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영어 이야기
판돈·투자금을 늘리다 'up the ante'
South Korean major refiners are upping the ante to win the market for electric vehicle lubricants and liquid coolants for heat management amid the rapid migration to electrifi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powered data management. HD Hyundai O...
-
과학과 놀자
핵융합으로 강한 입자 방출…통신망 마비시키기도
올해 태양활동이 극대기에 접어들면서 역대급으로 강한 태양폭풍이 지구를 강타할 것으로 예상된다. 태양폭풍은 태양 대기에 있는 고에너지 입자가 고속으로 방출되는 현상이다. 이때 함께 뿜어져나오는 자기장은 지구를 둘러싼 자기장을 교란하는데, 이로 인해 전산망이 마비되거나 전자 장비가 먹통이 되기도 한다. 우리 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태양폭풍은 왜 생기는 걸까. 우리 눈에 보이는 태양은 조용히 빛을 발하고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매순간 폭발하고...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다면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 측정 유형 출제
연세대학교는 인문계 논술고사에서 약 100명에 가까운 인원을 모집하며 2008학년도부터 다면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 측정에 걸맞은 유형을 지속적으로 출제하고 있습니다. 수능 최저자격을 요구하지 않는 데다가 교과 부분의 반영이 없다 보니 많은 학생이 도전 정신을 갖고 수시에 지원해 평균 경쟁률이 적어도 60:1에서 높게는 100:1 전후를 형성합니다. 최근 들어서는 경쟁률이 하락하고 있는 양상인데, 이는 시험 일정이 10월 달에 배치되어 있어 심리...
-
대학 생글이 통신
대학서 다전공 선택 여부 미리 고민해보세요
다전공은 말 그대로 전공이 많다는 뜻인데요, 많이 알려져 있는 복수전공이 다전공 중 하나입니다. 저는 고교 시절 다전공 제도에 대해 알지 못했고, 제가 경제 외의 학문을 전공까지 하며 공부하게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여러분은 정보 부족으로 불완전한 선택을 하지 않도록 대학의 전공 제도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오늘은 프롤로그 성격으로 대학 제도 전반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래야 다전공 제도도 이해할 수 있겠지요. 이후 글에서 다...
-
대학 생글이 통신
생기부에 다양한 활동 담아야 수시 선택폭 넓어
수시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 중에는 진로를 확실하게 잡은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겁니다. 본인의 관심사와 진로에 맞는 프로그램에 참가해 본인만의 생활기록부를 만드는 게 좋을 것이란 생각이 일반적인데, 과연 그럴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정답은 없습니다. 진로가 확실하다고 해서 대학에 더 수월하게 입학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진로가 확실치 않다고 해서 절대적으로 불리한 것도 아닙니다. 적어도 고교 1학년 ...
-
교양 기타
700년 전 "내 속에 당신 있고 당신 속에…" [고두현의 아침 시편]
아농사(我詞) 관도승 당신과 나, 너무나 정이 깊어 불같이 뜨거웠지. 한 줌 진흙으로 당신 하나 빚고 나 하나 만드네. 우리 둘 함께 부수어 물에다 섞어서는 다시 당신을 빚고 나를 만드네. 내 속에 당신 있고 당신 속에 내가 있네. 살아서는 한 이불 덮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네. * 관도승(管道升, 1262~1319): 원나라 때 여성 시인이자 화가. ‘파리의 연인’이라는 TV 드라마에 나온 명대사 기억...
-
역사 기타
왕비가 된 장희빈과 앤불린, 비극적 결말까지 닮아
어릴 적 ‘태정태세’로 시작하는 암기법으로 조선 왕조를 배웠다. 왕권의 나라가 아닌 신권(臣權)의 나라를 왜 그렇게 가르쳤는지 지금도 의문이다. 임금을 중심으로 조선을 공부하면 사대부의 나라였던 조선 정치사의 흐름을 이해하기 어렵다. 가령 현종 때의 예송 논쟁과 숙종 때의 환국(換局)은 임금 단위로 끊어볼 별도의 사건이 아니다. 서인이 남인을 끌어들여 북인 정권(광해군)을 붕괴시킨 후 둘 사이가 틀어진다. 그래서 둘은 5라...
-
생글기자
멀티태스킹 피하고 독서하면 집중력 높아져
나는 1학년 2학기 기말고사에서 중간고사보다 낮은 등급을 받은 후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했고, 집중력이 떨어진 것 같다는 말을 들었다. 그러던 중 도서관에서 <도둑맞은 집중력>(요한 하리 지음)이란 책을 발견했고, 내용이 좋아 집중력의 필요성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책에 따르면 미국 대학생들은 평범한 하루를 보내고 있을 때, 평균 65초마다 하던 일을 바꾼다. 어느 하나의 일에 집중하는 시간의 중앙값은 19초에 불과했다. 집중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