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호모 프롬프트' 시대…질문이 힘이다

    생성형 AI(인공지능)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라 여겨지던 소설, 그림의 창작에 이어 동영상까지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초지능 AI의 ‘일자리 습격’이 코앞에 다가온 게 아닌지 두렵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AI는 프롬프트만큼만 똑똑하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어 흥미를 끕니다. 프롬프트란 사용자의 명령어를 받아들이는 체계를 말하는데요, 컴퓨터나 프로그램이 어떤 동작을 수행할 준비가 됐다고 알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以暴易暴 (이포역포)

    ▶ 한자풀이 以: 써 이 暴: 사나울 포 易: 바꿀 역 暴: 사나울 포 폭력을 폭력으로 다스리다 힘에 의지하는 정치를 이름 -<사기(史記)> 이포역포(以暴易暴)는 ‘폭력으로 폭력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나라를 힘에 의지해 통치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이와 관련한 고사가 <사기> 백이숙제열전 편에 나온다. 백이와 숙제는 고죽국(孤竹國)의 왕자였는데, 왕은 아우 숙제로 하여금 자신의 뒤를...

  • 대학 생글이 통신

    공부 스트레스 풀기엔 활발한 소통이 최고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큼 고등학생들의 입시 스트레스가 심한 나라가 없죠. 대학 진학 과정에서 엄청난 경쟁 압력을 받아가며 학업에 몰두해야 하니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닙니다. 그런데 이 스트레스를 다스리지 못하고 압도당한다면 집중력 감퇴와 기억력 감소, 수면 방해 등으로 학업에 악영향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업 과정의 스트레스를 학생 스스로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시절 이런 스트레스를 어떻게 관리했...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능 최저기준 일부 상향…동점자 처리 기준 유념해야

    경희대학교는 수리논술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수리논술 합격을 위한 올바른 대비 전략의 기준을 제시하는 학교라고 할 수 있다. 경희대는 미적분 2~3등급대의 성적을 유지하면서 확률과 통계 및 기하의 개념을 빠짐없이 정리하고, 논술 답안 작성 훈련을 꾸준히 병행해온 학생들이 합격할 수 있는 가장 표준적인 대학이다. 따라서 경희대 수리논술 문제를 논술 답안으로 작성하는 데 어려움 없이 소화해낼 수 있는지가 경희대를 비롯해 다른 대학들의 수리논술 합격...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든 기업이든 영원한 아군·적군 없다

    전국시대 중국의 전국칠웅(진·조·위·한·제·연·초) 중 서쪽의 진(秦)나라는 상앙의 개혁으로 체제를 정비하고 군사력이 매우 강해졌습니다. 나머지 나라는 이를 두려워했습니다. 이때 소진이라는 인물이 여섯 나라가 힘을 합쳐 진나라에 맞서야 한다는 합종책(合從策)을 제시했습니다. 반대로 장의라는 인물은 진나라가 다른 나라들과 동맹을 맺으며 이들의 힘을 분열시키는 연횡책(連橫策...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고무줄같이 늘었다 줄었다 하는 '1년째'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상점들은 대부분 컨테이너 가건물에 의존하는 실정이고, 남은 주민들도 텐트와 가건물을 1년째 전전하고 있다.” 지난 2월 6일은 튀르키예 강진이 발생한 지 꼬박 1년이 되는 날이었다. 21세기 최악의 재해 중 하나로 꼽히는 튀르키예 지진 1년을 맞아 주요 언론은 일제히 로포를 실었다. 기사마다 등장한 핵심어 중 하나가 ‘1년째’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이 말의 고무줄 같은 쓰임새...

  • 생글기자

    미디어 속 무분별한 음주 장면, 문제 많아

    미디어는 누구나 시작할 수 있으며, 또한 누구나 볼 수 있다는 장점이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바로 ‘술’과 관련한 영상이 그중 하나다. 우리나라에선 주류 구입이 가능한 나이가 19세 이상이다. 하지만 미디어에 술을 마시는 장면이 많이 나오면서 술을 처음 경험하는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한다. 미디어에서 사람들이 담배 피우는 장면은 모자이크로 처리하면서도 음주 장면은 크게 구애하지 않고 내보내...

  • 경제 기타

    초저가 '알테쉬'처럼 손실 감수하고 시장확대 주력

    국내 유통사들은 알리의 공세에 마땅히 대응할 수단이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알리처럼 중국산 초저가 상품을 조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판매자마저 빼앗기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e커머스 관계자는 “소비자의 선택권이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국 유통산업 생태계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는 위기감이 크다”고 말했다. -2024년 3월15일자 한국경제신문- 최근 이른바 ‘알테쉬’가 유통가를 뒤흔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