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지진은 왜 발생하나
경주에 이어 포항에도 큰 지진···또? 지진이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땅이 흔들렸다’는 역사적 기록은 많지만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2년 연속 발생한 패턴은 흔하지 않다. 지난 15일 발생해 수능을 연기시킨 포항 지진은 규모 5.4였고, 작년 9월 전국을 놀라게 한 경주 지진이 역사상 최대 규모인 5.8이었다. “더 큰 지진이 오려는 전조가 아닐까?”...
-
커버스토리
외환위기 3년만에 극복했지만 구조개혁은 지지부진
한국은 2001년 8월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했다. ‘6·25 이후 최대 국난(國難)’이라 불린 외환위기를 단 3년여 만에 극복한 것이다. ‘금 모으기 운동’으로 상징되는 범국민적 고통 분담과 더불어 정부의 강력한 구조개혁이 조기 졸업을 가능하게 했다. 4대 부문 고강도 개혁… IMF 체제 조기 졸업 외환위기 이후 집권한 김대중 정부는 기업&mi...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23)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유토피아(Utopia)는 현실에는 없고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이상향을 가리킨다. 유토피아란 말은 다 소 역설적이다. ‘없는(ou) 장소(topos)’, 곧 ‘존재하지 않는 곳’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 들은 늘 이 세상에 ‘없는 곳’을 꿈꿔 왔다. 그래서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나 누구나 있었으면 좋겠다고 소망하는 곳이 유토피아인 것이다. 현실에 없는 세상 유토피아...
-
교양 기타
<37> 제빵왕 허영인 이야기
KBS TV가 2010년 ‘제빵왕 김탁구’라는 드라마를 방영한 적이 있다. 김탁구라는 소년 이 온갖 역경을 이겨내며 빵 굽는 비법을 배워서 아버지의 제빵 사업을 이어받는다는 줄거리였다. 가족 간의 갈등도 흥미진진했지만 제빵에 얽힌 이야기가 흥미로워 큰 인 기를 누렸다. 극중의 김탁구는 파리바게뜨(SPC그룹)의 허영인 회장을 모티브로 했다. 그럴 정도로 허영인은 어릴 적부터 빵에 미쳐 살았다. ‘제빵왕 김탁구&r...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정부가'김영란법'을 고친다는데…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시행 1년여만에 바뀔 가능성이 커졌다. 식사대접, 선물, 경조사 부조의 상한선을 3만,5만,10만원에서 5만,10만,5만원으로 변경하자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법 개정 논의는 판매가 줄어든 화훼생산업자, 농축수산물 생산자, 요식업계의 생존 하소연에서 시작됐다.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심하다는 불만도 여기에 가세했다. 하지만 신중론도 만만찮다. 공직사회를 ...
-
경제 기타
4차 산업혁명으로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체스 게임은 6세기께 지금의 인도에서 시작되었다. 체스 게임의 창안자는 황제가 머물고 있는 수도 파탈리푸트라까지 직접 찾아와 체스를 선물했다. 깊은 감명을 받은 황제는 포상을 하길 원했고, 발명가는 황송해하며 그저 약간의 쌀이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다만, 선물의 의미를 기리기 위해 체스판을 활용해 첫 번째 사각형에는 쌀 한 톨을, 두 번째 사각형에는 쌀 두 톨을, 세 번째 사각형에는 쌀 네 톨을 놓는 방식으로 쌀을 받고 싶다는 말을 조심스럽게 ...
-
경제 기타
"목초지를 아무나 사용하면 황무지가 되는 법이죠"
맬서스 이후로 많은 학자들이 인구 과다를 우려했다. 그런 전통을 이어받은 미국 생물학 교수 인 개릿 하딘은 “지하자원, 초원, 호수처럼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공유지를 오 직 시장의 기능에만 맡겨두면 자원이 낭비돼 금방 고갈될 위험이 있다”며 이른바 ‘공유지의 비 극’을 경고했다. 생물학자 개릿 하딘의 경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유지를 소중히 사용하자는 메시지를 담은 공익광고나 공유지...
-
교양 기타
(84)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
금서에서 최고의 명작으로 마크 트웨인(1835~1910)은 미국의 셰익스피어로 불리는 작가이다. 책을 별로 읽지 않는 사람도 그의 작품 『톰 소여의 모험』『허클베리 핀의 모험』『왕자와 거지』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 마크 트웨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허클베리 핀의 모험』은 수많은 작가에게 영감을 준 작품이지만 한동안 금서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헤밍웨이와 윌리엄 포크너 같은 작가들을 높이 평가하면서 『허클베리 핀의 모험』은 움직일 수 ...