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어 이야기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을 때 'level playing field'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FSC) said on Thursday it will extend its stock short-selling ban by 10 months to the end of March 2025.“If short sales resume now without centralized electronic monitoring systems in place, there is a risk that large-scale illegal short selling will occur again,” said FSC Vice Chairman Kim So-young at a media briefing.Stock market analysts said Korea, Asia’s fourth-largest economy, will likely resume stock short-selling practice as early as April of next year after revising relevant rules to level the playing field between retai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and strengthening fines and punishments for illicit illegal short sales.The government prohibited short selling of domestic stocks from Nov. 6 of last year through the first half of this year after some foreign banks were found to have executed a substantial amount of naked short sales, which is illegal in the country.금융위원회는 주식 공매도 금지 조치를 당초 계획보다 10개월 연장한 2025년 3월 말까지 유지한다고 목요일 발표했다.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언론 브리핑에서 “전산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매도를 재개할 경우 대규모 불법 공매도가 다시 반복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주식 시장 분석가들은 아시아 4위의 경제 대국인 한국이 개인과 기관 투자자 간 공매도 거래 시장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기 위해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불법 공매도에 대한 벌금과 처벌 수준을 강화한 후 이르면 내년 4월부터 주식 공매도 제도를 재개할 것으로 예상했다.한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6일 일부 외국계 은행들이 국내에서 금지된 무차입 공매도 거래를 대규모로 한 것이 드러나자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 주식 공매도를 금지했다.해설공매도(short selling)란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현재 가지고 있지

  • 영어 이야기

    주식을 공개매수할 땐 'tender offer'

    Hong Kong-based private equity firm Affinity Equity Partners is set to extend its tender offer for South Korean food container maker Lock&Lock shares. Affinity failed to secure more than a 30% stake in the company through a first-round bid due to the offer price being lower than minority shareholders’ expectations.Affinity had planned to buy a 30.33% stake in Lock&Lock through the first-round bid between April 18 and May 14 to delist the company from the Korean stock market.According to Lock&Lock’s regulatory filing, Affinity started a second-round tender offer on May 16 to buy an additional 14.53% stake, or 6.29 million shares in the Korean company for 55.1 billion won ($40.9 million). Currently, it owns 85.45% of Lock&Lock.The share offer price is 8,750 won apiece, the same as the one in the first round. It is 1.4% higher than Lock&Lock’s closing price on the main Kospi bourse on May 14.홍콩계 사모펀드 운용사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가 밀폐용기 제조사인 락앤락 지분에 대한 공개매수 기간을 연장했다. 어피너티는 1차 공개매수에서 락앤락의 30% 이상 지분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공개매수 가격이 소액주주들이 기대한 가격보다 낮았기 때문이다.어피너티는 4월 18일부터 5월 14일까지 1차 공개매수 기간 동안 추가적으로 락앤락 지분 30.33%를 확보해 상장 폐지할 계획이었다. 현재 어피너티의 지분율은 85.45%다.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어피너티는 추가로 락앤락 지분 14.53% 또는 629만 주를 551억원에 매입하기 위해 5월 16일 공개매수를 시작했다. 공개매수 가격은 5월 14일 종가보다 1.4% 높은 주당 8750원으로, 1차 공개매수와 동일하게 책정됐다. 해설밀폐용기 제조사 락앤락의 대주주는 사모펀드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입니다. 어피너티가 공개매수를 통해 락앤락의 잔여 지분

  • 영어 이야기

    금융긴축이 몰고오는 시장 충격 'taper tantrum'

    The South Korean financial markets were roiled by a fresh taper tantrum after the US Federal Reserve chair signaled further tightening last week, triggering sell-offs of the Korean currency, bonds and stocks.The US dollar index, a measure of the dollar value relative to a basket of six foreign currencies, climbed to 106.10, the highest since November last year.Taper tantrum refers to the panic selling of US Treasuries, which triggered a spike in their yields, in 2013 in response to the Fed’s signal to end its quantitative easing program.The dollar index and US treasury yields have been shooting up since last Wednesday when US Fed Chair Jerome Powell signaled more rate hikes ahead. The 10-year debt yield added 4.2 basis points to end at 4.054%, hitting this year’s new high.지난주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추가 긴축정책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이후 원화, 국내 채권, 주식 시장에 매물이 대거 쏟아졌다. 테이퍼 탠트럼(긴축 발작)으로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친 것이다.6개 외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미국 달러 지수는 106.10로 작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테이퍼 탠트럼은 2013년 당시 Fed 의장이 양적완화 프로그램 종료를 시사하자 미국 국채 시장에서 패닉 셀링(공포 매도)이 일어나면서 국채금리가 급등한 것을 의미한다.제롬 파월 Fed 의장이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한 지난 수요일 이후 달러 지수와 미국 국채 수익률은 급등하고 있다.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4.2%포인트 상승한 4.054%로 마감해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해설제롬 파월 미국 Fed 의장이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한 이후 미국 국채금리가 오르고 그 여파로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쳤다는 기사의 일부입니다. 도입부에 ‘긴축 발작’이라는 뜻으로 taper tantrum이라는 표현이 쓰였습니다. tantrum은 발끈해서 성질

  • 영어 이야기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 'HBM'

    Sales of high-bandwidth memory (HBM), essential to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will significantly grow in the coming years, benefiting market leaders such as SK Hynix and Samsung Electronics.HBM’s unit sales price is several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DRAM and about five times that of double data rate 5 (DDR5) chips, used for personal computers. This pricing, combined with new AI product launches, is expected to dramatically raise HBM’s share in the DRAM market through 2025.HBM’s share of total DRAM bit capacity is estimated to rise from 2% in 2023 to 5% in 2024 and surpass 10% by 2025, according to Taiwan-based market researcher TrendForce. In terms of market value, HBM is projected to account for more than 20% of the total DRAM market starting in 2024, potentially exceeding 30% by 2025.인공지능에 필요한 고대역폭 메모리(HBM) 판매가 향후 몇 년 동안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SK하이닉스, 삼성전자와 같은 시장 선두 업체들은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HBM의 판매 단가는 기존 D램의 몇 배, 개인용 컴퓨터에 쓰이는 DDR5 메모리칩보다 약 5배나 높다.신규 AI 제품 출시와 함께 D램 시장에서 HBM 점유율은 2025년까지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만 시장조사업체인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전체 D램 용량(비트)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2%에서 2024년 5%로 증가하는 데 이어, 2025년에는 1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HBM은 2024년부터 전체 D램 시장 매출의 2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5년에는 3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해설컴퓨터와 휴대전화 등으로 동영상을 보거나 비디오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전자기기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양이 급속하게 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인공지능(AI) 발달로 더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가 필

  • 영어 이야기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공매도는 'short selling'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said it has uncovered 211.2 billion won of naked short sales of Korea-listed stocks by nine global banks between 2021 and 2023. Of the total, Credit Suisse and Nomura made up more than half at 116.8 billion won.The regulator said the nine foreign banks shorted 164 stocks listed in South Korea, without first borrowing them. The stocks include those of Hotel Shilla Co. and Kakao Corp.The total sum of penalties to be slapped on the nine banks will likely surpass 100 billion won,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The penalty for illegal short selling varies, depending on the intentionality of the order, the value of illegal transactions and profits they took from the trade, and the rate of order execution,” said a senior FSS official. “In principle, they can be fined up to 100% of the illegal transaction amount.”금융감독원은 외국 은행 9곳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 상장 주식 2112억원 규모를 무차입 공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크레디트스위스와 노무라가 1168억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금감원은 9개 외국 은행이 호텔신라와 카카오를 비롯한 한국에 상장된 164개 종목을 먼저 차입하지 않고 공매도했다고 밝혔다.업계에선 금감원의 조사가 마무리되면 외국 은행 9곳에 부과될 총 과징금 규모가 1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불법 공매도 과징금은 주문의 고의성을 비롯해 위반 금액 규모, 위반을 통한 이득 규모, 주문 체결률 등에 따라 달라진다”며 “원칙적으로 위반 금액의 최대 100%까지 과징금을 물릴 수 있다”고 말했다.해설회사의 경영 상태가 나빠지면 주식 투자자들은 그 회사 주식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주가가 떨어질 때 시세차익을 얻을 목적으로 하는 주식 거래

  • 영어 이야기

    실속이나 가성비를 추구할 땐 'bang for the buck'

    South Korea’s homegrown fast-fashion brands are expected to continue making big strides at home as cost-conscious consumers shifted toward more bang for the buck.According to Shinsung Tongsang, sales of the company’s budget-friendly fashion brand Topten jumped 15% on-year to 900 billion won last year and are estimated to have grown nearly 10%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from a year ago. “At the current pace, its sales are expected to surpass 1 trillion won this year,” said a Shinsung Tongsang official.Other Korean fast-fashion brands Spao run by E-Land Group and 8Seconds under Samsung C&T Corp. also saw rising domestic sales last year.However, Japanese fast-fashion brand Uniqlo saw its sales drop in Korea last year. Brisk sales of the local fast-fashion brands were driven largely by the growing number of thrifty consumers seeking value for money amid high inflation, said market analysts.비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가성비 높은 제품으로 눈을 돌림에 따라 한국 패스트패션 회사들은 국내에서 큰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신성통상에 따르면 자사의 중저가 패션 브랜드 탑텐의 작년 매출은 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이상 늘었고, 올해 1분기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신성통상 관계자는 “지금 추세라면 올해 사상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랜드 그룹이 운영하는 스파오와 삼성물산의 에잇세컨즈 등 다른 한국 패스트패션 회사들의 국내 매출도 작년에 증가했다. 반면 작년 유니클로 한국 매출은 줄어들었다.국내 패스트패션 회사의 매출 증가는 고물가 시대에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증가에 힘입은 것이라고 시장 분석가들은 말했다. 해설패스트패션(fast fashion)은 유행에 따라 발빠르게 저렴한 가격으

  • 영어 이야기

    협력하다, 힘을 합치다 'join forces'

    Hyundai Motor Group agreed to join forces with SK Enmove to develop next-generation vehicle refrigerants, which are used in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heat pumps of cars.Under their agreement, SK Enmove will lea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refrigerants to enhance heating performance by more than 30%, compared to the existing models.Hyundai Motor will focus on developing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s fitting with SK Emove’s new refrigerants to improve electric vehicles’ (EVs) mileage in winter.Unli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EVs do not generate engine waste heat that warms the interior of cars, so they need to use refrigerants for both cooling and heating.SK Enmove produces EV lubricants and immersion cooling fluid funneled into pump system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The two companies will cooperate to develop technologies to recover and recycle waste refrigerants.현대자동차그룹은 자동차 공조 장치, 히트펌프 등에 사용하는 차세대 차량용 냉매를 개발하기 위해 SK엔무브와 함께 협력하기로 했다.협약에 따라 SK엔무브는 기존 냉매 대비 난방 성능을 30% 이상 개선하는 첨단 차량용 냉매 개발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전기차의 겨울철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SK엔무브가 개발한 신규 냉매에 맞는 차량 열관리 시스템 개발에 집중한다.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차내 난방에 활용할 엔진 폐열을 발생시키지 않아 냉난방 겸용 냉매가 필요하다.SK엔무브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펌프 시스템에 유입되는 전기차 윤활유와 침지 냉각액을 생산한다. 두 회사는 폐냉매 회수와·재활용 기술 개발에도 협력한다.해설엔진을 사용하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배터리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차는 주행 중 냉난방에 사용할 만큼의 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별도의 냉매가 필요

  • 영어 이야기

    장단점 또는 찬성과 반대를 말할 땐 'pros and cons'

    The conflict between HYBE Co. its label behind globally popular girl group NewJeans has sparked a debate on the pros and cons of the K-pop’s multi-label system.Their clash has brought to the surface the challenge facing the K-pop industry’s multi-label system, pioneered by HYBE, the company behind global sensation BTS. In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 label refers to a subsidiary under an entertainment company.Bang Si-hyuk, founder and chairman of HYBE, introduced the multi-label system after acquiring leading music agencies. Its local peer JYP Entertainment Corp. has also adopted the model, followed by SM Entertainment Co. last year. The multi-label model has been credited for the strong performance of K-pop idols and for generating a steady stream of profits for their parent companies.글로벌 인기 걸그룹 뉴진스의 소속사와 모회사인 하이브의 갈등으로 K팝 멀티레이블 제도의 장단점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이들의 충돌로 글로벌 센세이션을 일으킨 방탄소년단(BTS) 회사인 하이브가 K팝 업계에 처음으로 도입한 멀티레이블 제도에 대한 문제점이 표면화됐다. 한국 연예계에서 레이블이란 대형 엔터테인먼트사 산하에 있는 자회사를 말한다.하이브의 설립자이자 회장인 방시혁 대표는 유수의 음반 기획사를 인수한 뒤 멀티레이블 제도를 도입했다.국내 경쟁사인 JYP엔터테인먼트도 이 모델을 채택했고, 지난해에는 SM엔터테인먼트도 멀티레이블 제도를 채택했다.그동안 멀티레이블 제도는 K팝 아이돌의 큰 성공과 모회사에 꾸준한 수익을 내주는 모델로 평가되었다.해설최근 불거진 뉴진스 소속사이자 하이브 산하 레이블인 어도어 대표와 하이브와의 갈등은 K팝 업계에 자리 잡은 멀티레이블 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화제가 되었습니다.멀티레이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