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17)- 추론

    [서울대 인문수리논술 2010 정시 논술문제 중에서] S·몰입공부경영연구소 소장 smaths@naver.com

  • 학습 길잡이 기타

    (37) 나는 소치는 목동

    옛글자 현재 글자 牧 (가축을) 칠 목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유목(遊牧):일정한 거처를 정하지 아니하고 물과 풀밭을 찾아 옮겨 다니면서 목축을 하여 삶. *遊(유):놀다, 여행하다 목민심서(牧民心書):조선 순조 때 정약용이 지은 계몽 도서. 지방 관리들의 폐해를 없애고 지방 행정의 쇄신을 위해 옛 지방 관리들의 잘못된 사례를 들어 백성들을 다스리는 도리를 설명하였다. 48권 16책의 사본(寫本).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목민지관(牧民...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6일자

    1. 예비전력량을 최대 전력수요로 나눈 값으로, 전력 공급의 여유분을 보여주는 지표다. 최근 한파 영향으로 8%대로 떨어지면서 '블랙아웃'에 대한 우려를 높였던 이것은? ①평균전력비율 ②공급탄력성 ③전력예비율 ④수요탄력성 2. 올해 우리나라의 이 작물 수입량이 5억달러를 넘어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로부스타, 아라비카 등이 대표적 품종이며 테이크아웃 전문점의 급성장을 배경으로 소비가 늘어난 이 기호식품은? ①코코아 ②커피 ③블루베리 ④팜...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04)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 · 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 · 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

  • 경제 기타

    '바젤Ⅲ'는 바젤委가 만든 은행감독 국제기준

    강현철의 시사경제 뽀개기 ▶ 바젤위원회와 '바젤Ⅲ' 미국도 대형 은행들의 자기자본 확충을 요구하는 국제협약 '바젤Ⅲ' 를 채택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 중앙은행(Fed)이 이번 주나 늦어도 내년 초에 대형 은행들의 자본 강화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19일 보도했다. 이번 자본 강화안은 미국 대형 은행들이 수용을 반대한 바젤Ⅲ에 기초한다. 때문에 바젤 싸움에서 미국 은행들이 Fed에 패배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 12월21일 한국경제신문 ☞ '...

  • 커버스토리

    공존의 '다문화'…국경을 허물다

    21세기는 융합의 시대다. 융합은 서로 이질적인 것이 섞여 조화라는 시너지를 만들어 낸다. 정보기술(IT) 제품의 대명사인 스마트폰은 기술의 융합이 얼마나 막강한 파워를 과시하는지 잘 보여준다. 융합은 기술의 결합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질적인 민족이 모여 조화롭게 더불어 사는 것, 다양한 문화가 섞여 무지개빛 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 역시 융합이다. 기술과 달리 민족이나 문화의 융합에는 관용이라는 윤활유가 섞여야 시너지를 낸다. 관용이 빠진 융...

  • 경제 기타

    '영원한 鐵人'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

    "성공 못하면 빠져죽자"… 뚝심으로 철강강국 일궈 한국의 '철강왕'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13일 타계했다. 84세. 고인은 “포스코가 더 크게 성장해 세계 최강이 되길 기원한다. 항상 애국심을 갖고 일하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유족들이 전했다. 고인은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강산업을 일궈내 우리나라 산업화의 기초를 닦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청빈하기로 유명했던 박 명예회장은 생전에 모든 재산을 이미 사회에 환원한 것으로 알려져 사회를 감동시...

  • 경제 기타

    서울대, 입학사정관제로 80% 선발

    2013 입시 주요대학 어떻게 뽑나 2013학년도 입시에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특징은 많은 대학이 복잡한 전형들을 통폐합해 간결하게 정비한다는 것. 학생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 학교생활기록부, 논술, 면접 등을 준비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뺏기고 있어 부담을 줄이려는 의도다. 시행 5년째를 맞는 입학사정관제는 서울대가 전체 선발인원의 80%를 이 전형으로 뽑기로 하고, 연세대는 성적을 보지 않는 창의인재트랙 전형 모집인원을 40명(기존 3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