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그늘' 걷히는 비정규직··· 혹시 고용 '포퓰리즘'?
정부와 여당이 최근 비정규직을 보호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2007년 비정규직 보호법이 나온 이후 4년만이다. 영세사업장 저소득근로자의 사회보험료지원,불법파견이 확인될 경우 직접고용 의무화,사내하도급 전환때 노사협의회 의무화,1년미만 기간제근로자의 수습기간설정 제외,임금및 근로조건차별개선 가이드라인 제정 등 기업에 부담을 주는 정책들이 많이 포함됐다. 이에 대해 일부에선 비정규직 보호를 위해 불가피한 정책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정치권...
-
커버스토리
첨삭받아 약점보완··· 시간 배분··· "이젠 실전 훈련"
대입 논술 5계명 논술은 막판에 몰아치기 공부로 성적이 크게 올라가지는 않는다. 평소에 미리 준비해야 당황하지 않는다.또한 현실적으로 학생들의 입장에서 논술에만 올인하는 것도 부담스럽다. 하지만 논술시험이 눈앞에 다가온 시점에서 몇가지를 염두해 두면 효율을 높일수 있다. 논술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막판 준비포인트를 정리한다. 1.항상 예외를 염두해둬라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 기출이나 모의 문제는 그 자체로 하나의 가...
-
커버스토리
공정사회··· 포퓰리즘 ··· 청년실업 ··· 생글 커버스토리 '열독'
대입 논술고사는 상위권 대학이나 중하위권 대학이나 모두 시사 주제가 적지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국내외 이슈들을 꼼꼼히 챙기는 것이 시험에서 낯선 주제를 받아들었을 때의 당혹감을 피하는 최선의 길일 것이다. 논술전문학원인 S·논술의 도움을 받아 올해 논술고사에 나올만한 10대 주제를 골라봤다. 아래의 주제들은 이미 생글생글의 커버스토리로도 자주 다뤄졌던 만큼 지난호들을 참고하면서 공부해도 좋을 것이다. 물론 이런 시사외에...
-
경제 기타
스위스가 고정환율제로 돌아선 까닭은?
스위스중앙은행(SNB)이 지난 6일 자국 화폐인 스위스프랑 가치가 폭등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실상 고정환율제를 운용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SNB는 스위스프랑 환율 하한선을 1유로당 1.20스위스프랑으로 설정하고,이 밑으로 화폐가치가 올라기면 무제한으로 유로화를 사들이겠다고 밝혔다. 스위스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에 가입하지 않고 독자 통화인 스위스프랑을 쓰고 있다. 그리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로존이 재정위기를 겪고 있고,미국도 ...
-
경제 기타
소설 '로빈슨 크루소'의 경제학적 의의
대니얼 디포의 장편소설 '로빈슨 크루소'는 그 책을 읽어보지 않은 사람일지라도 대강의 내용은 익히 알고 있을 법한 세계적인 명작 중 하나이다. 바다 건너 세상에서 장사를 해 돈을 벌 생각에 사로잡혀 있던 영국 청년 로빈슨 크루소는 무역상이 되기 위해 아프리카 기니로 향하는 배에 몸을 싣지만,목적지에 도착하기도 전에 배는 좌초하고 표류하던 크루소는 어느 이름 모를 무인도에 도착하게 된다. 그는 부서진 배에서 약간의 식량과 화약,연장 등을 발견...
-
경제 기타
(1) 케인스 vs 하이에크
정부냐 시장이냐… 금융위기 맞아 다시 격돌 거인의 나이차는 16세였다. 서로에 대한 배려와 우정이 깊었지만 경제를 바라보는 생각은 천양지차였다. 대부분의 승리는 케인스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최후의 승리자는 하이에크였다. 20세기는 케인스의 시대였다. 불황은 유효수요의 부족 때문이며 정부가 재정(돈)을 풀어 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명쾌한 이론이었다. 케인스의 이같은 주장은 전 세계로부터 정치적 동맹군을 얻으면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
경제 기타
교육감 직선제 폐지해야 할까요
찬 “비용 지나치게 들고 단체장과 갈등 빚기 쉬워” 반 “문제점이 있다고 교육 자치의 근간 없애서야…” 곽노현 서울시 교육감이 지난해 교육감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의 금품수수 혐의로 구속 수감됨에 따라 교육감 선출제도를 다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현행 교육감 직선제가 곽 교육감 사건에서 나타났듯이 후보 단일화와 선거를 둘러싸고 각종 비리와 부작용, 금품수수 등의 부작용이 생기기 쉬운 만큼 현행 직선제를 폐지하자는 것이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73) "고급 통계 문제는 우선 특이한 점을 찾아내야"
지난호에 잠깐 설명하다가만 고급 통계 문제를 이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고급 통계라는 명칭은 제가 임의로 지은 것이긴 하지만, 대략적으로 보았을 때 연세대 성균관대 서울시립대 건국대의 통계 문제들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단순히 표를 읽으면서 어떤 내용을 추출하는 일반적인 통계 문제와는 다른 것이지요. 일반적인 문제들은 일정한 스토리가 갖춰진 대로, 표를 읽으면 그만입니다. 가령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상황을 보여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