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논술은 '평가자 위주의 글' 이다

    Smart한 논술의 법칙(3)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학교에서 기말고사 중이거나 기말고사가 끝난 후일 것 같습니다. 기말고사 후에는 조금만 놀고 알찬 겨울방학 잘 보내기 바랍니다. 그리고 겨울방학 동안 1주일에 한 번이라도 논술준비를 꾸준히 하기 바랍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학생 글의 평가기준은 대학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제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작성한 것이며, 평가 점수는 제 개인적인 판단임을 미리 알려 드립니다. 그리...

  • 학습 길잡이 기타

    "정확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생각 펼쳐야"

    지난 생글생글 318호에서 서울대 정시 논술 문제 중에서 창의성이 발휘되는 영역은 기껏해야 20% 정도에 불과하다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3번 문제가 바로 그 문제입니다. 하지만 창의성을 발휘한다는 말의 의미는 아무것도 없는 빈 종이(tabula rasa) 위에 하고 싶은 말을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최소한의 변별 장치를 두지 않은 상태로 자기 생각을 적게 한다면, 잘 쓰고 못 쓰고를 가려내는 일은 채점자의 주관에 따라 달라지겠지요. 3번 ...

  • 한국 작가가 읽어주는 세계문학 <28> 시마자키 도손 '파계'

    지리멸렬의 미학 원고 청탁과 함께 도서목록을 받은 나는 단번에 시마자키 도손의 《파계》를 선택했다. 순 제목 때문이다. 파계(破戒). 경계를 무너뜨리다, 금기를 거부하다, 뭐 그런 뜻인데, 이런 거 일단 매력적이다. 케케묵은 질서를 깨뜨리는 통쾌함 같은 게 기대된다. 갈등과 파란이 생겨나겠지만 그것을 거쳐야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지지 않던가. 아무튼 정보가 없는 데다 일본소설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미모의 공주님을 꿰차고 야반도주하는 심복무사나 ...

  • 진학 길잡이 기타

    바뀌는 2017학년도 대입

    논술·면접 못하면 대학 가기 힘들어진대요. 2014년 고교내신 절대 평가 내신보다 논술·면접이 중요 현재 중학교 1학년생들이 고등학교에 들어가는 2014학년도부터 고교 내신제도가 현행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뀐다. 성적은 현재의 9등급제에서 성취도에 따른 6단계(A-B-C-D-E-F)로 표기된다. 학생들을 줄 세워 석차를 매긴 후 일정 비율대로 등급을 나누는 상대평가와는 달리 절대평가는 개별학생이 일정한 학업성취 수준에 도달했는지...

  • 경제 기타

    우정이란 이름으로… 추억이란 여행으로…

    우정이란 이름으로… 추억이란 여행으로… 연말이 다가오고 있다. 전국 많은 지역에는 벌써 첫눈이 내렸다. 눈이 아직 신기한 유치원생들부터, 입시와 공부에 치여 예전보다 여유와 낭만을 조금 잃어버린 고등학생들, 졸업을 앞두고 대학에 합격하여, 이제 막 짐을 한보따리 내려놓은 새내기 대학생들까지. 모두 하나가 되어 동화속 한 장면처럼 내리는 첫눈을 넋 놓고 바라봤으리라 생각한다. 연말이라고 하는 시기는 많은 젊은이들을 설레게 한다. 물론 올해는 크...

  • 진학 길잡이 기타

    해마다 하위권 학과는 최고 경쟁률 기록

    동일대학이라도 모집군 따라 반영방법 꼼꼼히 살펴야 ▨ 주요대학 모집군별 특성과 지원전략 서울시립대 서울시립대는 가나다군 등 모든 군에서 분할모집을 실시하는데 가군과 다군은 수능 100%로 선발하며, 나군도 모집인원의 70%를 수능 성적만으로 우선 선발한다. 나머지 인원은 수능성적과 학생부성적을 합산하여 총점순으로 합격자를 선발하는데, 학생부는 계열별 주요 교과 중 상위 3개 과목만 반영되기 때문에 학생부의 영향력은 미미하다. 계열 구분없이...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138>

    풍력발전의 효율과 일률의 평균값 [2010 성균관대학교 수시 2 논술고사 문제 中]

  • 학습 길잡이 기타

    (16) -자료 분석

    [경희대 인문수리논술 2010 수시 문제 중에서] S·몰입공부경영연구소 소장 smath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