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커버스토리
이타적 행동 보상하는 제도가 시장경제
"우리가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것은 정육점 주인,양조장 주인,빵집 주인의 자비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이익에 대한 그들의 관심 때문이다. 우리는 그들의 인간성에 호소하지 않고 이기심에 호소하며,그들에게 우리 자신의 필요를 이야기하지 않고,그들의 이익을 이야기한다." -애덤 스미스,<국부론> 中에서-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는 경제 활동의 원리를 이처럼 인간의 '이기심'에서 찾았다. ◆희소한 자원을 배분하는 가격원리...
-
커버스토리
이타심은 이기심으로부터 나온다
"너 참 이기적이구나." 자,어느날 옆자리 친구한테 '이기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기분이 어떨까? 사회통념상 '이기적'이라는 단어는 매우 고약한 뉘앙스를 풍긴다. 하지만 '경제적 관점'에서라면 마음 상할 이유가 없다. 경제학은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이라고 가정한다. 이기심은 인간의 본성이자 인간 사회를 굴러가게 하는 힘의 원천이다. 바로 이 때문에 시장경제에 반대하는 많은 사람들은 인간은 이기적이 아니라 이타적 존재라는 사실을 증...
-
경제 기타
블록딜은 무엇이고 어떻게 하나
요즘 증권 기사를 읽다 보면 영어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모멘텀' '어닝 시즌' '서머 랠리' '리레이팅'…. 한글 애용론자들 입장에서 보면 분통 터질 만한 일이다. 더구나 '모멘텀→계기' '어닝 시즌→실적 발표 기간' '서머 랠리→여름휴가철 주가 강세''리레이팅→재평가' 등 번역할 수 있는 우리말이 엄연히 있는 데도 굳이 원어를 그대로 쓰니 말이다. 그러나 이런 용어를 사용하는 데는 나름대로 변명 거리가 있다. 자본에 국적이 없어져 ...
-
경제 기타
(2) 정진구 CJ푸드빌 사장
1972년 삼립식품 구매부의 한 신입사원이 경상북도 문경의 나환자촌을 찾았다. 그는 주민들을 만나 무작정 계란을 달라고 졸랐다. 도매상들에게 공급하는 가격보다 훨씬 높게 쳐 줄 테니 삼립식품과 직거래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설득했다. 외지인들을 쉽게 믿지 않는 나환자촌 사람들은 코웃음을 쳤다. 그래도 이 청년은 포기하지 않았다. 밀고 당기기를 몇 차례,청년은 아예 서울에서 짐을 싸들고 나환자촌으로 내려갔다. 손가락이 없는 환자들을 위해 목욕을...
-
경제 기타
제조업 번창해도 경상수지 적자로 미국 경제는 고전
미국 제조업이 생산성 향상으로 번창하고 있다지만 미국 경제는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를 기준으로 보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 HSBC 홀딩스의 수석이코노미스트인 스티븐 킹은 이 상황이 16세기 스페인 제국이 망해갈 때와 닮은 꼴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다. 전 세계를 주름잡은 초강대국이었던 스페인이 쇄락의 길로 접어들었을 때의 경제상황이 오늘날 슈퍼파워 미국의 사정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필립 2세가 통치했던 시절(1556~1598년) 스페인...
-
경제 기타
미국의 제조업 정말 비틀거리나?
'미국의 제조업은 외국 기업의 거센 도전을 받아 비틀거리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른 중국이 대미 무역흑자를 갈수록 키워가고 있고,일본 도요타 한국 현대 등 아시아 자동차업체들이 미국 자동차업체의 시장을 계속 빼앗는 걸 보면 쉽게 수긍이 가는 주장이다. 특히 세계 1위 자동차 회사인 제너럴모터스(GM)가 경영위기를 맞으면서 미국 제조업의 위기를 지적하는 목소리는 더욱 큰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1908년 설립 이후 뷰익 캐딜락 시...
-
과학 기타
디스커버리호 1년만에 다시 우주로
미항공우주국(NASA)이 지난해 7월에 이어 1년여 만에 우주왕복선을 다시 발사했다. 두 차례 연기 끝에 지난 4일(미국시간)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를 떠난 '디스커버리'호는 안전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우주 여행을 떠났다. 디스커버리호는 우주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과 도킹해 각종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번 우주왕복선 발사는 2003년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두 번째 이뤄진 것으로,침체돼 있는 미국 ...
-
학습 길잡이 기타
差別과 差異
시론 < 김경준 딜로이트 투쉬 파트너 > ☞한국경제신문 7월3일자 A38면 최근 교육계 일각에서 현행 교육제도가 학생 서열화를 강요하고 학력에 따른 차별을 심화시킨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서열화의 정점에는 대학입시가 있다는 인식 아래 차별 철폐를 위해 학력이 아니라 인간성을 기준으로 대학입학을 허용하고 평준화(平準化)를 실현해야 한다는 주장조차 나오는 실정이다. 공부할 학생을 실력과 의지가 아니라 인간성 기준으로 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