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 5일자
1. 애플의 창업자인 이 사람이 최근 사의를 표했다.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만들었으며 정보기술(IT) 업계 최고의 스타 최고경영자(CEO)로 이름을 날렸던 이 사람은? ①잭 웰치 ②스티브 잡스 ③마크 저커버그 ④에릭 슈미츠 2. 값을 지불하지 않고도 모든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를 가리킨다. 국방 · 치안 서비스와 도로,공원 등이 대표적 사례인 이것은? ①공공재 ②사치재 ③기펜재 ④열등재 3. 원래는 다른 나라 항구에 상업용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189)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 · 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 · 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
-
경제 기타
기업인들의 체감경기 나타내는 BSI
▶ BSI와 CSI ☞ 경기란 경제 각 부문의 평균적인 상태,즉 '국민경제의 총체적인 활동수준'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다는 것은 생산 투자 소비 등이 통상 기대하는 평균 수준 이상으로 활발한 경우다. 경기는 확장(expansion)→ 후퇴(recession)→ 수축(contraction)→ 회복(recovery) 과정을 반복하면서 끊임없이 변동한다. 그렇다면 경기가 현재 어떤 국면에 있고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갈지는 어떻게 알 ...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 '복지의 덫'에 걸렸다
무릉도원(武陵桃源)과 유토피아(utopia).동서양을 막론하고 누구나 한 번쯤 꿈꿔보는 이상향이다. 어느 유행가의 노랫말처럼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는…' 신천지다.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는 그리스어의 '없는(ou-)'과 '장소(toppos)'를 결합한 용어다. 동시에 이 말은 '좋은(eu-)'이라는 뜻도 연상시킨다. 합쳐보면 '이상적이긴 한데 존재하지는 않는 세상'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10만명이 사는 유토피아에서 사람...
-
경제 기타
대구 세계육상대회 출전 '우사인 볼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그는 자신을 추월할까 대구에 번개가 내렸다. 지난 27일 개막한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세계인의 이목은 온통 우사인 볼트(25 · 자메이카)에 꽂혀 있다. 키 196㎝ 몸무게 94㎏의 볼트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다. 남자 100m와 200m 세계기록 보유자인 그의 기록을 시속으로 환산하면 38.2㎞에 이른다. 볼트는 세계에서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육상선수이기도 하다. 그는 지난해 8월 후원사인 푸...
-
경제 기타
공정사회 고교생 논술대회 등
⊙ 공정사회 고교생 논술대회 본선 400여명 '글짱' 경쟁 '2011 공정사회 전국 고교생 논술대회'가 지난 28일 오후 2시 400여명의 본선 진출자가 참가한 가운데 서울 건국대 등 전국 3개 고사장에서 성황리에 치러졌다. 이날 참가자들은 미래의 공정 사회실현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며 열띤 분위기 속에 논술실력을 겨뤘다. 여름방학을 맞아 교육과학기술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경제신문에서 공동 주최한 이번 대회의 최종결과는 9월 9일 대...
-
커버스토리
빗장 풀리는 복지 포퓰리즘...'공짜 점심' 누가 떠안지?
서울시 무상급식 투표 무산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투표율 33.3%를 넘기지 못해 무효화됐다. 이로써 민주당이 주도하는 '무상복지 시리즈'(무상급식+무상주택+무상의료)의 빗장이 풀리게 됐다. 미국발 재정위기로 논란이 되고 있는 '포퓰리즘'(정책의 실현가능성을 무시한채 대중의 인기에만 영합해 남발하는 정치행태)이 득세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됐다. #무상급식비 연간 4000억 이상 소요 주민투표 무산으로 2014년까지 서울지역 공립 초등...
-
커버스토리
보수와 진보,세상을 보는 '눈' 이 다르다
보수(우파·우익)와 진보(좌파·좌익)는 서로 다른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다른 가치를 지녔다는 것은 곧 세상을 보는 눈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치에서 보수진영이 집권하느냐,진보진영이 집권하느냐에 따라 정책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보수와 진보는 현실 개선에 대한 시각부터 다르다. 보수는 기존 질서를 유지하는데 무게를 두고 천천히 개혁하자는 입장을 보인다.반면 진보는 기존 질서를 바꾸기 위해선 과감한 개혁을 지지한다.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