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0년의 시행착오…베트남人 이름 부르기
우리말에서 누군가를 부르거나 가리킬 때의 규범은 엄격하다. 경어법이 복잡한 데다 상황에 따라 맞는 관습을 좇아야 한다. “김 씨” 할 때 그가 아랫사람이면 대접해 부르는 말이지만, 윗사람이라면 쓰지 못한다. 이를 벗어나면 예의에 어긋나게 되고, 때론 사회적 갈등을 빚기도 한다. 외국인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직함을 나타낼 때 주의해야 한다. 우리처럼 성(姓)과 이름(名)이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베트남 인명 ‘성+중간이름+본이름’ 順우리는 공식적·사무적인 자리에서 누군가를 부를 때 대개 이름이 아니라 성으로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 관습일 뿐이다. 나라마다 성 자체가 없는 곳도 있고, 성이 있어도 우리와 달리 이름을 부르는 곳도 있다. 고유한 그들 문화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자칫 실수할 수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3년 베트남을 국빈 방문했을 때 한국 언론에서 그런 일이 있었다.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호찌민 시에서 쯔엉떤상 베트남 주석과 정상회담을 했다. 그의 이름은 Truong Tan Sang. 이를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로 적으면 ‘쯔엉떤상’이다. 베트남어를 한글로 옮기기 위한 표기규범은 2004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동남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을 제정·고시하면서 확정됐다. 당시 태국·말레이인도네시아어도 함께 발표됐는데, 그동안 외래어 표기에서 쓰지 않던 된소리(ㄲ, ㄸ, ㅃ) 표기를 인정한 게 특징이다. 관광지로 널리 알려진 태국 ‘푸켓’을 ‘푸껫’으로, 베트남 최대 도시 호치민을 호찌민으로 바꾼 게 이때다.‘쯔엉떤상 주석.’ 하지만 표기와 호칭은
-
교양 기타
여수 밤바다, 동백 숲에서 생긴 일
동백열차송찬호지금 여수 오동도는동백이 만발하는 계절동백열차를 타고 꽃구경 가요세상의 가장 아름다운 거짓말인 삼월의 신부와 함께오동도 그 푸른동백섬을 사람들은여수항의 눈동자라 일컫지요우리 손을 잡고 그 푸른 눈동자 속으로 걸어 들어가요그리고 그 눈부신 꽃그늘 아래서 우리 사랑을 맹세해요만약 그 사랑이 허튼 맹세라면 사자처럼 용맹한동백들이 우리의 달콤한 언약을 모두 잡아먹을 거예요말의 주춧돌을 반듯하게 놓아요 풀무질과 길쌈을 다시 배워요저 길길이 날뛰던 무쇠 덩어리도 오늘만큼은화사하게 동백열차로 새로 단장됐답니다삶이 비록 부스러지기 쉬운 꿈일지라도우리 그 환한 백일몽 너머 달려가 봐요 잠시 눈 붙였다깨어나면 어느덧 먼 남쪽 바다 초승달 항구에 닿을 거예요* 송찬호 : 1959년 충북 보은 출생. 1987년 <우리시대의 문학>으로 등단. 시집 <흙은 사각형의 기억을 갖고 있다> <붉은 눈, 동백>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등 출간. 김수영문학상, 동서문학상, 대산문학상 등 수상.요즘 여수 오동도는 동백꽃 천지입니다. 멀리서 보면 오동잎을 닮았다고 해서 오동도라고 부르지만, 이름과 달리 섬에는 동백나무가 가득하지요. 3000그루가 넘습니다.동백은 아름다운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기점이자 종점인 이곳을 겨울부터 봄까지 온통 붉게 물들이지요. 오동도 동백꽃은 다른 곳보다 작고 촘촘해서 더욱 정이 간답니다.송찬호 시인은 동백을 유난히 좋아해요. <붉은 눈, 동백>이라는 시집을 비롯해 ‘동백’ ‘동백이 활짝’ ‘동백 등을 타고 오신 그대’ 같은 시를 줄줄이 썼습니다. 동백에 몰입해 몇 해 동안 여수까지 밤차를 타
-
대학 생글이 통신
강의 많이 듣기보다 내 것으로 만드는 시간 필요
새 학기 대비 입시 준비 팁(1)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대학 입시도 더 가까워졌다. 이에 따라 부담이 커지고 고민도 많아질 텐데, 새 학년을 맞이하며 공부 계획을 어떻게 수립하면 좋을지 몇 가지 팁을 소개한다. # 공부시간 최대한 확보하기어떻게 보면 당연하겠지만 지키기 어렵습니다. 보통 하교 후 학원에 다니는 고등학생들은 수업을 계속 들으면서도 정작 배운 내용을 복습하지 못해 성적이 오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성적이 떨어졌다며 학원 수를 늘리기도 하는데, 그럴 때는 학원을 늘리기보다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더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학교에서 시행하는 야간자율학습을 적극 추천합니다. 보통 고1~2는 주 3~4일, 고3의 경우 주 4~5일 이상 자습하면서 수업 내용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면 주말도 적극적으로 활용해 평일에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면 더 좋겠죠. 1~2학년생은 동아리 활동이나 각종 수행평가 등을 통해 생활기록부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야자 시간은 지키며 공부를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합니다. 학교 수업만으로 수능을 준비하기엔 무리가 있기에 인강 또는 학원을 활용하는 게 좋지만, 이 경우에도 수업을 듣는 것과 자신이 직접 문제를 풀어보며 공부하는 것은 다르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공부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 아직은 수시·정시 속단하지 말아야고2로 올라가는 수험생에게 자주 발생하는 오류는 내신이 나빠 정시만 본다거나 내신만 믿고 정시를 버리는 것입니다. 수시와 정시 비중이 계속 변하고 있고, 올해 자기 내신 성적이 어떻게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하나만
-
과학과 놀자
렘브란트의 '야경' 색은 왜 어두워졌을까
그림 그릴 때 사용하는 물감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물감은 기름이나 물과 같은 용매에 색을 띠는 고운 가루를 섞어 만든다. 가루는 용매에 녹지 않고 용매가 증발하면 굳어 색을 나타내는데, 이와 같은 분말 형태의 착색제를 '안료'라고 부른다. 안료는 재료에 따라 유기 안료와 무기 안료로 구분된다. 천연에서 얻거나 탄소를 기반으로 한 화합물로 색을 내면 유기 안료, 색을 띠는 광물을 곱게 갈아 사용하면 무기 안료라고 한다.현재 사용하는 물감은 대부분 무기 안료이고, 인쇄 잉크나 플라스틱의 색을 내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은 유기 안료다. 인류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안료를 사용했다. 구석기 시대에 그려진 알타미라 동굴 벽화에서 산화철 가루를 사용해 붉은색을 표현했으며, 고구려 벽화에서도 인물의 입술이나 볼에 붉은 안료를 칠해놓은 것을 볼 수 있다.우리나라의 궁궐이나 사찰에 가면 단청을 볼 수 있다. 단청은 목재 위에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 다섯 가지 색의 안료를 이용해 연꽃 등의 무늬를 그린 것이다. 단청에 쓰이는 안료는 대부분 색을 띠는 광물을 갈아 만들었다. 청색은 구리 광석의 일종인 남동석(Cu3(CO3)2(OH)2), 적색은 적철석(Fe2O3), 황색은 유황(S)이나 비소(As), 백색은 연백이라 불리는 납(Pb), 흑색은 소나무를 태운 그을음인 송연묵(C)을 사용했다. 광물을 사용한 안료는 입자 굵기에 따라 다양한 명도나 빛깔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동석 가루 입자가 커질수록 더 어두운 계열의 청색을 표현할 수 있었기에 하나의 광물로 다양한 청색 물감을 만들 수 있었다. 안료는 단청 외에도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쓸 때, 피부를 하얗게 표현하거나 입술이나 볼을 붉게 표현
-
2022학년도 대입 전략
총 3683명 선발·주요 전공은 2317명 수준…수능성적 반영 비중 평균 76.6%로 높은 편
교사는 진로 선호도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직업 중 하나다. 중·고교 교사가 되려면 국어, 수학, 영어 등 각 전공 교육학과 또는 교직과정이 설치된 일반학과를 졸업해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이후 각 시·도교육청이 시행하는 임용고시에 합격하면 공립 중·고교 교사로 임명된다. 2024학년도 주요 10개 대학 및 거점국공립대 사범계열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교대 및 초등교육과는 입학 후 심화전공 과정이 세분화되긴 하지만 입학 당시에는 전국 모든 대학이 초등교육전공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중·고교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계열 학과는 사정이 다르다. 입학 당시부터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등 모집단위 자체가 세분화돼 있다. 자기 적성을 고려해 일찌감치 목표 학과를 정하고 학생부 관리와 수능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종로학원이 2024학년도 전형계획안을 분석한 결과, 주요 10개 대학 및 거점국공립대의 사범계열 전체 선발 규모는 일반전형 정원 내 기준으로 총 3683명이다. SKY를 포함해 주요 10개 대학이 1518명을, 거점국공립대는 2165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거점국공립대는 강원대, 경북대, 경상국립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9개 대학이다.전공별로 살펴보면 국어교육과 325명, 수학교육과 345명, 영어교육과 415명을 모집한다. 윤리교육, 일반사회 등 사회교육과는 638명을, 물리교육, 화학교육 등 과학교육과는 594명을 예정하고 있다. 이렇게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주요 전공의 선발 인원은 2317명에 이른다. 이외 전공으로는 음악·미술·체육 등이 464명, 제2외국어/한문이 169명, 교육학/교육공학과가 372명, 기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모든 함수가 비례(반비례)하는 것이 아니라고?
19세기의 초기 연구는 체외로 발산되는 열량이 체표 면적에 비례한다고 보았다. 즉 그 둘이 항상 일정한 비(比)를 갖는다는 것이다.(중략)1930년대에 클라이버는 생쥐부터 코끼리까지 다양한 크기의 동물의 기초 대사량 측정 결과를 분석했다. 그래프의 가로축 변수로 동물의 체중을, 세로축 변수로 기초 대사량을 두고, 각 동물별 체중과 기초 대사량의 순서쌍을 점으로 나타냈다.가로축과 세로축 두 변수의 증가율이 서로 다를 경우, 그 둘의 증가율이 같을 때와 달리, ‘일반적인 그래프’에서 이 점들은 직선이 아닌 어떤 곡선의 주변에 분포한다. 그런데 순서쌍의 값에 상용로그를 취해 새로운 순서쌍을 만들어서 이를 <그림>과 같이 그래프에 표시하면, 어떤 직선의 주변에 점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면 그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해 두 변수의 증가율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림>에서 X와 Y는 각각 체중과 기초 대사량에 상용로그를 취한 값이다. 이런 방식으로 표현한 그래프를 ‘L-그래프’라 하자.체중의 증가율에 비해, 기초 대사량의 증가율이 작다면 L-그래프에서 직선의 기울기는 1보다 작으며 기초 대사량의 증가율이 작을수록 기울기도 작아진다. 만약 체중의 증가율과 기초 대사량의 증가율이 같다면 L-그래프에서 직선의 기울기는 1이 된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 …에 비례… 즉 그 둘이 항상 일정한 비(比)를 갖는다. … 가로축과 세로축 두 변수의 증가율이 서로 다를 경우, 그 둘의 증가율이 같을 때… 점들은 직선… 곡선의 주변에 분포‘A가 B에 비례한다’는 A가 종속 변수, B가 독립 변수인 함수 관계를 말한다고 했다.
-
생글기자
한일관계 개선 위해 짚고 넘어가야 할 과거사 문제
우리에게 일본은 가깝고도 먼 나라로 인식된다. 협력할 필요가 있는 주변국이지만, 식민 지배를 당한 아픈 역사도 있기 때문이다.지난 몇 년간 한국과 일본은 불편한 관계를 이어왔다. 경제와 안보 등 여러 면에서 얽혀 있는 두 나라 관계는 개선돼야 한다. 하지만 우리가 사과와 배상을 받아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당당하게 요구할 필요가 있다.한국 정부는 민간의 자발적 기여를 바탕으로 재원을 마련해 강제 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2018년 한국 대법원이 내린 판결과 차이가 있다. 대법원은 ‘전범 기업’으로 불리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이 태평양전쟁 기간 저지른 반인도적 불법 행위를 인정하고 강제 동원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판결의 핵심은 강제 노동 사실과 일본 기업들의 불법 행위에 대한 책임을 인정한 것이다. 외교적 해결책에도 대법원 판결의 취지와 피해 당사자들의 의사가 반영돼야 한다.근로정신대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는 “미쓰비시로부터 사죄 한마디 듣고 싶은 것이 내 마지막 소원”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것은 현재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동시에 과거를 반성하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다. 한·일 관계 개선의 시작은 일본이 과거에 대한 사과와 반성 의사를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사과와 반성은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 점을 생각하며 한·일 관계를 개선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이성민 생글기자(대전관저중 3학년)
-
테샛 공부합시다
경기 둔화의 그림자 엄습…대응 전략은?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중국과 동남아시아·중앙아시아·아프리카·유럽을 육로와 해로로 연결해 경제권을 형성하는 중국의 전략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2013년 9월 카자흐스탄 방문 때 처음 주창했다. 중국은 일대일로를 위해 부족한 인프라 건설을 목적으로 개발도상국들에 대출을 해줬다. 하지만 코로나19로 개발도상국들이 재정적 어려움에 처해 중국의 빚을 갚지 못하자 중국은 투자한 주요 인프라의 운영권을 가져가면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구매관리자지수(PMI: Purchasing Managers’ Index)=제조업 분야의 경기동향지수다. 기업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경기를 판단하는 지표다. 구매담당자가 경기를 좋게 보면 원자재 등의 구매를 늘리겠지만, 경기를 나쁘게 본다면 구매를 줄일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PMI로 현재 또는 향후 경제 상황을 예측해볼 수 있다. PMI는 0과 100 사이의 수치로 나타난다. 50을 기점으로 PMI가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미만이면 수축을 의미한다.○예비타당성조사=예비타당성조사란 사회간접자본(SOC), 연구개발(R&D), 정보화 등 대규모 재정 투입이 예상되는 신규 사업에 대해 경제성, 재원 조달 방법 등을 검토해 사업성을 판단하는 절차다. 선심성 사업에 따른 예산 낭비 방지 및 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 재정 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건설 사업, 정보화 사업 등이 대상이다.○그린북(Green Book)=기획재정부가 경기 흐름을 분석한 월간 경제동향보고서다. 기재부는 지난달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를 통해 ‘경기 흐름이 둔화했다’고 밝혔다. 1월에는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