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어 이야기

    실속이나 가성비를 추구할 땐 'bang for the buck'

    South Korea’s homegrown fast-fashion brands are expected to continue making big strides at home as cost-conscious consumers shifted toward more bang for the buck. According to Shinsung Tongsang, sales of the company’s budget-friendly fas...

  • 교양 기타

    50년간 벼슬하며 존경받은 비결 [고두현의 아침 시편]

    면앙정가(仰亭歌) 송순 인간 세상 떠나와도 내 몸이 겨를 없다. 이것도 보려 하고 저것도 들으려 하고 바람도 쐬려 하고 달도 맞으려 하니 밤일랑 언제 줍고 고기는 언제 낚고 사립문은 누가 닫으며 떨어진 꽃은 누가 쓸까. 아침이 부족하니 저녁이라 싫겠는가. 오늘이 부족하니 내일이라 넉넉하랴. 이 산에 앉아 보고 저 산에 걸어 보니 번거로운 마음에 버릴 일이 아주 없다. 쉴 사이 없거든 길이나 전하리라. 다만 푸른 지팡이만 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愚夫愚婦 (우부우부)

    ▶한자풀이 愚: 어리석을 우 夫: 남편 부 愚 : 어리석을 우 婦: 아내 부 어리석은 남편과 어리석은 아내 평범한 남녀나 백성을 이르는 말 - <서경> <서경>은 고대 중국의 요순(堯舜) 임금 시절부터 하(夏)나라, 은(殷)나라, 주(周)나라에 이르기까지 각 제왕의 정치와 관련한 글을 모은 것이다. <서경> 오자지가(五子之歌)는 ‘다섯 형제의 노래’라는 글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전에서 사라진 '-ㅁ직하-'를 찾아서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는 것만으로도 그 파장이 크기 때문에 ‘절세 플랜’을 미리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세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금융소득 발생 시점을 분산하는 것도 고려해봄 직하다.” 금융투자소득세 시행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절세’가 개인투자자 사이에 화두로 떠올랐다. 이를 전한 두 기사 문장의 서술어를 주목할 만하다. ‘바...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20일 (846)

    1. 새로 주식을 발행해 기존 주주나 새 주주에게 돈을 받고 파는 형태로 기업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뜻하는 증시 용어는 무엇일까? ①무상증자 ②유상증자 ③무상감자 ④유상감자 2. 계절적 또는 일시적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는 농산물, 석유류 등을 제외하고 난 뒤 산출하는 물가는? ①생산자물가 ②소비자물가 ③근원물가 ④수출입물가 3. 사업이 잘되는 듯하다가 정체에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전기차 등의 산업에서 관찰되고 있는 이 현상...

  • 생글기자

    안정적 농수산물 공급은 정부의 책무

    정부가 김 가격 안정을 위해 수출 물량을 내수로 돌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수출 호황으로 국내 김 재고가 부족해지자 수출량을 줄이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물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김밥용 마른김의 평균 도매가격은 한 속(100장)당 1만89원까지 올라 전년 동월 대비 80.1% 상승했다. 김 도매가격이 1만원을 넘어선 것은 2004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국내 김 생산량은 1515만 속으로, 전년...

  • 생글기자

    입시 때문에 학교 떠나는 일 없었으면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 관계를 맺으려는 욕구를 가진다. 이 욕구는 사회집단에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로 발전한다. 인간은 자신이 어떤 집단의 구성원이며, 그 집단에 필요한 존재라고 생각할 때 안정감을 얻고 행복을 느낀다. 청소년도 친밀감과 같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주변 친구에게 의존한다. 학교에서는 교실, 동아리, 학생회 등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으려고 노력한다. 수학여행, 학교 축제 등과 같은 행사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최근 학교를 떠...

  • 학습 길잡이 기타

    도형 문제는 좌표 이용하면 쉽게 풀수 있어

    “중학교 도형 문제는 보조선만 잘 그리면 된다.” 이런 말 들어본 적 있나요? 중학교에서 도형의 성질이 성립함을 보이거나 도형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때 보조선을 긋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이 이 보조선을 못 그어서 도형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등학교에서는 도형을 좌표평면 위로 옮기는 것을 배우는데, 이렇게 하면 도형의 성질이 쉽게 확인되거나 도형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