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위세 꺾인 달러…기축통화 논쟁 뜨거워진다
3년 전 국제통화기금(IMF)의 준비통화인 특별인출권(SDR)을 슈퍼 통화로 도입하자고 중국이 국제사회에 제안한 후 간헐적으로 논의돼 왔던 기축통화 논쟁이 다시 거세지고 있다. 특히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떨어뜨린 것을 계기로 논란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 주목 끄는 세계단일통화 논의 중국의 주장대로 새로운 기축통화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지를 검토하려면 크게 두 가지 문제가 전제돼야 한...
-
경제 기타
영국 최악의 폭동…청년실업·빈부격차 '화약고' 터졌다
영국이 4반세기 만에 최악의 폭동 사태에 빠졌다. 지난 4일 20대 흑인 남성이 경찰 총에 맞아 숨진 것에 6일 시위가 시작될 때만 해도 여느 평화로운 집회와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이날 밤부터 상황이 달라졌다. 시위대는 경찰 차량과 버스에 불을 지르고 기물 파괴를 일삼는 폭도로 변했다. 젊은이들은 가게를 부수고 물건을 훔쳤다. 런던 북부 토트넘에서 시작된 폭동 사태가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시위 발생 닷새째인 9일 경...
-
경제 기타
이광수의 '흙'과 변호사 공급 규제
춘원(春園) 이광수(1892~1950)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 <무정>(1917)을 쓴 소설가이다. 이광수의 작품들은 신소설의 한계를 완전히 극복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받고 있지만 한국 근대문학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이광수는 <무정>과 같은 해에 <개척자>라는 장편소설을 발표하였는데,<개척자> 역시 소설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하나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나라 소설 ...
-
경제 기타
'여성 전용칸' 부활해야 할까요
찬 "성범죄의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 반 "남녀 모두에 괜한 오해와 불쾌감 줄 수도 있어" 서울시가 여성승객 보호를 위해 지하철에 여성전용칸을 부활하기로 했다. 여성전용칸 제도는 지하철 내 각종 범죄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열차 중 한두칸을 여성만 탈 수 있도록 지정하는 것이다. 현재 검토되고 있는 방안은 승객이 상대적으로 많은 지하철 2호선 막차 중앙 두칸에 시범적으로 전용칸을 만드는 것이다. 9월부터 시범 운영될...
-
학습 길잡이 기타
“기출문제는 하나의 참고자료일 뿐,새로운 문제 풀어봐야”
수시시즌이 다가오면서 점점 시험 대비를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물어오시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예전보다 질문이 많아진 느낌이네요. 학기 초에는 정시만 대비하려고 하다가,생각보다 정시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일 수도 있고,남들이 수시 준비를 다 하고 있으니 불안한 마음에 흔들린 것일 수도 있겠지요. 어쨌든 뒤늦게 시작한 만큼 '남보다 적은 노력으로 좀 더 많은 효과'를 거두기 바라는 그 마음 이해합니다만,아쉽게도 논술은 풀어본 만큼,경험해본...
-
경제 기타
'주민 감사청구' 제도를 아시나요?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은 몇 달간 SSM(기업형 슈퍼마켓) 건축허가 문제로 매우 시끄러웠다. 기업 측은 지역주민들의 반대의견을 무시한 채 구청의 건축허가를 내세워 건축에 들어갔고 지역주민들과 지역정당들은 구청의 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열었으며 '주민감사청구'를 신청했다. 그 뒤 주민들과 기업 간에 논쟁은 지속됐다. 결국 매곡동 SSM건축허가와 관련한 주민감사청구건에 대해 광주시 감사관실이 청구 이후 2개월 동안 이 건축물에 대한 위법성 여...
-
경제 기타
청계천의 근원지 볼 수 있는 망원경 설치하면 어떨까요?
청계천의 근원지를 아십니까? 이 물음에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 없을 것이다. 이제 서울은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도시가 되었다. 청계천은 그런 서울의 중심에 흐르는 세계적인 관광지로 거듭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청계천에 대해서 너무 모른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은 콘크리트로 덮혔다가 복원되었다는 것뿐이다. 대부분은 그냥 지나칠 뿐 근원에 대해서 관심을 갖지 않는다. 아니,관심이 있더라도 알기가 어렵다. '그냥 어디선가 ...
-
경제 기타
평창 올림픽 환호속에 묻힌 장애인 동계올림픽
지난 7월6일 남아공의 더반에서 평창의 이름이 크게 울려퍼졌다. 세 번의 도전 끝에 평창이 드디어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것이다. 동시에 우리나라의 동계올림픽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러나 이렇게 모든 국민들이 평창 동계올림픽에 환호하는 동안에 환호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바로 장애인 올림픽 선수들이다. 2월9~17일 열리는 동계올림픽 이후 3월 9~18일 장애인 동계올림픽이 열리지만 그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