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생글+ 기타
"우리 미래에 좋은기회"
"환상적인 행사였습니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한 '대한민국 혁신포럼 2006'에 참가한 모니터그룹 마튼 켈더 한국 지사장의 말이다. 대한민국 혁신포럼은 경제 과학기술 문화예술 시민사회 등 각 분야의 혁신리더를 초청해 '21세기 선진국가 도약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노무현 대통령의 축사를 시작으로 사회 각 분야를 움직이는 혁신리더의 활발한 논의가 행사장의 열기를 더해갔다. 로널드 조내시 모니터그룹 IMI 대표는 '대...
-
학습 길잡이 기타
왜 떼지어 행동하게 되는가
[다산칼럼] 김중수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2006년 2월 16일자 한국경제신문 A39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우리 국가체제의 양대 축이다. 이 둘은 상호의존적이며 홀로 운영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서로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다. 이 두 개념 중 하나라도 소홀히 한 나라는 세계경제의 무대에서 사라졌거나 사라질 운명에 처해있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수많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각기 독립적인 주체가 되어 경쟁적으로 행동하는 곳이 시장이라...
-
36. 대답해주지 않는 부동층
선거전의 여론조사에서는 중립항목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아마도 우리나라 국민의 정치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선거조사에서는 부동층이 30% 내지 50%에 달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따라서 부동층을 잡기 위한 방안이 각 후보자들의 중요한 선거전략이 되고 있다.언론의 선거결과 예측에서도 부동표 해석이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1994년 대구와 경주 보궐선거에서 민자당은 자체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대구지역은 백중세를,경주지역은 우...
-
학습 길잡이 기타
뭡니까! 이게
# 뭡니까! 이게 "생일날 사장님이 저를 막 때렸습니다. 왜 그러냐고 물으니까 '생일빵'이래요. 뭡니까 이게,사장님 나빠요. 봉숙이와 침대를 구경했습니다. 봉숙이가 침대 테스트한다며 저를 집어던졌습니다. 돌침대였습니다. 뭡니까 이게,봉숙이 나빠요." 모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흉내내는 개그맨이 "뭡니까 이게"라는 유행어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죠.이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나 예상을 완전히 빗나간 결과에 맞닥뜨렸을 때 쓸 수 있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立春大吉(입춘대길)
# Spring comes with great fortune. 立(설립)=사람이 땅 위에 서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對立(대립) opposition,confrontation 自立(자립) independence,self-reliance Roh will reiterate his earlier stance of pursuing reconciliation among different sectors of society and avoiding c...
-
36. 개요 작성의 중요성
논술은 단순히 좋은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채점 기준에 附合하는 글을 쓰는 것이다. 각 대학 채점 요소를 정리해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항목이 논리력과 구성력이다. 논리력과 구성력은 글을 쓰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一目瞭然하게 전달함으로써 자신의 주장에 설득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논술문을 첨삭해 보면 본인의 생각을 정리하고 난 이후에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글을 쓰면서 생각하여 글을 쓰는 경우가 많다...
-
교양 기타
밀란 쿤데라 '느림'
"50분마다 한 사람씩 프랑스의 도로 위에서 죽어요. 저 사람들 보세요. 주위에서 차를 굴리고 있는 저 미친 사람들. 저들은 거리에서 어떤 할머니가 털리는 걸 보면 지극히 몸사리는 바로 그들이에요. 한데 어째서 운전석에 앉으면 두려움을 모르게 되는 걸까요?" 1968년 소련의 침공 이후 사회주의 개혁 운동을 주도했다가 조국 체코에서 프랑스로 망명한 밀란 쿤데라의 장편소설 '느림'은 첫 장에서 현대인의 이중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
-
학습 길잡이 기타
4. Words in Context (2)
잠시 어휘에서 벗어난 이야기를 하나 한 뒤 시작하자. 필자가 영어를 강의하면서 늘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내용이 있다. 평소에 다양한 종류의 책이나 각종 텍스트를 많이 접하여 풍부한 상식을 쌓으라는 것이다. 그 이유는 물론 7차 교육 과정에서 각 과목을 통합하는 종합적인 학문 능력과 지식을 강조해서이기도 하지만,단순히 영어 하나만을 떼어놓고 보아도 풍부한 상식을 가진 학생이 그렇지 못한 학생보다 훨씬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요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