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학습 길잡이 기타
(36) 밤에는 안보여 이름을 부르지요
옛글자 현재 글자 名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서명(署名): 1. 자기의 이름을 써넣음. 또는 써넣은 것. *署(서) : 쓰다 명색(名色): 1. 어떤 부류에 붙여져 불리는 이름. 2. 실속 없이 그럴듯하게 불리는 허울만 좋은 이름. 3. 겉으로 내세우는 구실.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 명성이나 명예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 호사유피 인사유명(虎死留皮 人死留名): 호...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19일자
특정 제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면 그 제품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소비자들은 다른 다수의 소비자들이 쉽게 사지 못하는 제품에 호감을 느낀다는 의미로, 명품 등에 적용되는 이것은? ①밴드왜건효과 ②스놉효과 ③베르테르효과 ④네트워크효과 포항제철(지금의 포스코)을 만들어낸 주역이자 포스코 명예회장인 이 사람이 최근 별세했다. 정치인으로서는 4선 국회의원과 국무총리를 지내기도 한 이 사람은? ①정몽헌 ②구두회 ③박태준 ④이희건 선진국의...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03)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 · 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 · 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
-
경제 기타
대적 M&A 분쟁서 友軍 역할하는 백기사
▶ 백기사와 흑기사 삼성카드는 삼성에버랜드 보유 지분(25.64%) 중 17.0%를 주당 182만원에 KCC에 팔기로 결정했다고 12일 공시했다. 매각 대금은 총 7739억원이다. KCC는 이건희 삼성 회장의 아들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에 이어 에버랜드의 2대주주에 오른다. 이에 대해 증권가에선 전략적 제휴설, 백기사설, 파킹설 등이 제기되고 있다. - 12월13일 한국경제신문 ☞ 시장경제의 한 주체인 기업들은 다른 기업들과 때론 경쟁하고 때...
-
커버스토리
원조의 경제학…國格을 높이다
광복 후의 대한민국은 말 그대로 가난에 찌든 폐허의 땅이었다. 슬픔을 자아내는 헐벗고 굶주린 어느 아프리카 소년의 모습은 당시 대한민국의 자화상이었다. 반세기 동안 일제의 억압에 시달린 나라에 희망이란 단어는 생소하고 사치스럽게만 느껴졌다. 그런 대한민국이 다시 반세기가 흐른 지금 지구촌의 중심에 우뚝 섰다. 국제사회로부터 지원 받던 나라에서 지원하는 나라로 유일하게 변신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해외에서 줄잡아 600억달러(70조원)...
-
경제 기타
이름 걸고 사회공헌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저소득층 학생 8만4000명에 '희망의 사다리'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내년부터 5년간 총 8만4000명의 저소득층 학생에게 학자금을 지원한다. 정 회장이 지난 8월 순수 개인기부로는 사상 최대 금액인 5000억원을 기부하면서 “저소득층 자녀들의 사회적 계층 이동을 위한 교육의 기회를 부여해 미래인재 육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정 회장은 이를 위해 '해비치 사회공헌문화재단'을 '현대차 정몽구 재단'으로 바꿔 본격적인 사...
-
경제 기타
한국, 무역 1조달러 클럽 가입… 수출 强國 '명성'
우리나라의 연간 무역(수출+수입) 규모가 지난 5일 사상 처음으로 1조달러를 돌파했다. 무역 1조달러를 달성한 것은 미국 독일 중국 일본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이탈리아에 이어 세계 9번째다.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3만~4만달러에 달하는 통상 대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선진국 반열에 한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 산업 불모지에서 출발해 반세기 만에 1조달러 반열에 오른 건 세계적으로도 전례를 찾기 힘든 쾌거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커버스토리
해외원조는 공생의 미학 … 수혜국 자생력 키운다
국제원조의 본질은 '지구촌의 공동번영'이다. 가난한 국가들이 자생력을 키우도록 도와줘 더불어 잘사는 지구촌을 만드는 것이 기본정신이다. 원조는 국격도 높인다. 글로벌 리더의 조건 중 하나로 원조가 꼽히는 이유다.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하는 나라로 변신한 우리나라도 국제적 위상에 걸맞게 원조 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이 중요시되는 것처럼 국가의 국제적 책임 또한 갈수록 의미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