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중학생 페이지 신설…생글생글이 새로워졌습니다

    생글생글이 2014년 갑오년 새해를 맞아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대대적인 지면 개편을 단행했습니다. 2005년 제1호를 발행한 이후 생글생글은 전국 1200여개 중·고교와 8만 가정독자가 매주 30만부를 구독할 만큼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이번 개편은 독자 여러분의 성원에 보답하는 한편, 생글생글이 변화된 모습으로 제2의 전성기를 이어가겠다는 다짐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높은 지력을 가진 중·고교생을 배출하는데 앞으로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 경제 기타

    생글 독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갑오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2014년은 12간지상 말띠, 그중에서도 청말띠의 해라고 합니다. 초원을 달리는 푸른 말을 상상하면 심장이 뜁니다. 갑오년은 역사적으로 변화, 혁신과 깊은 관련이 있는 해이기도 합니다. 120년 전 시도된 갑오경장(1894)은 조선을 깨우려는 몸부림이었습니다. 19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개인의 자유와 법치, 시장경제라는 근대정신이 뿌리를 내려가는 때에 조선은 성리학에 매몰돼 빈곤에서 벗어날 기회...

  • 경제 기타

    자신에게 선물하는 세대 등

    [다산 칼럼] 자신의 삶에만 충실한 젊은 세대 나 아닌 남 위한 감사의 선물하며 나눔의 작은 설렘을 느껴보길 한 해가 저물어 가는 요즘 인터넷에서 흥미로운 기사를 발견했다. “올 크리스마스나 연말에 자신에게 선물할 의향이 있는지” 물어본 결과 10명 중 7명이 “물론 그렇다”고 응답했다는 것이다. 자신에게 선물하고픈 아이템으론 명품 핸드백, 화장품 세트가 압도적 지지를 받았고, 뮤지컬 음악회 등의 공연이 뒤를 이었다 한다. 물론 2530...

  • 경제 기타

    개가수, 그들은 누구인가? 등

    개가수, 그들은 누구인가?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에선 출연자들이 실제 가수들을 섭외해 팀을 구성한 뒤 노래를 제작하고 콘서트를 연다. 이런 형식의 프로그램에서 유래된 화제의 단어 '개가수'는 개그맨과 가수의 합성어로 음반을 낸 개그맨들을 칭한다. 개가수가 화제가 된 이유는 개가수들의 음반이 음원 차트를 휩쓸어 같은 시기에 앨범을 발매한 기존 가수들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음악이라는 분야에서 각자 자신의 음악적 개성을 뽐내며 노래하는 가수...

  • 경제 기타

    경제를 배우는 김포외고의 '경제 골든벨' 등

    경제를 배우는 김포외고의 '경제 골든벨' 김포외국어고는 최근 제2회 경제 골든벨 대회를 열었다. 경제 골든벨 대회는 학교 경제동아리 UHEC(United Highschool Economy Community)가 주최하는 대회로 이번이 2회째다. 경제 골든벨 대회는 UHEC의 경제부서 부원들과 부장 차장들이 한 달간이나 준비할 만큼 학교에서 비중 있는 행사다. 이 기간이 학생들이 정식문제와 난센스 퀴즈를 만들고, 규칙 등을 제정한다. 모든 일정을...

  • 경제 기타

    스마트폰 보조금 규제해야 할까요

    똑같은 스마트폰이라도 언제 어디서 이를 구입하는가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라는 것은 이제 거의 상식처럼 돼 버렸다. 정부의 보조금 규제를 피해 주말이나 새벽에 반짝 보조금을 지급했다가 주중이나 낮에는 다시 제값을 받는 변칙 영업 행태도 다반사다. 이 같은 차별적 보조금 지급 행위를 제지하기 위해서 이동통신사에 대한 영업정지 정책에 이어 휴대폰 제조사의 보조금에도 규제를 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조해진 새누리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단말기 유...

  • 경제 기타

    도하개발어젠다 DDA, 12년만에 성과…멀고도 험한 자유무역의 길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9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에서 무역원활화 등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뤄졌다. 호베르토 아제베도 WTO 사무국장은 7일 “WTO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협정이 체결됐다”며 “전 세계가 다시 WTO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이번 합의는 WTO 출범 이후 첫 무역협정으로 세계 무역 자유화를 위해 2001년 출범시킨 도하개발어젠다(DDA) 에서 12년 만에 나온 성과다. - 12월9일 한국경제신문 ...

  • 경제 기타

    "분배 공정해야 사회적 후생 높아져"… 공정거래법 이론적 근거

    (47) 후생경제학 창시자 아더 세실 피구 자본주의가 번창하던 19세기, 영국은 기업을 통해 창출된 국부로 번영을 구가하고 있었다. 전 세계에 상품 판매시장을 확보하고 프랑스의 위력을 억제할 수 있었던 것도 자유주의에 따른 번영의 힘 덕택이라고 믿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에는 노사문제, 빈곤과 불평등, 공장의 환경위협과 자원고갈 등 공동체의 지속적 번영을 가로막는 고질적인 장애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처음으로 정부 개입의 필요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