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대입전략
37개 대학이 1948명 선발…정시 비중 높아, 수능성적 반영 평균 비중도 87.5%에 달해
지난해 수시 일반전형에서 약대 평균 경쟁률은 39.1 대 1로 의약학계열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대는 31.1 대 1, 수의대 29.1 대 1, 한의대 25.3 대 1, 치대는 2.5.1 대 1이다. 정시 일반전형에서 약대 경쟁률은 8.3 대 1로 의약학계열 평균 경쟁률 7.5 대 1보다 높았다. 약대가 자연계열 최상위권 입시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할 만하다. 2025학년도 약대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 약대는 올해 37개 대학에서...
-
경제·금융 상식 퀴즈
4월 8일 (840)
1. 최근 당정에서 ‘이것’을 인하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재화·용역 가격의 10%가 붙는 이 세금은? ① 법인세 ② 소득세 ③ 주민세 ④ 부가가치세 2.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가 기업의 투자 위축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은? ① 승수효과 ② 구축효과 ③ 기저효과 ④ 풍선효과 3. 자국 수출을 늘리기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자국 통화 가치를 낮추는 국가를 일컫는 말은? ①...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기준금리
[문제] A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0.5%로 0.25%p 인하했다. 이는 A국 역사상 최저 금리다. 이에 따른 경제적 현상을 추론한 내용 중 알맞은 것을 고르면?(단,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ㄱ. 가계 저축이 감소할 것이다. ㄴ. 기업 투자는 증가할 것이다. ㄷ. 외국 자금이 해외에서 A국으로 유입될 것이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해설] 기준금리란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
대학 생글이 통신
늘어나는 자유전공학부 진학도 고민해보자
다전공에 대한 지난 글들에 이어, 전과 제도와 자유전공학부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전과는 전학처럼 과를 옮기는 것입니다. 다전공의 경우 주전공을 계속 공부해야 하지만, 전과를 하면 주전공이 아예 바뀌어 기존의 전공 공부를 그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학생들이 우루루 다른 과로 이전한다면 대학 입장에서는 곤란해지겠죠? 그래서 전과를 금지한 과가 있고, 성적이 우수한 일정 비율의 학생에 한해서만 전과를 허용하는 과도 있습니...
-
과학과 놀자
공 궤적·선수 키 등 반영…판정 정확도 99.9%
지난달 3월 23일, 2024년 프로야구가 개막했다. 올해는 특히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뛰던 류현진 선수가 친정 팀인 한화이글스로 복귀하면서 정규 리그가 시작되기 전부터 큰 화제를 모았다. 그런데 올해 프로야구에 류현진 선수만큼 팬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끌어내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자동투구판정시스템(ABS)'이다. ABS는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투구를 추적해 스트라이크와 볼을 자동으로 판정해주는 시스템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先甲後甲 (선갑후갑)
▶ 한자풀이 先: 먼저 선 甲: 갑옷 갑 後: 뒤 후 甲: 갑옷 갑 법 제정을 신중히 검토한다는 뜻으로 일 처리에 사려가 깊고 추구함이 넓음 -<주역> 갑(甲)은 법령을 새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그러니 선갑후갑(先甲後甲)은 법 제정의 전후를 이른다. 이는 선갑삼일(先甲三一) 후갑삼일(後甲三一)을 줄인 것으로, 새로운 법령을 제정하기에 앞서 3일 동안 신중하게 생각하고 만든 후에도 3일 동안 다시 검토한다는 뜻이다. 일...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미적분 위주로 출제…올해도 경쟁률 높아질 전망
이화여자대학교는 2024학년도부터 논술 100% 선발 및 약학대학 논술전형 신설로 인해 논술 경쟁률이 전년도보다 상승했다. 25학년도에는 약학부 수능 최저조건이 완화되면서 경쟁률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화여자대학교는 그간 양질의 논술 문항을 개발해 논술 전형의 선구적 역할을 해왔다. 논술을 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기출문제를 풀어볼 것을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출제 범위는 기하, 확률과통계를 포함한 교과과정 전 범위이지만 ...
-
사과값이 오른 진짜 이유
제842호 생글생글은 시장 규제와 소비자 후생을 커버스토리에서 다뤘다. 최근 사과를 비롯해 과일 가격이 큰 폭으로 올라 소비자 부담이 커졌다. 시장의 수요·공급 외에 규제의 부작용이 사과 등 과일 가격 상승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살펴봤다. 규제가 어떻게 소비자 후생을 감소시키는지 설명했다. 대입 전략에선 2025학년도 치대와 한의대 입시를 분석했다. 시사이슈 찬반토론에선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 제도에 대한 찬반양론을 들여다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