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여러분이 지금 가져야 할 마음가짐은 수능일까지의 장기전을 준비하는 겁니다. 모의고사와 같은 한 번의 예비 시행에 큰 의미를 두지 말고 실력을 점검하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기 바랍니다.
[대학 생글이 통신] 6월 모평 잊고 수능 본게임 잘 준비해야
6월 모의고사가 끝난 이후 수능 때까지 어떤 마음가짐으로 공부해야 할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6월 모의고사(6모) 결과를 보고 멘탈이 깨진 사람도 있고, 생각보다 잘 봐서 기분이 좋은 학생도 있을 겁니다. 어떤 결과를 받았든 간에 반드시 기억할 게 있습니다. 바로 ‘모든 시험은 독립 시행’이라는 사실입니다.

6모 성적은 대학 입시에 조금의 영향도 끼치지 않습니다. 수능 성적만이 100% 반영됩니다. 그러니 못 봤다고 해서 의기소침할 필요도, 잘 봤다고 해서 기고만장할 일도 아닙니다. 6모를 잘 봤다면 혹시나 학업에 나태해지지 않을까 경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가 그랬는데요, 돌아보면 아주 좋지 않은 태도였습니다. 오히려 9월 모의고사를 살짝 망친 덕분에 마음을 다잡고 수능에서 인생 최고의 성적을 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지금 가져야 할 마음가짐은 수능일까지의 장기전을 준비하는 겁니다. 모의고사와 같은 한 번의 예비 시행에 큰 의미를 두지 말고 실력을 점검하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본인이 ‘수시러’라는 이유로 수능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우선 사람의 일은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수능을 잘 보면 장기적으로 본인에게 남는 자산이 됩니다. 저는 현역과 반수 모두 수시로 입시했지만, 두 번 다 수능을 보았고 현역 때 가장 좋은 성적이 나왔습니다. 이를 통해 제 실력을 확인하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 수시가 실패할 때를 대비해 수능은 좋은 백업 플랜이 됩니다. ‘정시러’들을 위한 분위기 조성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수시에 집중하는 학생도 정시를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학급 내에 면학 분위기가 조성되고, 정시러 친구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3학년 2학기 내신이 상당 부분 수능과 겹치기 때문에 내신성적을 관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특히 수시 반수를 할 때 이 시기 내신을 반영하는 학교가 많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사람 앞일은 모르는 만큼 잘 예비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이야기는 인터넷 강사분이나 학교 선생님들로부터 익히 들어본 말일 겁니다. 하지만 막상 피부에 와닿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수능을 목표점 삼아 멀리 보고 달려가면서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가야 할지 고민스러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강하윤 서울대 경제학부 22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