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과학과 놀자
124광년 떨어진 행성서 '강력한' 단서 찾았다
우주는 정말 우리만의 공간일까? 인류가 이 물음에 과학적으로 답할 수 있게 된 것은 불과 몇십 년밖에 되지 않았다. 이 가운데 최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공동 연구팀이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태양계 밖 생명체 존재에 관한 역대 가장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밝혀 과학계가 술렁이고 있다.이번에 포착된 증거는 추가 검증이 필요하지만, 단순한 우연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지난 4월 국제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회보(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발표된 이 연구에 따르면 지구에서 약 124광년(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약 9조4,610억km) 떨어진 외계 행성 K2-18b의 대기에서 디메틸황화물(DMS)로 추정되는 신호가 포착됐다. 이 물질은 지구에서는 해양 박테리아나 플랑크톤 같은 생명체만이 만들어내는 분자다. 연구팀은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K2-18b의 대기를 통과한 빛을 관측해 얻은 분광 데이터를 분석해 이 신호를 찾아냈고, 그 신뢰 수준은 약 3시그마(σ)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3시그마는 99.7%의 확률로 우연이 아닐 수 있다는 의미다.무게가 지구의 8배 수준인 K2-18b는 표면이 바다로 덮여 있고, 대기는 수소로 가득하다. 과학자들은 이런 종류의 행성을 ‘하이션(Hycean) 행성’이라 부르는데, 이들은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을 갖췄을 가능성이 높다. 하이션 행성은 202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팀이 제안한 새로운 행성 분류 카테고리인데, 당시 K2-18b를 대표 후보로 지명했다.이번 연구에서 특히 흥미로운 점은 K2-18b의 대기에서 메탄(CH₄)과 이
-
대학 생글이 통신
'6모' 분석하면 수능 경향파악에 도움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6월은 아주 중요한 달입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첫 모의고사가 6월에 있기 때문입니다. 수능 출제 기관인 평가원이 주관하는 모의고사인 만큼 그 중요성은 말로 설명할 필요도 없습니다. 따라서 6월 모의고사를 잘 치르고,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우선 수능의 경향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6월 모의고사는 평가원이 당해 연도 수능의 방향성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국어에서는 독서 지문의 제재, 문제의 배열 등을 알 수 있고, 수학 역시 문제의 배치와 문제 풀이에 필요한 사고의 방향성을 파악할 기회입니다. 탐구 과목의 신유형을 처음 소개하는 시험도 6월 모의고사입니다.이러한 경향성을 충분히 파악하고 분석해야 수능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제가 치른 2024학년도 수능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국어는 인문 제재의 독서 지문이 복합 지문으로 나온 6월 모의고사의 경향성이 수능에도 이어져 인문 지문이 복합 지문으로 나왔습니다. 기술 제재 지문은 6월 모의고사와 비슷하게 수능에서도 난도가 낮았습니다.6월 모의고사를 분석한 노트를 따로 만들어 풀이 과정과 수능 예상 문제를 적어놓기를 추천합니다. 이 노트의 목적은 단순히 풀이를 작성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난 기출문제와 비교해 6월 모의고사에서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올해 평가원이 집중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등을 기록하고 이를 반복해서 읽어보며 숙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를 스스로 파악하기 힘들다면 선생님이나 인터넷 강의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6월 모의고사 후 인터넷 강의 사이트에는 총평과 해설 강의가 무료로 올라옵니다. 이를 참고해 평가원
-
숫자로 읽는 세상
내신 부담?…작년 일반고 학업중단 1만8000명
지난해 전국 일반고 자퇴생 수가 5년 새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내신 경쟁에서 밀린 학생들이 수능에 ‘올인’하기 위해 검정고시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10일 종로학원이 학교알리미 공시 자료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일반고 학업중단자 수는 1만8498명으로 최근 5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1만7240명) 대비해서는 7.3% 증가했고, 4년 전인 2020년(9504명)과 비교해서는 약 2배 늘어난 수치다. 학업 중단은 자퇴, 퇴학, 제적 등으로 학생이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다.지난해 외국어고에선 285명의 학생이 학업을 중단했고 지역단위 자율형사립고 255명, 전국단위 자율형사립고 78명, 국제고 68명이었다. 일반고 학업중단자 수가 전년 대비 7.3% 증가할 때 외고는 5.6%, 지역단위 자사고는 14.4%, 전국단위 자사고는 2.5%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4년 전과 비교해 서울권 학업중단자 수는 94.4%, 경인권은 110.0% 급증했고, 지방권은 82.7% 증가했다.학군지일수록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서울 강남과 경기도 화성 성남 용인 등 교육 열기가 높은 지역일수록 학업 중단자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내신 경쟁에서 밀린 학생들이 일반고는 수능 대비가 안 된다는 인식에서 검정고시를 선택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내신 경쟁뿐만이 아니다. 최근 학교 폭력 심의 건수가 급증하고 있는데, 학군지일수록 심의 건수도 많은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한편 올해 고1 학생들부터 내신 5등급제가 적용되면서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5등급제에서는 상위 10%(1등급) 안에 들어가지 못하면 누적 34
-
대학 생글이 통신
국어 독해 핵심은 개념 간 관계 파악이죠
국어는 수능 첫 교시에 치르는 과목일 뿐 아니라 최근 난이도가 높아져 많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는 과목입니다. 국어에서 좋은 점수를 얻으려면 독해력과 함께 시간 배분 등 시험 운영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 몇 가지 사항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먼저 본인이 강한 분야와 약한 분야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그것을 바탕으로 문제 풀이 순서를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기술 분야 지문이 많이 어렵게 느껴졌는데요, 그래서 언어와 매체, 문학, 비문학 순서로 풀되 비문학 중에서 기술 지문 풀이를 나중으로 미뤘습니다.문제 풀이 순서에 따라 시험 후반부에서 시간에 대한 압박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려운 지문을 시험 전반부에 풀려다가 시간을 많이 쓰게 되면, 다른 지문에서도 시간 압박을 받게 됩니다. 특정 분야의 지문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그 분야 지문의 서술 방식을 익혀두는 것도 좋습니다. 서술 방식에 익숙해지면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지문을 읽을 때는 여러 정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문 앞부분에서 언급된 개념이 뒷부분에도 나온다거나 서로 연관된 개념들이 반복해서 서술될 때가 있습니다. 그런 개념 간 관계를 연결하면서 읽어나가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 문제를 풀고 나서 지문을 충분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처음 읽었을 때는 놓쳤던 정보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체 지문의 구조와 그 안에서 각 문단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이해하는 연습을 하다 보면 빠른 시간 안에 내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마지막으로 선지들의 정오를 가리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
역사 기타
최초의 시험 '과거', 동양의 사고를 지배하다
조선 시대 민화 장르로 ‘일로연과도(一鷺蓮果圖)’가 있다. 연꽃이 열매가 맺은 배경으로 백로 한 마리가 거니는 모습을 화폭에 담은 것이다. 그런데 이 그림은 여름 철새인 백로와 연밥이 매달리는 가을이 현실에선 이뤄질 수 없는 조합이라는 데 포인트가 있다. 한걸음에 대과(大科)와 소과(小科)를 연달아 통과하라는 뜻의 일로연과도(一路連科圖)와 발음이 같아 시험 합격을 바라는 선물용으로 널리 유통됐다. 과거 합격을 향한 전통사회 식자층의 절실한 열망을 엿볼 수 있는 흔적이다.동양 사회의 성격에 깊은 흔적을 남긴 것으로 과거제도를 꼽을 수 있다. 헝가리 출신 중국학 연구자 에티엔 발라스에 따르면 개방적·객관적인 시험으로 국가를 운영하는 관료를 뽑는 이 획기적인 제도는 ‘영원한 관료제 사회’로 불린 중국을 떠받치는 근간 역할을 1000년 넘게 맡았다. 학자·관료층은 문자를 독점하며 사회 지배층의 지위를 놓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반면 시험을 준비한 수많은 당사자에겐 ‘시험지옥’이었다고 일본 동양사학자 미야자키 이치사다는 묘사했다. 하지만 이런 과거제도를 누가, 언제, 왜, 어떻게 만들었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찾기 힘들다.과거제도가 언제 시작됐는지는 불분명하다. 한국과 일본 학계에선 수 문제(재위 581~604년) 때 과거가 생겼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반면 중국과 구미에선 수 양제(재위 604~617년) 시기, 구체적으로 수 양제 대업 1년(605년)에 등장했다고 주로 판단한다. 하지만 당나라 시대 이후로 등장 시기를 미루는 견해 역시 무시할 수 없다.의견이 엇갈리는 것은 첫 과거제 시행과 관련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당
-
생글기자
지나친 AI 의존, 사고력 저해할 위험 크다
챗 GPT와 구글 제미나이 등 인공지능(AI) 챗봇이 교실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과제 작성, 정보 탐색, 요약·정리 등에 생성형 AI가 널리 활용된다. 하지만 AI 확산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사고력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AI는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그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AI가 생성한 정보 중에서는 사실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것이 많다. AI가 제시한 정보를 활용했을 때 저작권 침해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현재 AI가 생성한 정보는 저작권 등록 대상이 아니어서 법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학생들이 AI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약해진다. AI를 과제 작성에 활용하면서 표절과 부정행위의 위험도 커졌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에서 AI 활용에 대한 명확한 방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AI의 한계와 위험성을 교육하고,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한다. AI를 과제 작성에 활용한 경우 출처를 명확히 밝히고, 표절 여부를 가려내는 시스템도 필요하다.AI는 도구일 뿐 학습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학생 본인이어야 한다. AI를 올바르게 활용하고,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AI의 순기능을 살리면서 부작용을 줄일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남승현 생글기자(고려고 3학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말 조어법 ④ '콜레라-호열자-호열랄-괴질'
2023년 8월, 정부는 120여 년 전에 간행된 콜레라 예방서를 국가등록문화재로 채택했다고 발표해 화제가 됐다. ‘호열자병예방주의서’가 그것이다. 대한제국 시기인 1902년에 보급된 책자로, 콜레라의 전염과 예방법 및 소독 방법 등을 적은 근대적 전염병 예방서다. 당시는 3년 4개월간에 걸친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고 일상 회복의 첫발을 내디딘 직후라 더 주목을 끌었다. ‘섭씨, 화씨’는 대표적 음역어20세기 초 이 땅을 공포로 몰아넣은 치명적 질병 중 하나는 ‘콜레라’였다. ‘호열자병예방주의서’가 간행된 그 시절에도 콜레라가 전국을 강타했다. 책 이름에 쓰인 ‘호열자’는 외래어 ‘콜레라’를 한자어를 빌려 옮긴 음역어다. 음역어란 외래어 표기법이 없던 시절 외래 고유명사를 한자음을 갖고 나타내던 말이다. 지금은 외래어를 발음 그대로 한글로 옮겨 적는 방식이 자리 잡았지만, 지난 시절엔 음역어 표기가 널리 쓰였다.가령 ‘나파륜(拿破崙), 피택고(皮宅高), 색사비아(索士比亞), 야소(耶蘇), 석호필(石虎弼)’ 같은 게 그런 예다. 모두 외국 인명을 한자로 옮기고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나파륜은 나폴레옹, 피택고는 피타고라스, 색사비아는 셰익스피어다. 지금은 이런 이름을 쓰지도 않고, 기억하는 이도 없겠지만, 지난날 우리말에서 실제로 쓰이던 이름이다. 국어사전에도 당당히 올라 있다. 야소는 예수(Jesus)를 음역한 말이다. 석호필의 정체는 일제강점기에 세브란스의전 교수로 들어온 영국 출신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다. 한국에서 의료, 선교, 독립운동 지원 등의 활동을 펼친 그가 스스로 지은 이름이 ‘석호필’이었
-
키워드 시사경제
무디스마저 하향…미국 '트리플A'서 밀려났다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중 하나인 무디스가 지난달 16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끌어내렸다. 1917년 최고 등급인 Aaa를 부여한 후 108년 만의 강등이다. 무디스는 재작년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해 하향 가능성을 시사해왔다. 이번에 실제로 등급을 낮추면서 등급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조정했다.‘5경원’ 美 국가부채에 경고장국가신용등급은 한 나라의 외채 상환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대외신인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통한다. 외환보유액, 외채구조 등 대외 부문 건전성이 가장 중요한 평가 기준이지만 거시경제 여건, 재정 건전성, 안보 위험, 금융과 기업의 경쟁력 등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국가신용등급은 민간 신용평가회사들이 매기는데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같은 나라여도 세 회사가 매긴 등급이 다를 수 있다. 앞서 S&P가 2011년, 피치가 2023년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내린 바 있다. 이로써 미국은 3대 신용평가회사 모두로부터 최고 등급 지위를 ‘박탈’당하게 됐다.무디스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떨어뜨린 핵심 원인으로 나랏빚을 지목했다. Aaa 등급을 받은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미국의 정부부채 비율, 재정지출에서 이자 지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히 높다는 것이다.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이 나라 국가부채는 36조2200억 달러(약 5경원)에 이른다. 20년 새 다섯 배 가까이 급증했으며 경제 규모(국내총생산, GDP)의 1.23배다. 미국 정부는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많아 2001년 이후 해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