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9> 바쁘지만 여유로운 사람들 '세무사'

    최근 해외 유명 만화사이트 '도그하우스 다이어리'는 나라별 대표분야 세계지도를 만들어 공개했다. 네덜란드는 '가장 키 큰 나라', 미국은 '노벨상 수상자와 잔디깎기 중 사망'과 같이 각 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것들로 만들어진 이 지도에서 한국을 표현하는 단어는 바로 '일중독(workaholics)'이었다. 외국인 눈에 비친 한국을 대표하는 특징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 주당 평균 근로시간이었다. 불과 50여년 전...

  • 경제 기타

    이란 核협상 10년만에 극적 타결…경제제재 풀린다

    이란과 'P5+1(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및 독일)'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지난달 24일 나흘간의 회의 끝에 핵 프로그램과 관련한 합의에 도달했다. 2003년 서방 국가들이 이란 핵개발 의혹을 제기한 지 10년 만에 나온 극적인 타결이다. #이란, 6개월 한시적 제재 완화 이란은 앞으로 6개월간 5% 이상 농축 우라늄의 생산을 중단하고 현재 갖고 있는 20% 이상 농축 우라늄의 재고를 전량 중화하는...

  • 경제 기타

    시간 선택제, 주부여성·퇴직자에겐 '기회'

    고용률을 높일 '묘안'이 될 것인가 아니면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공약(空約)'으로 끝날 것인가. 박근혜 정부의 핵심 고용정책인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잘만 된다면 고용률 70% 달성도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일각에선 목표치를 너무 높게 잡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계에선 정책 취지는 좋으나 이를 뒷받침할 정부 정책의 허점이 많다는 비판도 제기한다. #고용률 70% 위한 주력 정책 정부가 시간선택제 일자리 ...

  • 경제 기타

    "겨울방학…테샛 경제캠프에서 시작해요"

    겨울방학을 어떻게 시작할까. 무엇인가 재미있고 유익한 캠프가 있다면! 명문대에 입학한 선배들과 공부법과 진로고민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대학교수들의 경제·경영 강의를 듣고, 전국의 고교친구들을 만날 수 있다면! 재미와 유익함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캠프가 오는 28일(토)일 서울 남산 동국대 캠퍼스에서 열린다. 바로 제6회 한경테샛 경제리더스 캠프다. 테샛 경제리더스 캠프는 지난 5회를 거치는 동안 국내 최고의 고교 경제캠프로 자리...

  • 경제 기타

    한경·민성원연구소 공동 개최, 겨울방학 공부 전략 설명회

    한국경제신문은 오는 10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 46-11 민성원연구소에서 '겨울방학 대비 공부전략 설명회'를 민성원연구소와 함께 갖는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민성원연구소장과 한국경제신문 박주병 경제교육연구소 소장이 특목고 상경계 대학 진학을 위한 장기 전략을 제시하고 주니어 테샛 활용 방안을 설명한다. 오전 10시 초등, 오후 1시 중등 대상으로 설명한다. 부산에서도 해운대구 우동 1518 센텀 메디컬센터 빌딩 8층에서 12월 9일 오전 10시...

  • 경제 기타

    방학맞아 23일· 30일자 휴간합니다^^

    생글생글 독자여러분 안녕하세요. 2013년도 이제 한 달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한 해를 시작한 지 엊그제 같은데 달력이 마지막 잎새처럼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현장은 연말의 상념에 젖을 틈도 없이 수능성적 발표후 대학 정시전형으로 바쁠테지요. 며칠 사이 불어닥친 비바람에 헐벗어진 나목(裸木)을 봅니다. 혹시 수능이후 좌절감에 갈 곳 잃어하는 제자들, 친구들이 없는 지 꼭 살펴봐 주세요. 그리고 노력한 것보다 성적이 덜 나온 친구들, 왜 공...

  • 경제 기타

    원격진료는 필요할까요

    정부가 오는 2015년부터 원격진료를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이를 둘러싼 논란이 한창이다. 의사가 직접 환자와 대면하지 않고 진단을 하고 처방을 내리는 원격진료는 그동안 수차례 도입이 논의됐으나 그때마다 번번이 무산됐다. 이에 따라 25년째 시범사업만 해오고 있는 게 현실이다. 보건복지부의 안은 전면적 원격 진료는 아니고 고혈압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자 및 정신질환의 재진 환자를 대상으로 동네병원에만 우선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하...

  • 경제 기타

    "재산권은 번영의 열쇠"…美 자유주의 세계관 형성

    (44) 헌법경제학의 개척자 존 로크 17세기 영국은 각종 정파들의 권력투쟁으로 잦은 정변과 혼란의 연속이었다. 귀족과 결탁한 절대군주는 즉흥적이고 자의적 통치로 시민의 재산과 자유를 억압해 시민들의 삶은 불안정했다. 이런 시기에 정치 경제 등 모든 문제의 뿌리는 권력을 무제한 행사하는 전제정부라고 진단하면서 정부 권력이 제한된 국가에서만 자유와 번영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한 인물이 영국의 정치철학자 존 로크다. 아버지가 변호사였고 부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