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한국 국가경쟁력 9계단 미끄럼

    스위스 국제경영대학원(IMD)의 국가별 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9계단이나 미끄러져 전 세계 61개국 가운데 38위로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태평양지역 15개 평가 대상국 가운데는 13위였다. 특히 항목별 평가에서 한국의 노사관계는 61위로 3년 연속 꼴찌를 차지했다.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과 인도의 국가경쟁력이 19위,29위로 각각 12계단과 10계단 뛰어오른 것과는 대조적이다. IMD는 이 같은 내용의 '2006년도...

  • 경제 기타

    콜금리 동결 연 4%로 유지 外

    ⊙콜금리 동결 연 4%로 유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1일 콜금리를 동결,연 4%로 유지키로 결정했다. 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1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연방기금 금리를 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국과 미국의 이 같은 금리 결정 소식이 전해지자 이날 우리나라 원화 환율은 1달러당 935.6원으로 전날보다 6원이나 급등했다. -중앙은행의 금리결정이 외환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

  • 21일 생글 논술대회 3700명 신청

    생글생글 Young 한국경제신문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날씨가 많이 더워졌네요.불과 달포전만 하더라도 두꺼운 옷을 꺼 내 입을 만큼 쌀쌀했는데 이제 물놀이를 하는 학생이 보일 정도로 기온이 올라갔습니다. 해마다 이맘때면 느끼지만 우리 나라는 봄이 너무 짧은 것 같습니다.낮 밤의 기온차가 특히 심한 계절이므로 감기 조심하기 바랍니다. '생글생글i' 출범 기념으로 마련한 제1회 고교논술대회에 3700명의 학생들이 단체 또는 개인자격으로 참가했...

  • 커버스토리

    좋은 상품ㆍ일자리ㆍ납세가 진정한 사회공헌

    "기업의 책임은 단 하나,즉 경제적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라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미국 시카고학파의 거장인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둘러싼 공방에 대해 이같이 일갈했다. 프리드먼이 말하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란 바로 이윤 창출이다.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이윤을 내고 이를 통해 회사를 키워 사람들을 더 많이 고용하고 세금을 더 많이 내는 것이 기업의 '존재 이유'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최근 급증하고 있...

  • 커버스토리

    유한양행-삼성전자, 어떤 기업의 사회공헌이 큰가

    "내가 모은 재산은 여러 사람을 위하는 데 쓰여져야 합니다." 1926년 '건강한 국민만이 주권을 되찾을 수 있다'는 철학으로 유한양행을 설립한 고 유일한 박사는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최고경영자(CEO) 중 한 명이다. 아무 기업이나 설립해 돈벌이를 하는 것보다 제약회사를 차려 질병을 퇴치하겠다는 생각으로 유한양행을 만들었다. 깨끗하게 번 돈으로 다시 유한학원(유한대학 유한공고)을 설립해 평생을 교육사업에 몸 바쳤으며,1971년 작고 후...

  • 경제 기타

    부유층이 지갑 열면 내수 '온기'

    '어린이날 특집 가구대전'이 열린 지난 5일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어린이용 가구 '베로니카 세트'에 붙은 '4,458,000원'이라는 가격표가 고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 가구는 전시된 당일 두 세트가 팔려 나갔다. 398만원짜리 청바지,3000만원짜리 맞춤 수트,1억5000만원이 넘는 TV….유통가엔 최근 '헉!' 소리가 절로 나올 만큼 값비싼 제품들이 쏟아지고 있다. 백화점 등의 유통업계는 '비쌀수록 잘 팔린다'는 판단 아래 이른바 ...

  • 경제 기타

    과시욕ㆍ허영 '보여 주기 위한 소비' 비판

    ■ '베블런 효과'란 과거 많은 경제·사회 학자들은 명품 소비를 두고 비판적인 견해를 쏟아냈다. 가장 두드러진 인물은 1875년 미국 위스콘신 주의 한 농가에서 노르웨이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난 소스타인 베블런이다. 그는 첫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현대문명은 '과시적 소비',다시 말해 '보여주기 위한 소비'로 넘쳐난다고 지적했다. 예컨대 '랄프 로렌'을 가슴에 단 사람은 비싼 옷을 살 경제력이 있다는 것을 세상에 증명한다는 것이다. 베블...

  • 경제 기타

    '0'하나 더 붙여주면 안되겠니?

    무엇이 사람들을 명품 브랜드에 열광하도록 만들까. 지나치게 冷笑적이긴 했지만 미국의 경제·사회 학자 소스타인 베블런(1857∼1929)이 진단한 '과시적 소비'만큼 명쾌한 해석은 드물다.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아마 베블런이 중산층으로까지 명품 소비가 일반화된 오늘날의 우리 사회를 봤다면 "온통 정신병자 투성이구먼"이라고 一喝했을는지도 모른다. 확실히 베블런이 살던 산업사회 초기 시대보다 2006년의 한국 사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