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참고서값 너무 비싸다…고급 종이 꼭 쓸 필요 있나?
서울 강동구에 사는 조 모군(19)은 수능시험이 끝나고 버릴 책을 정리하던 중, 추리고 추려도 나오는 참고서의 엄청난 양에 놀랐다.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사다 풀어 본 참고서가 무려 600여권. 얼핏 보아 책 한 권에 1만원이 훌쩍 넘어간다. 책값을 환산해 보던 조 군은 어마어마한 금액에 벌린 입을 차마 다물 수 없었다. 요즘처럼 참고서를 정리할 시점이 되면, 참고서 가격에 대한 비판 여론이 들끓는다. 한 대중지의 독자 기고란에도 학...
-
경제 기타
두바이를 다녀와서(하)
"사막은 더 이상 장애물이 아니었다" 사막에 스키장과 인공섬… 석유 고갈 대비 관광 자원 개발 결실 스키장도 마찬가지다. 유럽의 스키팀들이 훈련장으로 이용한 적이 있는 <스키 두바이>는 사막 지역에 위치해 있다. 기자가 스키 두바이를 찾았을 때 스키장과 부설 쇼핑몰에는 가족 단위 관광객들로 크게 붐비고 있었다. 일반인의 호기심을 자극해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두바이의 전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략은 야자...
-
신문기사를 활용한 나만의 창의논술 비법
잘 읽은 신문 한 장, 열 참고서 안 부럽다 유승준 소장의 신통한 창의논술 ⑦ 신문과 통해야 논술이 쉬워진다 신문은 인류가 낳은 최고의 미디어 중 하나다. 미디어란 그 자체로 인간과 인간을,인간과 세상을 매개하는 도구다. 그동안 교육현장에서의 신문기사 활용은 시사이슈 파악,쟁점 정리 등 보조도구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과연 신문은 참고서의 보조수단에 불과할까? 무게중심창의력연구소의 유승준 소장은 "신문이야말로 최고의 논술 텍스트"라...
-
학습 길잡이 기타
27. 왜 성형수술이 그토록 유행할까
경제학 & 심리학 2006년 최대 히트작은 '미녀는 괴로워'였다. 169㎝, 95㎏의 헤비급 주인공 한나(김아중 분)가 전신 성형을 통해 8등신 미녀인 제니로 거듭나면서 벌어지는 해프닝을 그린 영화다. 성형수술 전후의 '비포-애프터' 변화상은 단순히 한나의 외모가 바뀐 것만이 아니다. 그를 대하는 모든 이들의 태도까지 달라졌다. 얼마 전 국내에선 성형미인 콘테스트까지 열렸다. 방학을 맞아 여학생들의 성형수술은 흔한 일이고, 심...
-
학습 길잡이 기타
(42) 목조 건물은 불에 탄다
⊙ 샤펠 다리의 사연 1333년 세워진 샤펠 다리(Kapellbruecke)는 스위스 루체른의 명물이다. 관광객들은 밤이나 낮이나 아무런 제재 없이 203m에 이르는 이 다리를 직접 건너볼 수 있다. 나무로 만들어진 다리 중앙에는 한때 교도소로 쓰였던 방이 있고, 다리 천정에는 122개의 그림이 붙어 있는데 17세기 루체른 지역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샤펠 다리는 하나의 박물관을 연상시키는 문화 유물들의 전시장이기도 ...
-
학습 길잡이 기타
논제의 보물창고 고전수필 실전논술
4. 이수광 '죽음에 대하여(원제 : 死亡)' -잘 살아가는 것은 잘 죽어가는 것! '죽다'의 높임말은 '돌아가시다'이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기에, 죽는다는 것은 인간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는 생각이 담긴 것이다. "생명을 받으면 그대로 즐기고, 생명을 잃을 경우에는 제자리로 돌아간다(受而喜之 忘而復之 수이희지 망이복지)."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중에서) 장자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자연을 시작도 없...
-
학습 길잡이 기타
권호걸의 통합논술 뽀개기 ⑨
관심문제에서 착각하기 쉬운 유형을 살피자 1. 들어가며 우선 지면을 시작하기 앞서 지난번에 광고했던 '카페' 개설에 관한 답신을 해준 학생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부족한 지면의 글을 보고도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보니 반가운 마음이 앞섰다. 아직 카페 개설 여부는 확정짓지 않았지만 답변을 준 학생들에게는 어떤 모양이든 보답을 할 생각이다. 카페 맴버 모집은 3월 말까지 받을 생각이다. 그러니 생각이 있는 학생은 이메일을 보내 신청하기 바...
-
교양 기타
(75) 사회과학 명저를 찾아서 ①한스 모겐소 '국가 간의 정치'
"국가의 모든 활동 목표는 국익의 극대화" 국제정치는 국가들의 끝없는 권력투쟁, 이타적인 상호 관계란 그야말로 헛된 희망이다 지금 한국 사회의 화두는 단연 세계화이다. 세계화라는 한국어도 이제는 촌스럽다는 느낌인지 여기저기에서 글로벌라이제이션(globalization)이라는 영어가 난무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그렇게 조급히 들여다보고 그토록 간절히 참여하고 싶어서 안달하는 '세계' 그 본연의 모습이 과연 어떠한 것인지에 관한 논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