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I의 미래, 전기에 달렸다

    제838호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 주제는 ‘인공지능(AI)의 미래와 전기’다. AI 시대가 본격화하면 전기 사용량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그만큼의 전력 생산이 뒷받침돼야 하는 것이다. AI 시대 전력 소비는 얼마나 증가할지, 전력 생산을 늘릴 대안은 무엇인지 살펴봤다. 시사이슈 찬반토론에선 그린벨트 해제에 대한 찬반 의견을 다뤘다. 대입 전략 코너에선 2025학년도 수...

  • 모두 잘 자고 있나요?

    주니어 생글생글 제102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수면과 우리 생활이다. 잠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잠이 부족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어린이·청소년 눈높이에서 설명했다. 수면 부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과 건강한 수면 습관에 대해서도 알아봤다. 학습 능률을 높이기 위해서도 잠을 충분히 자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서는 세계적 의류 기업 자라를 창업한 아만시오 오르테가를...

  • 커버스토리

    인공지능의 미래 전기에 달렸다

    인공지능(AI)과 관련해 눈길을 끄는 뉴스가 매일같이 쏟아집니다. 최근엔 간단한 명령어만 입력하면 AI가 고화질 동영상을 만들어주는 미국 오픈AI의 ‘AI 소라’가 단연 화제였죠. 세계적 팝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의 얼굴을 AI로 합성한 딥페이크 음란물도 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런데 인류 공동의 현안을 논의하는 지난 1월의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은 AI 기술이나 서비스, 부작용이 아닌 조금은 다른 부분에 주목했습니다. ...

  • 키워드 시사경제

    '역대 최고치 경신' 日 증시 상승 이끈 일곱 기업

    일본 증시가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 나라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지수(닛케이225 평균주가)는 지난달 22일 39,098로 장을 마감하면서 사상 처음 39,000선을 넘어섰다. ‘거품 경제’ 시절인 1989년 12월 29일 세운 기존 최고 기록(38,915)을 34년 만에 갈아치웠다. 지난해 33,464로 마감한 닛케이지수는 새해 들어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 원인은 복합적이다. 엔저 현상에 힘입어 일본 수출 기업들...

  • 꿀잠 자야 건강해요

    주니어 생글생글 제102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수면과 우리 생활입니다. 잠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잠이 부족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어린이·청소년 눈높이에서 설명했습니다. 수면 부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과 건강한 수면 습관에 대해서도 알아봤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서는 세계적인 의류 기업 자라를 창업한 아만시오 오르테가를 소개했습니다. 이밖에 영어 과학 한자 등 다양한 읽을거리를...

  • 경제 기타

    단기 국민소득이 완전고용 때보다 높으면 호황

    균형국민소득은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되는 국민소득이라고 지난주에 설명했다. 이와 달리 완전고용 국민소득은 한 나라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모든 생산요소를 효율적으로 투입해 달성할 수 있는 국민소득이다. 균형국민소득이 실제로 달성된 국민소득이라면, 완전고용 국민소득은 현재 한 나라의 목표 국민소득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가 성장하면 완전고용 국민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완전고용 국민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매순간 균형국민...

  • 경제 기타

    재수의 경제학…스무 살에 4000만 원 쓰면 4억 더 번다?

    맘에 안 드는 대학, 맘에 안 드는 학과라도 그냥 다닐 것인가. 아니면 원하는 대학, 원하는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 꽃다운 청춘 1년을 더 바칠 것인가. 올해도 많은 수험생이 이런 고민을 하고 어려운 결정을 내렸을 것이다. 재수는 필수, 삼수는 선택이라지만 그 선택이 쉽지는 않다. 한두 푼이 아닌 재수 비용, 1년이라는 시간, 수험생 본인은 물론 부모의 마음고생까지…. 재수는 과연 남는 장사일까. 징역 10개월, 벌금 4000만원 ...

  • 학습 길잡이 기타

    '집합과 명제'는 논리적 사고력 키울 수 있어

    어떤 사람이 논리적이라는 표현은 칭찬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성격 유형 검사인 MBTI와 관련해 다양한 오해와 선입견으로 ‘T’가 밈(meme)화 되고 있는 현상이 그렇습니다. 그럼에도 논리적 생각은 고차원의 사고 활동에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수단이자 과정입니다. 고교 교육과정에서는 논리학을 가르치지 않지만 학생들은 여러 과목을 통해 자연스럽게 논리적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 것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