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미국 정부, 매년 2억달러 이상 투자
50큐비트(한국) 대 4158큐비트(미국). 2026년까지 한·미 양국이 제시하고 있는 양자컴퓨터 성능 목표다. 이미 격차가 상당히 벌어졌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따르면 2016~2020년 중국의 양자컴퓨터 관련 논문은 7030건이었다. 미국에서는 5230건이 발표됐다. 같은 기간 한국에서 발표된 논문은 705건에 불과했다. 중국의 10분의 1 수준이다.미국 정부, 매년 2억달러 이상 투자
미국 더럼 듀크퀀텀센터(DQC)에서 한국경제신문 기자와 만난 김정상 듀크대 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겸 양자컴퓨터 스타트업 아이온큐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지난 10년간 버락 오바마, 도널드 트럼프, 조 바이든 대통령 모두가 미국 양자컴퓨터 기업인을 백악관으로 초청해 기술 설명을 요청했다”고 했다. 양자컴퓨터가 미국 행정부에서 정파를 초월해 추진하는 ‘백년대계’임을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미국 정부는 2008년 ‘국가양자정보과학연방비전’을 수립하고 매년 2억달러(약 2700억원) 이상 투자를 지속했다.
한국 정부와 기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눈앞의 주력 산업에 집중하다 미래 산업인 양자컴퓨터 연구에 실기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CTO는 “한국이 서둘러 양자컴퓨터 연구를 하지 않는다면 세계 기술 수준을 따라가는 데 크게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했다.
더럼=김진원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양자컴퓨터와 정부 지원의 관계를 이야기해보자.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최대 30배 과징금…공연, 스포츠 암표상 잡는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5929.3.jpg)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금융위기 일으킨 '변동금리 주담대' 미국서 다시 확산](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832.3.jpg)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아마존 1.4만명 감원…"AI로 중간관리직 대체"](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78.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