575조4000억원으로 1500조원, 그로부터 3년 만인 2029년엔 2000조원을 넘어선다.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내년 50.4%에서 2025년 61.0%를 기록해 60%를 처음으로 넘어선 뒤 2028년(71.6%)부터 70%대로 뛰어오른다. 나랏빚이 2000조원을 넘는 2029년엔 국가채무 비율이 75.2%를 기록하게 된다.나랏빚이 증가하면서 정부의 이자 지출 비용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17조9000억원 수준인 이자 지출은 2023년 21조2000억원으로 사상 첫 20조원대를 기록한다. 나랏빚이 2000조원을 넘는 2029년엔 34조원, 2030년엔 36조4000억원을 이자로 내야 한다는 전망이다. 최근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상황이어서 이자 부담이 예상보다 더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적자도 매년 큰 폭으로 늘어난다. 국가 수입에서 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내년 61조9000억원 적자를

  • 숫자로 읽는 세상

    휘발유·육류 등 물가가 막 오르네…10년 만에 3%대로 상승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012년 1월 이후 9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휘발유와 돼지고기 등 생활필수품 가격이 많이 올라 서민 부담이 커지고 있다. 높은 수준의 물가 상승이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폭이 더 커질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통계청은 지난 10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3.2% 올랐다고 2일 발표했다. 3.2%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인 2.0%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 2.3%, 5월 2.6%, 6월 2.4%, 7월 2.6%, 8월 2.6%, 9월 2.5% 등으로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다가 지난달에는 3%도 넘어섰다.141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가 큰 폭으로 뛰었다. 4.6% 올라 10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국제적인 가격 급등이 나타나고 있는 에너지와 육류가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휘발유(26.5%)와 경유(30.7%),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27.2%)가 20%대의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높은 물가 상승에는 지난해 10월 통신비 지원에 따라 지난달 휴대폰 요금이 25.5% 급등한 것으로 나타난 기저효과도 반영됐다. 어윤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작년 통신비 지원에 따른 올해 소비자물가 인상 효과는 0.67%포인트”라며 “이를 덜어낸 물가 상승폭은 2.5~2.6% 정도”라고 말했다.전년 동월 대비 2% 넘는 높은 물가 상승세가 적어도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연말까지는 3% 안팎의 고물가가 유지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에너지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 등 물가를 끌어올린 요인이 여전한 가운데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소비 증가가 이달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

  • 숫자로 읽는 세상

    정부가 개입하면 할수록 오르는 집값…시장에 맡겨야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좀체 잡히지 않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평균 가격이 12억원을 넘었다는 소식이 놀랍기만 합니다. 지난해 10월보다도 2억원 넘게 올랐습니다. 정부가 아파트 가격을 잡기 위해 26차례나 대책을 내놓았지만, 효과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정부 대책이 잘못됐다는 것이겠지요. 시장은 거짓말을 하지 않거든요.아파트 가격이 오르는 일반적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공급 부족입니다. 신규 아파트도 매년 꾸준히 시장에 공급돼야 합니다. 수요, 공급곡선에서 배웠듯이 수요가 그대로인 상태에서 공급이 줄어들면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격이 오릅니다. 공급이 줄어드는 이유는 주택사업자들이 집을 짓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유롭게 집을 지어 팔 수 있으면 공급 부족이 장기적으로 나타날리가 없습니다. 서울시와 정부는 재개발, 재건축을 오랫동안 묶어 놓았습니다. 노후 주택을 헐고 좋은 아파트를 지어 공급하기 어렵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때문에 주택사업자들이 집짓기를 꺼립니다. 취득세, 양도세가 너무 높아서 집을 사고 팔기 어려운 것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시장은 유통입니다. 사고파는 것이 활발해져야 집 공급도 늘어나는 법이죠. 서로 사고팔지 않으니 새 주택도 지어 팔지 않는 것입니다.주택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통화량입니다. 돈이 많이 풀려 있으면 그 돈으로 서로 집을 사려는 수요가 발생합니다. 이것을 자산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지금 시중에는 엄청나게 많은 돈이 풀려 있습니다. 이 돈들이 갈 곳은 부동산 시장입니다. 주식시장이 불안하고, 여타 투자상품에 위험이 많으면 부동산은 안전자산이 됩니다. 지난 30년간 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