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187)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 · 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 · 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

  • 경제 기타

    주식·선물 거래 일시 중단… 증시 급·등락 진정 효과

    ◆서킷 브레이커와 사이드카 ☞ '자본주의의 꽃'으로 불리는 주식시장엔 때로 공포나 광기가 맴돌곤 한다.투자자들이 이성을 잃고 보유 주식을 마구 팔아 치우거나 거꾸로 흥분해 무턱대고 사자 주문을 내는 행태가 나타난다. 이러면 증시와 국민 경제는 대혼란에 빠지게 된다.그래서 정부나 감독당국은 증시의 급등락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종종 시장에 개입하기도 한다. 지난 1996년 미국 뉴욕증시의 다우지수가 하루가 다르게 치솟던 때 앨런 그린...

  • 커버스토리

    빚의 '재앙'…공짜 점심은 없다

    지구촌이 재정적자의 늪에서 허덕이고 있다. 세계 경제의 심장인 미국이 국가신용등급 강등이라는 수모를 당한 것도, 신화와 낭만의 나라 그리스가 디폴트(채무불이행) 문턱에서 서성대는 것도 재정적자가 경제의 숨통을 조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역시 국가부채에 눌려 위상이 쪼그라들고, 미국에 재정적자를 줄이라고 훈수를 두는 중국도 속내를 들여다보면 한가롭지만은 않다. 글로벌 경제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나라들은 거의 예외 없이 '빚'이라는 중병을...

  • 경제 기타

    글로벌 금융위기 구원투수 벤 버냉키

    세계의 경제대통령…지구촌이 그의 '입'을 주목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 격이다. 물가 성장 등 여러 경제변수를 감안해 시중에 유통되는 달러를 조절한다. 물가가 너무 오르면 달러 공급을 줄이고, 경기가 부진하면 달러 공급을 늘려 경기회복을 유도한다.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해 금리를 조정하고 때로는 달러를 찍어낸다. FRB는 미국의 중앙은행을 넘어 세계의 중앙은행이다. FRB의 판단 하나로 국제 금...

  • 경제 기타

    내년 대학 정원 2900여명 감축 등

    내년 대학 정원 2900여명 감축 4년제 및 전문대학의 내년 정원이 3000명 가까이 줄어든다. 국립대와 수도권 사립대 정원도 동결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38개 4년제 대학 정원 881명,40개 전문대 정원 2037명 등 총 2918명을 감축한 '2012학년도 대학 및 전문대학 정원 조정결과'를 10일 발표했다. 교과부는 정원 조정에서 보건의료 관련 학과(간호 · 물리치료 · 임상병리 · 응급구조 등)의 정원을 배정받으려는 4년제 대학은...

  • 경제 기타

    복지 포퓰리즘, 여론의 심판대에 서다

    서울시는 오는 24일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실시한다. '친환경 무상급식의 전면 실시'를 공약으로 내세워 당선된 곽노현 서울시교육감과 이를 '복지 포퓰리즘(인기영합주의)'이라며 반대해 온 오세훈 서울시장 간의 지루한 공방이 서울시민들의 손에 넘어간다. 이번 주민투표 결과는 무상급식뿐 아니라 복지정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민이 어떤 선택을 할지 관심을 모으는 이유다. 이번 주민투표에서 시민들은 두 가지 무상급식 실...

  • 커버스토리

    빚더미에 눌린 미국…저무는 '팍스 아메리카나'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중 하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지난 5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미국 국채의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AAA에서 한 단계 아래인 AA+로 강등했다. 1941년 AAA 등급을 부여한 지 70년 만이다. 이로써 세계를 호령해온 초강대국 미국의 자존심은 상처를 받게 됐다. 특히 신용등급 하락으로 미국 뉴욕 증시뿐 아니라 한국 증시 등 전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미국은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과 함께 세...

  • 커버스토리

    대영제국 쇠퇴기 닮아가는 미국…재정위기로 몰락?

    영원한 제국은 없다. 1000년 넘게 이어진 로마제국도,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지배했던 몽골제국도 결국 멸망의 길을 걸었다. 현재 최강대국인 미국도 최근 금융위기와 70년 만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경제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미국이 주도하는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도 황혼기에 접어들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역사상 '팍스체제'는 세 번 존재했다. 팍스체제란 강대국의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평화가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