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12. 노스트라다무스 예언의 평가
예언가나 점쟁이에 대한 평가는 매우 후하다. 평가방식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대개는 맞힌 사실만 뉴스거리가 되고 떠벌려진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언자는 아무래도 16세기에 살았던 노스트라다무스일 것이다. 그는 2차세계대전,케네디 암살 등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예언했다 하여 유명해진 사람이다. 그러나 그가 그의 예언서인 '세기(Centuries)'에서 3000개가 넘는 예언을 했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염두에 두지 않는다. 예언의 정확성을...
-
생글+ 기타
외국대학과 복수학위제 운영 극소수
외국 대학과 학술교류 중인 대학은 많지만 복수학위나 공동학위제 등을 운영하는 곳은 극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외국대학과의 교육과정 공동운영 및 학술교류 현황'을 분석한 결과 165개 국내 대학이 해외 67개국 대학과 2744건의 교류협정(2004년 기준)을 맺고 있다. 교환학생이나 학생파견 등 학생교류가 1195건(45%)으로 가장 많았고,학술자료나 논문 등 학술정보 교환 456건(17%) 자매결연 417건(15%)...
-
경제 기타
서울시, 수돗물 안전성 홍보강화 캐릭터 제작ㆍ탐구교실등 눈길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수년간 계속될 때도 서울시는 항상 "수돗물은 깨끗하고 안전합니다"라는 말만 고집 했을 뿐 이렇다할 대책은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던 서울시가 이번에는 수돗물의 안전성을 행동으로 보여주려는 듯 새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서울시 수돗물의 상징 캐릭터를 만들고 '아리수(한강을 일컫는 우리말)'라는 이름을 지어 친근하게 다가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홈페이지를 통해 광고포스터,아리수 송 ...
-
12. 표준어를 사용하자
어느날 차를 타고 가던 중에 라디오에서 아주 좋은 음악이 흘러 나왔다. 화창한 오후에 한강을 달리며 듣는 음악 소리에 콧노래가 절로 나오는데 갑자기 고개가 갸우뚱? "니가 좋아 너무 좋아 모든 걸 주고 싶어~~~." 한때 유행했던 노래여서 흥얼거릴 정도로 알고 있었지만 노래 가사가 유난히도 크게 들려왔다. 이 노래 가사는 아마 유행 당시의 중·고등학생뿐만 아니라 많은 일반인들도 몇 번씩 들으며 노래방 등에서 불러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
-
학습 길잡이 기타
12. Scanning
이번 호에서는 구체적인 Reading Skill을 소개하려 한다. 우리가 흔히 생활하면서 대하는 전화번호부,TV프로그램 같은 표를 볼 때는 아무도 처음부터 끝까지 읽지 않는다. 자기에게 필요한 것만 빨리 찾아보고는 덮어 버린다. 이렇게 필요한 정보만 찾아 읽을 때 사용하는 Reading Skill이 scanning이다. scanning을 활용하는 글감은 앞에서 예를 든 것 같은 실용문이다. 그러나 전화번호부나 TV프로그램 편성표는 찾고...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8월 29일자
1.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최근 서울 강북지역 학생이 강남지역에 있는 중·고교를 다닐 수 있도록 현행 학군 제도를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 중 정부가 이런 정책을 추진하는 이유로 보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①학생의 선택권 확대 ②강남 집값 안정 ③강북 학생 배려 ④일류 대학 육성 2. 한국전산원이 펴낸 '2005년 국가정보화 백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정보화 지수는 세계 3위로 평가됐다. 정보화지수는 인터넷 이용률,...
-
교양 기타
인간의 무한한 욕망이 행복 파괴의 결과 불러
다음 지문들은 현대문명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와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제시된 글들을 바탕으로 이 주제에 관하여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1600자 내외로 쓰시오.) ※2003학년도 정시 경희대 논술 기출문제로 영문 제시문을 한글로 번역한 것임. (가) 문제들이 수렴되면서 환경적 위기에 도달하게 된다. 이것들은 더 이상 인간의 착취에 이용 가능한 신세계가 없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인구는 지탱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계속 성장...
-
직장인…과외 알바…대학생도 "생글 마니아"
생글생글을 보는 어른 마니아들이 급증하는 현상은 생글생글을 발행하는 한국경제신문 측도 전혀 예상치 못했다. 고교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어느 정도 기대했던 결과지만 어른들이 생글생글에 열광하게 될 줄은 짐작하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 부동산,금리,무역,경제 양극화 등 경제 이슈들에 대한 마땅한 교재조차 없었던 데다 최근 중요성이 크게 높아진 대입 논술만 하더라도 제대로 기획된 교육 재료가 태부족이었던 이유가 역시 가장 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