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국회의원은 法만들기 너무 간단해
국회의원은 10명 서명만 있으면 법안 발의 국회의원 통해 간접 입법하는 정부도 문제 우리가 실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법은 모두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 국회의원들이 국민들을 대신해 입법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거쳐 만들어진 결과물인 것이다. 그렇다면 국회에서 논의되는 법들은 누가 만들어내는 것일까.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누가 국회에 법을 발의하는 것일까. 우리나라에선 국회,즉 국회의원과 정부 두 주체가 법을 발의할 수 있다. 이런 권리를 ...
-
커버스토리
'마구잡이' 입법··· 18대 국회 2년만에 8천건, 헉!
법은 대부분이 국민의 자유나 행동규제··· 포퓰리즘 수두룩 의원입법은 국회의원의 정당한 권리이자 당연한 책무이기도 하다. 민의를 적절하게 수용하는 창구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입법이 놓칠 수 있는 민생 관련 정책들을 보완할 수도 있다. 문제는 악용 내지는 남용될 때다. 법안의 타당성 여부를 놓고 여야 간 내지는 국회와 정부 간 소모적인 갈등이 벌어질 수 있고 전체 국민과 국가의 이익에 큰 해악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
커버스토리
이성적인 올림픽 vs 폭발하는 월드컵!
남아공 월드컵 16강전에서 한국 대표팀이 우루과이 대표팀에게 아쉽게 분패하면서 한국 축구대표팀의 월드컵 도전사가 일단 막을 내렸다. 이번 월드컵에서도 국민들은 손에 땀을 쥐고 선수들을 응원했고,대표팀의 성공과 좌절에 같이 기뻐하고 슬퍼했다. 장대비에도 불구하고 서울 시청앞 광장이나 영동대로 등에선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추억이 재연되는 대규모 응원이 장관을 이뤘다.이제 6월의 축제는 끝났지만 월드컵이 남긴 축제 분위기는 여운이 가시지 않...
-
커버스토리
축구공 하나로 지구촌 달구는 '월드컵'
수많은 종목의 종합대회인 올림픽보다 인기 높아 세계 스포츠 대전의 양대 축인 월드컵과 올림픽. 대회가 열릴 때마다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매스컴의 스포트라이트도 집중적으로 받지만 다른 점도 많다. ⊙ 공 하나만으로도 충분한 월드컵 월드컵의 공식 명칭은 'FIFA 월드컵'이다. 유엔 가입국(192개국)보다 더 많은 국제축구연맹(FIFA)의 208개국 축구 대표팀이 참여하는 국제 축구 대회다. 본선 무대는 4년마다 열리며 본선 진출국을 가...
-
커버스토리
“올림픽은 아폴론적이며 월드컵은 디오니소스적이다”
이성과 질서의 상징 '올림픽 vs 월드컵' 감성과 열정의 축제 월드컵과 올림픽 가운데 대중들에게 더 인기있는 스포츠 축제는 무엇일까. 마치 “태권브이와 마징가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와 같은 어리석은 질문이겠지만,굳이 답을 찾아보자면 올림픽을 제치고 월드컵을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 행사로 꼽는 경우가 많은 듯 하다. 다른 어떤 스포츠 종목보다도 단순한 규칙을 가지고 있는 축구라는 종목의 원초적 매력에다가, 올림픽이 공식적으로는 아마추...
-
커버스토리
中 위안貨 절상 ··· 글로벌 무역 불균형 해소될까?
지난 19일 토요일 저녁.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홈페이지(www.pbv.gov.cn)를 통해 "위안화 환율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발표했다. 인민은행은 성명서에서 "중국 경제의 회복과 상승이 보다 견고해졌다"며 "위안화 환율 형성 메커니즘을 한층 더 개혁해 위안화 시세의 유연성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하지만 달러화에 대한 위안화의 하루 변동폭은 상하 ±0.5%,유로 · 엔 등에 대해서는 ±0.3%를 유지하기로 했다. 인민...
-
커버스토리
중국은 왜 위안화의 평가 절상을 용인했나?
국제적 압력 피하고 물가 안정·내수시장 확대 목적 중국이 위안화시세의유연성확대'를 정한것은 대내외적 필요에 따른 것이다. 먼저 대외적으로 중국은 대 중국 무역적자에 시달리는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의 압력을 해소할 필요가 있었다. 그동안 미국은 물론이고 인도 브라질 등 경쟁 국가들까지나서 위안화 절상을 압박했었다. 또다른 이유는 자국내 물가 상승압력을 억제하고 '내수 시장 활성화'라는 정책 기조를 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은 올해...
-
커버스토리
환율은 두 나라 돈을 바꿀때 적용되는 교환 비율
시장 수요·공급에 의해 결정 ··· 고용 성장 물가에 큰 영향 환율이란 두 나라 화폐 사이의 교환비율이다. 예를 들어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원 · 달러 환율)은 원화와 달러화의 교환비율로,달러화와 비교한 우리 돈의 값어치를 나타낸다. 달러당 1170원이라는 것은 1170원을 줘야 손에 1달러를 쥘 수 있다는 얘기다. 환율은 국민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환율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그리고 그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