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숫자로 읽는 세상
"공론화위 국민연금안, 개혁 아닌 개악"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가 최근 도출한 국민연금 모수 개혁안에 정치권 등이 부정적 입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공론화위가 다음 달 시민대표단 숙의 토론 등을 거쳐 최종안을 내놓더라도 입법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공론화위가 내놓은 개혁안 중 1안은 지금보다 연금 재정이 더 나빠지는 안”이라고 말했다. 공론화위가 최종 결정을 내놓더라도 정부&mid...
-
경제 기타
다수결의 함정…왜 자꾸 지지하지 않는 사람이 당선될까
다수결은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의사결정 방식이다. 한 달 여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도 다수결 원칙에 따라 한 표라도 더 많이 받은 후보자를 국회의원으로 선출한다. 다수결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방식으로 보인다. 하지만 결과에 썩 만족하지 못하는 유권자가 많다. 정치인만의 잘못도 유권자의 잘못도 아니다. 사실은 다수결이라는 제도 자체에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 선거와 메이저리그 MVP 투표 한국의 주요 공직 선거는 단순 다수결을 택한다. ...
-
생글기자
청소년 수면 부족, 사회문제로 보고 대처해야
우리나라 국민의 수면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수면의 만족도 또한 매년 하락하고 있다는 보도를 봤다. 특히 청소년의 수면 시간이 OECD 권장 시간(8시간 22분)에 비해 매우 적은 6시간 3분이며,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더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청소년기의 수면 부족은 뇌 발달과 호르몬 분비 등에 장애를 불러와 자살률 증가, 주의력 결핍, 우울증, 자폐 스펙트럼, 비만 등 정신 및 신체...
-
학습 길잡이 기타
원주율 3.14…슈퍼컴으로 조단위 숫자까지 구해
남자가 여자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3월 14일이 화이트 데이라고요? 그건 일본 제과 회사의 상술입니다. 수학자들은 3월 14일을 ‘파이 데이’라고 합니다. 파이 데이는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선교사인 피에르 자르투(1669~1720)가 세계 최초로 원주율 π가 3.1415926임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날입니다. 3월 14일을 기념일로 정한 것은 원주율의 근삿값(어림값)인 3.14에서 유래합니다. 1988년 미국의...
-
경제 기타
전해질을 고체로…에너지밀도 높고 안전성 뛰어나
배터리란 뭘까요. 흐르는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쓸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죠. 배터리가 발달한다는 건 에너지를 그만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배터리의 기술변화 그리고 이로 인한 파급효과 등은 비문학 지문을 통해 언제든 출제될 수 있습니다. 수능은 종종 기술변화에 대한 지문을 다루니까요. 전고체 배터리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무선 청소기, 심지어 전기차에 이르기까지 배터리가 들어가는 전자제품은 대부...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골치 아픈 일꾼들과 대저택 복구에 도전하다
한눈에 반할 만한 깔끔하고 튼튼한 집을 가진 남자. 그는 시청률이 매우 낮은 방송국에서 다큐멘터리 PD로 일하고 있다. 월급은 꼬박꼬박 들어오고 시간은 남아도는 타네 씨는 옛 아내가 그립지만 평화롭고 느긋한 삶에 만족한다. 그런 그에게 삼촌이 대저택을 유산으로 남겼다는 연락이 온다. 공증인이 “자, 타네 씨, 저택을 상속받으시겠습니까?”라고 묻자 어릴 때 몇 번 가본 웅장한 삼촌의 저택을 떠올리며 덥석 받기로 한다. 장폴...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18일 (837)
1.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전환하거나 스타트업이 사업전략을 변경하는 것 등을 공통적으로 가리키는 용어는? ① 피벗 ② 페드워치 ③ 풀체인지 ④ 스위프트노믹스 2. 부가가치세와 같이 세금을 납부하는 주체와 실제 부담하는 주체가 다른 세금을 뜻하는 말은? ① 준조세 ② 누진세 ③ 직접세 ④ 간접세 3. 코인의 가치를 법정화폐에 연동하는 등의 방식으로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설계한 암호화폐는? ① 비트코인 ② 대체불가능토큰 ③ 다...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근린궁핍화 정책
[문제] 아래 지문을 읽고, 전문가가 우려하는 상황으로 옳은 것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하면 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현재 세율보다 무조건 10%p 올리는 방식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상대국의 보복관세로 이어지면 세계무역이 급감할 수 있다는 전문가의 우려가 나온다. 이는 마치 1930년대 주요 교역국 간 관세전쟁으로 대공황이 발생한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① 승자의 저주 ② 스미스의 역설 ③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