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危邦不入 (위방불입)
▶한자풀이 危: 위태할 위 邦: 나라 방 不: 아니 불 入: 들 입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군자의 올바른 몸가짐을 이르는 말 - <논어> 공자는 “예(禮)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행하지도 말라”고 했다. <논어> 태백 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은 그 뜻을 오롯이 담고 있다. “도(道)를 독실히 믿으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죽음으로써 지키면서 도를 잘 행해야 한...
-
대학 생글이 통신
명확한 진로 목표가 대입과 인생 성공 이끈다
저는 이번 입시에서 특기자 전형으로 성균관대 영상학과에 합격했습니다. 도전장을 낸다는 마음으로 지원한 1지망 대학교 합격은 ‘내가 어떤 부분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지난 4개월간 스스로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첫째, 저의 내신을 부끄러워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고교 1학년 때 내신시험에 적응하지 못한 채 5점대로 마무리지었습니다. 2학년이 돼 2점대를 유지하며...
-
커버스토리
질주하던 미래차…주춤하는 이유는?
근래에 크게 유행한 단어 중 하나가 ‘모빌리티(mobility, 이동성)’입니다. 공간과 공간을 잇는 교통수단에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함으로써 ‘이동의 미래’를 펼쳐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이 밖으로는 전기자동차와 자율주행차에 대한 기대와 기술개발 투자로 나타났죠. 그런데 질주하던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급제동이 걸리고 있습니다. 세계 자동차 제조 기업들이 ...
-
경제 기타
경제 살리려 통화주권 포기…'양날의 검' 달러라이제이션
“페소는 배설물만 한 가치도 없다. 그런 쓰레기는 비료로도 못 쓴다.” 지난해 12월 10일 취임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선거운동 과정에서 한 말이다. 그는 자국 통화 페소를 배설물과 쓰레기에 비유하며 미국 달러를 아르헨티나 공식 통화로 채택하겠다고 공약했다. 자기 나랏돈을 없애고 남의 나랏돈을 쓰겠다니 정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의외로 많은 나라가 미국 달러를 공식 통화로 사용하고 있다. 그렇게 해...
-
대학 생글이 통신
하루 순수 공부 시간, 9시간이면 충분하다
많은 수험생이 ‘하루 순(純, net) 공부 시간은 얼마나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궁금해합니다. 저 또한 대입을 준비하며 많이 고민했던 주제입니다. 다른 친구들의 어마어마한 ‘순공’ 시간을 보고 기가 죽어 무리하게 공부 시간을 늘렸다가 금세 지치기도 했고, 공부 시간을 줄였더니 하루 목표치를 채우지 못해 마음이 조급해지기도 했습니다. 고민이 이어지던 와중에 결국 저 나름대로 정답을 찾아냈죠. 저의 시간...
-
키워드 시사경제
누구나 택시 타듯…비행기가 '대중교통' 된다
고흥만을 등지고 바라본 남도의 푸른 하늘 위로 작은 흰색 비행기 한 대가 날아올랐다. 100m까지 고도를 높이던 비행기는 이내 아파트 20층 높이인 60m 상공에 자리 잡고 순항을 시작했다. 기체에 적힌 등록 부호가 맨눈으로 보일 만큼 그다지 높지 않은 곳에서 나는데도 지상에서 큰 소음이 느껴지지 않았다. 지난달 28일 전남 고흥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이뤄진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기체 사전 실증 비행 ...
-
영어 이야기
입소문이 나다 'go viral'
Mohegan Inspire Entertainment Resort on Yeongjong Island, near South Korea’s gateway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attracting throngs of visitors on weekends as it is going viral on social media even before its grand opening in April. The ...
-
교양 기타
봄날 경주역에서 처음 만난 목월과 지훈 [고두현의 아침 시편]
완화삼 - 목월에게 조지훈 차운 산 바위 우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울음 운다. 구름 흘러가는 물길은 칠백 리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라.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 * 조지훈(1920~1968): 경북 영양 출생. 1939년 <문장(文章)>으로 등단. 시집 <풀잎단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