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방과후 수업 강화해 사교육 의존 줄이자

    우리나라 교육의 고질적 문제 중 하나가 지나친 사교육 의존이다.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중학생들도 고등학교 입시와 내신을 위해 사교육을 많이 받는다. 방과후 수업의 내실 강화가 과도한 사교육 문제의 한 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방과후 수업을 잘 운영하면 학생들이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면서 다양한 과목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다.대원국제중학교는 방과후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도 여러 과목을 공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얼마 전 전교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약 60%의 학생들이 학원에 다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수업이 학원을 충분히 대체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설문 결과다.중학교 교과 과정 외에도 미적분, 물리Ⅰ, 모의고사 풀이반 등 고등학교 과정을 미리 공부할 수 있는 수업도 개설돼 있다. 이런 식으로 선행 학습 수요까지도 방과후 수업이 충족한다. 또 통계학, 토플, 디베이트, 스페인어, 경제학, 골프 등의 과목도 있어 흥미와 적성에 따라 폭넓은 분야를 공부할 수 있다. 고입 자기소개서 대비반도 3학년 학생들에게 인기다. 학원에 가지 않고도 고입을 준비할 수 있다.이렇게 보충 수업 차원을 넘어 입시 대비, 진로 탐색 기회까지 학교가 제공한다면 학생들이 굳이 사교육을 받을 필요가 없다. 방과후 수업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학생들의 수요를 반영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사교육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고 생각한다.김도경 생글기자(대원국제중 3학년)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78)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월 6일 (875)

    1. 일본의 유명 완성차 업체 세 곳이 지난달 23일 경영 통합에 합의하면서 자동차 산업 판도가 요동치고 있다.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업체는?① 도요타 ② 혼다③ 닛산 ④ 미쓰비시2. 미국 중앙은행(Fed)이 올해 금리인하 속도를 늦추겠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몇 %일까?① 연 3.5~3.75% ② 연 3.75~4.0%③ 연 4.0~4.25% ④ 연 4.25~4.5%3. 최근 ‘이 사람’이 국내 정재계 인사 최초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을 만났다. 신세계그룹 회장인 이 사람은?① 이재용 ② 정용진③ 이해진 ④ 최태원4. 다음 중 증시에서 ‘캘린더 효과’의 사례로 보기 힘든 것은?① 1월 효과 ② 서머랠리③ 산타랠리 ④ 유동성랠리5. ‘석유화학의 쌀’이라는 별명이 있는 제품이다. 저가 중국산에 밀려 국산 경쟁력이 약해졌다는 지적을 받는 이것은?① UAM ② HBM③ 에틸렌 ④ 파운드리6. 기업의 물류 창고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을 전달하는 과정까지의 물류서비스를 가리키는 용어는?① 퍼스트마일 ② 미들마일③ 라스트마일 ④ 마일리지7. 실업자 수와 취업자 수를 더하면?① 경제활동인구② 비경제활동인구③ 생산가능인구④ 총인구8. 예상치 못한 특수한 상황 때문에 엄청난 이익을 낸 기업에 추가로 물리는 ‘초과이윤세’를 가리키는 용어는?① 간접세 ② 횡재세③ 상속세 ④ 부가가치세▶정답 : 1 ① 2 ④ 3 ② 4 ④ 5 ③ 6 ③ 7 ① 8 ②

  • 생글기자

    청소년 성교육, 전통적 가족 개념 이해가 우선

    얼마 전 시각장애인을 위한 영어책 녹음 봉사활동을 하던 중 동성 가정을 다룬 동화책을 접했다. 동성 부부와 자녀의 이야기를 다룬 이 책은 어린이 영어책으로 분류돼 있다. 녹음을 마쳤지만, 오디오 파일을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어린아이들에게는 전통적 가정의 개념을 먼저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이런 의견을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으로 보는 시각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성소수자 지지나 혐오에 대한 것이 아니다. 아이들이 사회규범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교육적 접근에 관한 문제다. 남성과 여성이 결혼해 자녀를 낳고 가정을 이루는 것이 사회의 기본 구조다. 유년기부터 기본적인 가정의 개념을 배우는 것이 사회규범을 이해하는 첫걸음이다. 다만 어린아이에게는 동성 가족에 대한 이야기가 지나치게 복잡하고 혼란을 줄 우려가 있다.유년기는 세상에 대한 기본 개념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시기인 만큼 전통적 가족 개념을 충분히 이해한 뒤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배워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성 가정에 대한 이야기는 전통적 가정에 대해 충분히 익힌 후 더 넓은 세상과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배우면서 접해나가는 것이 적절하다.성소수자 권리 보호와 별개로 생물학적 성과 전통적 가족 개념에 대한 교육을 제한해선 안 된다.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하려면 올바른 성교육을 받고 사회규범을 이해해야 한다. 성급한 논쟁이 아닌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깊은 고민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때다.이동훈 생글기자(Seoul Scholars International 11학년)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3일 (874)

    1. 주식시장 상장사들의 실적 발표가 몰리는 시기를 가리키는 말은?① 산타 랠리② 어닝 시즌③ 프로젝트 파이낸싱④ 캘린더 효과2.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결정 회의가 이뤄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가리키는 용어는?① FedWatch② ESG③ FOMC④ DEI3. 경기 침체, 대규모 재해 등 특별한 사정이 생겼을 때 국회 동의를 받아 기존의 국가 수입·지출 계획을 변경하는 것은?① 추가경정예산② 준예산③ 본예산④ 불균형예산4. 노동자들에게 보장된 ‘노동 3권’으로 볼 수 없는 것은?① 단결권② 단체교섭권③ 단체행동권④ 경영참여권5. 개인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취지에서 시행하거나 장려하는 정책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① 리콜② 징벌적 손해배상③ 완전판매④ 연대보증6.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현상은??① 애그플레이션② 인플레이션③ 스태그플레이션④ 디스인플레이션7. 엔 캐리 트레이드는 일본과 해외 국가 간의 무엇을 활용한 투자 기법일까?① 금리 격차② 출생률 격차③ 성장률 격차④ 통화량 격차8.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투자 격언에 가장 잘 들어맞는 개념은?① 대체투자② 분산투자③ 장기투자④ 소액투자▶정답 : 1 ② 2 ③ 3 ① 4 ④ 5 ④ 6 ① 7 ① 8 ②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77)

  • 생글기자

    노키즈·노시니어 존 갈등, 완화하려면…

    분위기 좋은 식당이나 스터디 카페에 가면 간혹 “노 키즈 존” “노 시니어 존”이라고 적힌 안내문을 보게 된다. 특정 연령대 손님의 방문을 제한한다는 의미다. 노 키즈 존, 노 시니어 존은 불합리한 차별일까, 영업의 자유일까.노 키즈 존은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노 시니어 존도 주로 젊은 세대에 맞는 분위기를 연출할 목적으로 고령층을 배제한다는 점에서 성격이 비슷하다. 어린아이나 고령층 입장에서는 스스로 통제하거나 바꿀 수 없는 나이를 이유로 특정 장소의 출입이 제한되기 때문에 차별이라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자영업자로서는 더 많은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라고 볼 수도 있다. 특정 고객층에 초점을 맞춰 서비스 품질을 높이려는 목적이라는 것이다. 노 키즈 존은 아이들이 출입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불편함이 줄어 다른 손님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헬스장, 수영장 등에서는 고령자의 출입을 제한해 안전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다.정리하면 특정 연령층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이냐,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사업자의 자유냐로 요약된다. 이 두 가지를 다 만족시키는 방법은 없을까. 연령대에 따라 시간대나 이용 공간을 분리하는 방법이 있다. 어린아이를 동반하거나 고령자가 이용할 수 있는 시간대를 두거나 공간을 분리해 어린아이도 와서 마음껏 떠들 수 있는 곳, 고령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곳 등을 운영하는 것이다. 서로 조금씩 배려해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전건 생글기자(부산진여상 2학년)

  • 생글기자

    정기고사 후 시간 허비하는 중3, 대책 필요하다

    정기고사를 마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학교에서 시간을 비효율적으로 보내는 데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이 시기는 중학교 학사 일정상 주요 평가가 마무리되고, 대부분 학생이 고등학교 입시도 끝낸 다음이라 수업이 형식적으로 진행되거나 자율학습으로 대체된다.한 학생은 “학교에 와도 의미 있게 하는 일이 없어 대부분 시간을 멍하게 앉아서 보낸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생은 “이럴 바엔 차라리 집에서 쉬면서 다른 공부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학부모 역시 “학교에서 특별히 하는 일 없이 시간을 낭비하는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인다.정기고사 이후엔 중3 학생들의 학습 동기가 급격히 떨어진다. 학교에서도 이 시기에 시행할 만한 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지 못해 결국 학생들은 형식적으로 등교하게 된다. 일부 학교는 진로 탐색 활동이나 예체능 수업을 하기도 하지만,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못해 학생들의 참여율과 만족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도입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지역사회와 연계한 체험 학습이나 봉사활동 등을 통해 학생들이 교실 밖에서 사회적 가치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중3 학생들의 정기고사 이후 기간은 단순히 졸업만 기다리는 공백기가 아니라 고등학교 생활을 준비하는 전환점이 돼야 한다. 학생들이 이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학교와 교육청 등 관계 당국이 고민해주기 바란다.김도경 생글기자(대원국제중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