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책속에서 얻은 소중한 지혜··· 글로 써서 내 것으로 만들자

    한경 · 바른사회시민회의 '독후감 공모대회' 선정도서 7選 인터넷 문화에 흡수돼 책에서 점점 멀어지는 청소년들.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른 독서 습관이다. 바른사회시민회의는 한국경제신문과 함께 자유시장경제의 참된 가치를 알리는 독후감 공모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응모 기간은 8월8일까지이며 원고지 20장 내외 분량이면 된다. 응모는 바른사회시민회의 홈페이지(www.cubs.or.kr)에서 등록하면 된다. 독후감에 응모할 수 있는 선정...

  • 커버스토리

    "좋은 책은 배고픈 영혼을 살찌우는 양식"

    여름방학에 읽어야 할 인문 · 경제학서 이 밖에 여름방학에 읽어야 할 역사 철학서와 올해 출판돼 주목받고 있는 책들을 살펴 본다. ⊙정의란 무엇인가(마이클 샌델 저,김영사 간) 이 책은 공리주의적 정의관과 자유주의적 정의관을 끌어와 우리가 시민으로서 살면서 부딪히는 어려운 질문들을 설득력있고 재미있게 풀어놓은 일종의 정의학의 개론서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정의를 이해하는 세 가지 방식인 행복의 극대화, 자유 그리고 미덕의 추구를 대변하...

  • 커버스토리

    나의 대학전공 ⑥ 최수명 효성기술원 상무 (서울대 섬유공학과)

    최수명 효성기술원 상용화연구소 상무(56)는 타이어의 재료인 타이어코드 세계시장에서 한국을 1위로 만든 주역으로 꼽힌다. 1980년 효성에 입사한 그는 효성이 세계 최초로 라이오셀타이어코드를 개발하는데 기여했다. 타이어코드는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고 형태를 지지하는 보강재로 차량의 무게와 충격 및 진동을 견디는 역할을 한다. 라이오셀 타이어코드는 공해 물질을 대량으로 사용하는 레이온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친환경적이며,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이 ...

  • 커버스토리

    아름다운 분배 복지··· 그런데 돈은 누가 내지?

    그리스 등 남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를 잉태한 근본 원인은 바로 복지병이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구호 아래 유럽 사회당 정부들이 과거 수십년 동안 복지에 물 쓰듯 돈을 펑펑 쓴 결과 나라 살림이 거덜난 것이다. 복지 과잉이 초래한 남유럽 국가들의 재정 파탄을 목도하고도 우리나라에서는 복지를 한없이 늘리자는 주장이 난무하고 있다. 한국도 복지병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이곳 저곳에서 터져 나오는 이유다. 이런 점...

  • 커버스토리

    마구잡이 복지지출, 미래 세대 허리 휜다

    남유럽 재정위기, 남의 일 아니다 '복지병' 키우는 포퓰리즘 경계해야 세계 15위 경제 규모를 갖고 있는 한국은 복지에 얼마나 많은 예산을 쓰고 있을까. 올해 국내총생산(GDP)의 9.0%가량이 복지에 쓰일 것으로 보인다. '복지 선진국'으로 불리는 유럽 국가들이 20~30%를 쓰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많다고 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유럽 국가들과 단순히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국가재정(나라살림) 상태는 물론이고 경...

  • 커버스토리

    일해서 돈 벌어도 마찬가지인데··· 차라리 놀면서 생활보조금 받자?

    불필요한 곳까지 과도한 복지 혜택··· 헛도는 복지정책 초등학생을 학교 운동장에서 납치해 성폭행한 혐의로 구속된 김수철은 지난해 10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선정돼 정부로부터 매달 50만원을 받았다. 하지만 경찰 조사 과정에서 그는 상당한 소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초생활비를 받을 자격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에서 나오는 지원금을 받기 위해 소득을 몰래 숨긴 것이다. 최하위 빈곤층의 기본적인 생계를 보장해주기 위한 정책이 악용되고...

  • 커버스토리

    국회서 마구 찍어낸다고 法 아니다

    국회의원은 '입법기관'으로 불린다. 의원 개개인이 법률안을 새로 만들거나(제정) 개정안을 발의하고 표결하는 막강한 권한을 갖는다. 때문에 사람들은 국회의원의 임무는 '법을 만드는 것'으로 혼돈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착각은 법을 많이 만들거나 개정하는 의원이 곧 '일 잘하는 의원'이라는 등식을 성립하게 만들었다. 국회의원 자신들도 스스로 어떤 법안이 정말 필요한 것이지,또 그 내용은 충실한지를 세밀하게 따지기보다는 그저 새로운 법을 생산하...

  • 커버스토리

    중·고교 교사 '경제 연수' 15~17일 열린다

    한경·경제교육협회 주최 ··· 저명 경제학자들 시사이슈·기초이론등 강의 한국경제신문과 한국경제교육협회가 공동으로 마련하는 '경제교사 연수'가 오는 15~17일 서울 중구 예장동 서울유스호스텔에서 진행된다. '고교 경제 수업 어떻게 가르치나?'라는 주제의 이번 연수는 일선 중 · 고교 사회과 담당 교사들에게 최근의 경제이슈와 주요 경제이론을 전문가들이 강의함으로써 학교 경제 교육을 지원하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교사들은 무료로 수강할 수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